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층분석법(AHP)과 GIS를 이용한 고양시 일대의 지하수오염 관리우선순위 평가
Priority Assessment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Manage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GIS Approach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8 no.5, 2013년, pp.26 - 38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현윤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영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황상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riority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management was assessed based on regional vulnerability in Goyang-si area, Gyonggi-do, Korea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e proposed a concept for regional vulnerability to groundwater contam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본 연구에서는 AHP방법에서 설문조사 시 선정한 평가인자에 대한 자료의 가용성을 높이고 보다 실효성있는 오염 취약성평가 결과도출을 위해 전문가 회의를 통해 지역 매체특성과 오염특성에 해당하는 Level 2 인자와 가중치를 재선정하였다. 지역 매체특성에 대한 인자는 대수층의 수리전도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대수층매질인자와 토양층이 얕은 국내 대수층 여건을 고려하여 토양매질 인자를 제외하고 총 5개의 인자(지하수면 심도, 순 지하수함양량, 지형경사율, 비포화대 영향, 수리전도도)를 선정하고 각 인자에 대한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고양시를 대상으로 전문가 설문에 의한 계층분석과정을 수행하고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지하수오염 취약성평가에 필요한 평가인자와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GIS로 구현하여 지하수오염 취약도 작성 및 이를 바탕으로 지하수오염 관리우선순위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관련 정책 결정자의 관점에서 오염취약성을 평가할 때에 고유 오염취약성과 특정 오염취약성 중 어느 개념으로 접근해야 할지 어려움을 겪는 경우의 대안으로 지역오염 취약성 평가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지역 매체특성, 오염 및 지하수 이용특성을 모두 고려한 지하수오염 관리 우선 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하수 오염이 발생하는 지역의 특성 및 오염원과 지하수 이용특성을 모두 고려한 국내외적으로 처음 시도되는 연구이다.
  • 그러나 이러한 고유 오염취약성과 특정 오염취약성은 앞서 언급한 사회·환경적 여건 변화를 현실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실제 지하수관리를 담당하는 지자체 공무원들이나 지하수 관련 정책결정론자들이 지하수 오염 관리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하수 오염관리와 관련된 정책 결정자나 지자체 담당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대수층 오염 민감도, 오염물질(또는 오염원)의 영향, 이용특성 등을 종합한 개념의 지역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정의하고, 이에 근거하여 경기도 고양시 일대 지역의 지하수 오염 관리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 취약성에서 고려하는 오염특성이란 무엇인가? 4). 지역 취약성에서 고려하는 오염특성은 해당지역의 점오염원과 지역오염 현황 특성에 따른 지역의 상대적 위해도 수준을 나타내는 특성이고, 지역(매체)특성은 지역에 따른 오염물질의 상대적 확산 및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용 특성은 지하수오염에 노출되어 영향을 받게 되는 인체 및 생태계를 고려하기 위한 인자이다.
지역취약성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전술된 기존 오염취약성의 개념이 아닌, 지하수 오염에 대한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의 취약성을 아우르는 광역적인 의미의 지하수 오염취약성으로 “지역지하수오염 취약성”을 정의한다. 지역취약성(regional vulnerability)이란 지하수오염 관리와 관련된 대수층 관리, 오염물질 관리, 지하수 이용 관리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수층의 오염 민감도, 오염물질(또는 오염원)의 환경영향, 지하수 이용의 위해도 등을 종합한 개념이다(Fig. 4).
지하수오염 취약성에는 고유 오염취약성(intrinsic vulnerability)과 특정 오염취약성(specific vulnerability)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가? 지하수오염 취약성은 대수층의 특성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고유 오염취약성(intrinsic vulnerability)과 특정 오염취약성(specific vulnerability)이 있다. 고유 오염취약성이란 지하수 유동계에 의하여 지배를 받는 대수층의 민감도를 의미하며, 이는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등에 의해 달라진다. 특정 오염취약성이란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뿐 아니라, 대수층에 대한 오염원의 상대적인 위치, 오염원의 형태와 특성을 고려한 오염취약성을 말한다. 즉, 특정 오염취약성은 고유 오염취약성을 갖는 대상 지역에서의 특정 오염원의 특성에 의하여 정해지는 오염취약성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고유 취약성평가에 비해 보다 많은 입력 자료가 필요하다(Gogu and Dassargues,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ogu, R.C. and Dassargues, A., 2000, Current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in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overlay and index methods, Environ. Geol., 39(6), 549-559. 

  2. Ham, S.Y., Cheong, J.Y., Kim, M.J., Kim, I.S., and Hwang, H.S., 2004, Assessing groundwater vulnerability using DRASTIC method and groundwater quality in Changwon City, Econ. Environ. Geol., 37(6), 631-645. 

  3. Jo, S.B., Min, K.D., Woo, N.C., and Lee, S.R., 1999, A study on groundwater contamination potential of Pyungtaek-Gun area, Kyunggi-Do using GIS, J. Soil & Groundwater Environ., 6(2), 87-94. 

  4. Kang, J. and Park, E., 2010, A comparative application of DRASTIC and SINTACS models for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of Buyeo area, J. Soil & Groundwater Environ., 15(5), 32-39. 

  5. Kim, G.B., 2008, Consideration of trends and applications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s in South Korea, J. Soil & Groundwater Environ., 13(6), 1-16. 

  6. Kim, G.B., Ahn, J.S., and Marui, Atsunao, 2009, Analytic hierarchy models for reg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 allo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South Korea, Environ. Earth Sci., 59, 325-338. 

  7. Lee, H., Park, E., Kim, K., and Park, K.H., 2008, A joint application of DRASTIC and numerical groundwater flow model for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of Buyeo-Eup area, J. Soil & Groundwater Environ., 13(1), 77-91. 

  8. Lee, M., Lee, J., Jeon, S., and Houng, H., 2010, Review of policy direction &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J. Environ. Policy, 9, 157-184. 

  9. Lee, M. and Lee, J., 2011,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using GIS, KAGIS, 14(3), 36-51. 

  10. Lee, S.R. and Kim Y.J., 1996, Analysis of groundwater pollution potential and risk using DRASTIC SYSTEM, J. GIS Ass. Korea, 4(1), 1-11. 

  11. Lee, S.R. and Choi, S.H., 1997, Groundwater pollution susceptibility assessment of Younggwang area using GIS technique, J. Soil & Groundwater Environ., 4(4), 223-230. 

  1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OLTMA) and K-water, 2011, Annual report on groundwater. 

  13. Saaty, T.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Decision Making Series), McGraw Hill Inernational, 287 p. 

  14. Song, S.H. and Choi, K.J., 2012, An appropriat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of Jeju island with climate change (I), J. Soil & Groundwater Environ., 17(2), 62-70. 

  15. Woo, N.C., 1994, Introduction to DRASTIC: a method for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Econ. Environ. Geol., 27(6), 611-612. 

  16. Woo, N.C., 2013, Climate change and groundwater sustainability in Korea for next decade, J. Soil & Groundwater Environ., 18(1), 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