$\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검화도 폴리비닐알콜 필름에서의 이색성 유기염료의 염착 특성
Dyeing Properties of Dichroic Organic Dye on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 High Degree of Hydrolysis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0 no.5, 2013년, pp.328 - 336  

전국진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박일현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yeing of a poly(vinyl alcohol) (PVA) film with a high degree hydrolysis (>98%) using Direct Black 22, a dichroic organic dye, was investig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dye concentration, salt ($Na_2SO_4$)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his process could correctly be analyzed us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참고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용매 물은 PVA 고분자에 대하여 좋은 용매이므로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실시할 경우 시료에 포함된 낮은 분자량 PVA의 용해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실온 이하의 온도에서 염착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낮은 온도에 의한 느린 염착속도를 보상하고 또한 편광 필름 제조에 필요한 최대한의 염착량의 정보도 얻으려는 목적으로 염착시간을 24시간으로 충분히 길게 설정하였음을 밝혀둔다. 이 때 바이알 안에서 염료가 필름에 염착되어도, 용액의 염료농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충분히 큰 부피 180 cm3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실제 염착분석에서 사용된 평형 용액농도(Csoln)는 본래의 농도에서 염착된 염료의 양을 보정한 염료농도임을 밝혀둔다.
  • (sodium sulphate) 염을 시스템에 첨가하여 고검화도의 PVA 필름에서 최대 염착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과 본 연구의 직접염료/PVA 시스템도 Shibusawa의 분산염료/nylon 6 시스템처럼[17,18] 강한 수소결합이 존재하는 시스템이므로, 이중 모드 흡착식이 직접염료의 염착과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가를 우선 조사하여 보고, 만약 상기 방법으로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Freundlich 등온흡착식 등을 도입하여 분석하여 볼 예정이다. 그리고 다양한 실험 조건들인 염착온도와 PVA 분자량이 염착에 미치는 효과 및 염착과정의 반응 차수, 그리고 활성화 에너지 등을 조사하여 보는 것이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이다.
  • 염착 실험용 PVA 필름 시편(L×W×t=25 mm×17 mm×50 μm)을 염료 용액이 들어 있는 바이알 병에 넣은 뒤, 항온 수조(5~25 oC로 유지) 쉐이커에서 24시간 동안 흔들어 주었다. 참고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용매 물은 PVA 고분자에 대하여 좋은 용매이므로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실시할 경우 시료에 포함된 낮은 분자량 PVA의 용해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실온 이하의 온도에서 염착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낮은 온도에 의한 느린 염착속도를 보상하고 또한 편광 필름 제조에 필요한 최대한의 염착량의 정보도 얻으려는 목적으로 염착시간을 24시간으로 충분히 길게 설정하였음을 밝혀둔다.

가설 설정

  • 첫째, 2차 반응의 경우 식 (10)이 보여주듯이 선형의 식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실제 실험 데이터는 염착 반응 초기에서만 직선으로 간주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갈수록 서서히 위로 올라가는 up-turn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이유로는 (i) 필름 내부 공극에 염착된 염료가 많을수록 추가적인 염착속도는 점차로 더 느려지며, (ii) 또한 염착이 진행될수록 batch 용액 안에 존재하는 염료의 양도 서서히 감소하여 염착을 추진하는 구동력도 서서히 약해지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Figure 12에서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사실은 서로 다른 온도에서 얻은 3개의 2차 함수(즉 y=a1+a2t+a3t2) 그래프들의 초기 기울기 a2(=1/Cf,eq)가 거의 같다는 사실이다.
  • 고분자 필름에서 염료 염착(dyeing)에 대한 가장 간단한 등온 흡착식은 염료가 고분자 표면에 Langmuir 흡착(adsorption)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검화도의 폴리비닐알콜의 제조가 캐스팅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검화도의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은 결정성 폴리머로서, 반복 단위구조에 존재하는 -OH 그룹들 간의 수소결합 때문에 용융 온도(Tm~260 oC)가 고분자의 열분해 온도에 매우 근접해 있으므로 PVA 필름 제조는 용융 가공법 대신 용매 물에 녹인 후 캐스팅법에 의해 이루어진다[1-4]. 그리고 PVA 필름을 500% 이상 연신할 경우 매우 우수한 편광 특성이 나타나, LCD 모니터용 편광 필름으로 매우 적합하여, 광학용 필름으로써 산업용 수요는 최근에 급속도로 성장하였다[2].
고검화도 PVA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 요오드계 염료 대신 이색성 유기염료을 사용하는 것은 어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인가? 이와 같이 LCD 모니터에서 상용화 되어 있는 고검화도 PVA 편광 필름은 일반적으로 요오드계 염료로 제조되며, 이는 편광 특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요오드 자체의 높은 승화성 때문에 높은 온도와 습도에서 장시간 방치할 경우 편광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승화성이 전혀 없는 이색성 유기염료(dichroic organic dye)로 이를 대체하여 내구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보고되고 있다[5-14].
PVA 필름이 광학용 필름으로써 주목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검화도의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은 결정성 폴리머로서, 반복 단위구조에 존재하는 -OH 그룹들 간의 수소결합 때문에 용융 온도(Tm~260 oC)가 고분자의 열분해 온도에 매우 근접해 있으므로 PVA 필름 제조는 용융 가공법 대신 용매 물에 녹인 후 캐스팅법에 의해 이루어진다[1-4]. 그리고 PVA 필름을 500% 이상 연신할 경우 매우 우수한 편광 특성이 나타나, LCD 모니터용 편광 필름으로 매우 적합하여, 광학용 필름으로써 산업용 수요는 최근에 급속도로 성장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 A. Finch, "Poly(vinyl alcohol):Development", John Wiley, New York, 1992, pp.1-31. 

  2. J. P. Kim and D. H. Song, “Manufacture of Highly Functional PVA Film and Its Application to Polarizing Film”, Polym Sci Technol(Korea), 2004, 15, 31-37. 

  3. E. J. Shim, W. S. Lyoo, and Y. H. Lee, “Making Poly(vinyl alcohol) Film Iodinated at Solution State before Casting and Its Application”, J Appl Polym Sci, 2008, 109, 1143-1149. 

  4. W. S. Lyoo, J. H. Yeum, H. D. Ghim, J. M. Park, S. J. Lee, and J. H Kim, “Effect of Molecular Weight of Poly(vinyl alcohol) on the Water Stability of a Syndiotactic Poly(vinyl alcohol)/Iodine Complex Film”, Colloid Polym Sci, 2003, 281, 416-422. 

  5. Y. Dirix, T. A. Tervoort, and C. Bastiaansen, “Optical Properties of Oriented Polymer/dye Polarizers”, Macromolecules, 1995, 28, 486-491. 

  6. Y. Dirix, T. A. Tervoort, and C. Bastiaansen, “Optical Properties of Oriented Polymer/dye Polarizers. 2. Ultimate Properties”, Macromolecules, 1997, 30, 2175-2177. 

  7. E. Beekman, C. Kocher, A. Kokil, S. Zimmermann, and C. Weder, “UV Polarizers Based on Oriented Poly(vinyl alcohol)-chrysophenines-congo Red Blend Film”, J Appl Polym Sci, 2002, 86, 1235-1239. 

  8. S. E. Han and I. S. Hwang, “Modeling of the Optical Anisotropy of a Dye Polaizer”,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2002, 40, 1363-1370. 

  9. W. S. Lyoo, J. H. Yeum, J. M. Park, J. W. Kwak, J. H. Kim, S. S. Kim, B. C. Ji, and S. K. Noh, “Role of Molecular Weight of Atatic Poly(vinyl alcohol)(PVA) in Polarizing Efficiency of PVA/azo Dye Complex Film with High Durability”, J Appl Polym Sci, 2005, 96, 967-974. 

  10. K. S. Park, E.-J. Choi, J. H. Chang, and I. H. Park, "Preparation and Polarization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Using the Mixed System of Supercritical $CO_{2}$ /organic Solvents/dichroic Dye", Polymer (Korea), 2011, 35, 458-466. 

  11. D. H. Song, H. Y. Yoo, and J. P. Kim, “Synthesis of Stilbenebased Azo Dyes and Application for Dichroic Materials in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s”, Dyes and Pigments, 2007, 75, 727-731. 

  12. D. H. Song and J. P. Kim, “Effect of Transition Moments and Oiental Behavior of Dichroic Dyes on the Optical Anisotropy of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s”, Dyes and Pigments, 2007, 80, 219-225. 

  13. J. B. Chang, J. H. Hwang, J. S. Park, and J. P. Kim, “The Effect of Dye Structure on the Dyeing and Optical Properties of Dichroic Dyes for PVA Polarizing Film”, Dyes and Pigments, 2011, 88, 366-371. 

  14. J. B. Chang, S. B. Yuk, J. S. Park, and J. P. Kim, “Dichroic and Spectral Properties of Anthraquinone-based Azo Dyes for PVA Polarizing Film”, Dyes and Pigments, 2011, 92, 737-744. 

  15. T. Shibusawa and Y. Chigira, “Dual Mode Sorption of Nonionic Azo Dyes by Nylon 6”,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1992, 30, 563-568. 

  16. T Shibusawa and T. Nakamura, “Multi-modal Sorption of Nonionic Dyes with Two Amino Groups by Various Polymers from Water”,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1995, 33, 159-165. 

  17. T. Shibusawa, “Sorption of Azo Disperse Dyes by Nylon 6 from Water”, Text Res J, 1996, 66, 37-44. 

  18. T. Shibusawa, “Diffusion of Disperse Dyes on Nylon 6”, Text Res J, 1996, 66, 421-428. 

  19. S.-K. Bae, H. Motomura, and Z. Morita, “Diffusion/ adsorption Behavior of Reactive Dyes in Cellulose”, Dyes and Pigments, 1997, 34, 321-340. 

  20. P. Rys and R. P. Sperb, “Efficiency of Monofunctional Reactive Dyeing: A Mathematical Analysis”, Text Res J, 1989, 59, 643-652. 

  21. B. H. Hameed, A. A. Ahmad, and N. Aziz, "Isotherms, Kinetics and Thermodynamics of Acid Dye Adsorption on Activated Palm Ash", Chem Eng J, 2007, 133, 195-203. 

  22. S. B. Park, "Development of Advanced Optical Polymers for Next Generation Display", Korea Ins Adv Technology,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