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기법에 의한 산사태발생지역 이암 풍화토층의 토질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Mudstone Weathered Soils in the landslide Area using Statistical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2 no.3, 2013년, pp.31 - 41  

황의순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  정대석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  김경수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이문세 (Research & Development Team,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  송영석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포항지역 이암 풍화토층을 대상으로 산사태와 관련한 토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사태발생지역과 미발생지역으로 구분한 토층시료에 대해 토질시험을 실시하고 제반 토질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기법으로 토질특성과 산사태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산사태와 상관성이 있는 토질인자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들 토질인자를 적용하여 산사태에 유의한 영향요소인 투수계수를 쉽게 산정할 수 있는 상관식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은 미발생지역에 비해서 간극률이 크고 밀도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입도가 불량하고 느슨한 토층지반은 특징적으로 큰 간극과 작은 밀도를 지님으로써 산사태에 더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이 미발생지역에 비해 다소 큰 투수성지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관성분석 결과 유효경, 간극비, 포화단위중량, 및 세립함유량이 투수계수에 유의한 영향인자인 것으로 평가됨으로써 이들 토질인자는 이암 풍화토층의 투수계수산정시 고려되어야 할 토질인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mudstone weathered soils related to landslides were analyzed at the area of landslide induced by heavy rainfall in Pohang. The soil tests were carried out to the soils obtained from landslide and non landslide sites, and the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c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이 연구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이암 풍화토층을 대상으로 산사태와 관련한 토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포항지역으로서 대부분 제 3기퇴적암으로 분류되는 이암풍화토층이 분포한 자연사면이다.
  • 이 연구의 주 목적은 실내시험을 통해 토질물성치를 구하고 이를 통계적인 투수계수산정모델에 적용하여 간단하게 투수계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함이다. 모델의 과정은 일차적으로 통계프로그램(SPSS)을 이용해 실내시험에서 구한 토질물성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후 투수계수와 상관성이 높은 토질인자를 선정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층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 2000; Hutchinson, 1988). 그리고 토층은 기반암 상부의 풍화잔류토와 퇴적물질 및 일부 풍화 암편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물질들은 산사태가 일어나는 지역의 지질과 연관성을 가지며, 풍화잔류토나 퇴적물들은 산사태지역의 암석풍화에 의하여 생성되므로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광물성분에 따라 토질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Kim et al., 2000, Kim, 2007).
산사태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이암 풍화토층의 토질 특성 분석연구의 결과는? (1) 이암풍화토로 구성된 자연사면에서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은 미발생지역에 비해 자갈크기와 세립토의 함유비율이 더 높고 모래크기의 입자들은 더 낮으며, 액성한계와 소성지수가 다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은 미발생지역에 비해서 간극률이 크고 단위중량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도는 양호하나 느슨한 토층지반의 특성상 큰 간극과 작은 단위중량을 지님으로써 산사태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산사태발생지역 및 미발생지역의 투수성이 큰 차이가 없으나, 연구대상지역의 토층이 전반적으로 투수성이양호하므로 토층이 더 쉽게 포화되어 하중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물이 더 빠르게 경계부에 달함으로써 토층의 파괴요인으로 작용하는 등 산사태에 더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상관성분석을 통해 여러 토질인자들과 투수계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효경, 간극비, 포화단위중량, 및 세립함유량이 투수계수에 유의한 영향인자인 것으로 평가됨으로써 이들 토질인자는 투수계수산정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에 해당된다. (5) 이 연구를 통하여 토질 물성만으로 이암 풍화토층의 투수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선형회귀식은 다음과 제시할 수 있다. 즉, 산사태 발생지역의 투수계수 =-0.067 + (0.0026×e) + (0.0358×rsub) + (0.0002×fines) + (0.635×D10)이고, 산사태 미발생지역의 투수계수 =-0.065 + (0.0162×e) + (0.0244×rsub) + (0.0001×fines) + (0.873×D10)이다. (6) 이 연구에서 제안된 투수계수 산정모델은 동일한 지질조건에서 국내 자연사면 토층지반을 대상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추후 더 많은 토질 자료를 추가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하고 그 적합성 검증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면지역에서의 개발이 갖는 문제점은? 대규모 토목공사 등으로 사면지역에서의 개발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집중호우시 불안정한 사면에서는 산사태가 많이 발생되고 그 피해규모도 크게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산사태들은 대부분 암반층 위 토층에서 발생 하기 때문에 산사태에 있어서 토질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e, B. G., Kim, W. Y., Cho, Y. C., Kim, K. S., Lee, C. O., and Choi, Y. S. (2004), "Development of a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Probabilistic Prediction of Debris Flow",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4, No.2, pp.211-222 (in Korean). 

  2. Darcy, H. (1856), "Les Fontaines Publiques de la Ville de Digon", Dalmont, Paris. 

  3. Giannecchini, R., and Pochini, A. (2003), "Geotechnical influence on soil slips in the Apuan Alps (Tuscany): first results in the Cardoso area". Pro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ast Movements-Prediction and Prevention for Risk Mitigation (IC-FSM 2003), pp.241-245. 

  4. Huchinson, J. N. (1988), "Morphological and geotechnical parameters of landslides in relation to geology and hydro geology", In Landslides, Proc. 5th Symp. on Landslides, 1, pp.3-35. 

  5. Kim, K. S. (2007), "Soi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of Natural Slopes in Busa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7, No.3, pp.471-481 (in Korean). 

  6. Kim, K. S., Kim, W. Y., Chae, B. G., and Cho, Y. C. (2000), "Engineering Geologic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Induced by Rainfall - Boeun, Chungcheong Buk-do-",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0, No.2, pp.163-174 (in Korean). 

  7. Kim, K. S., Kim, W. Y., Chae, B. G., Song, Y. S., and Cho, Y. C. (2005), "Engineering Geological Analysis of Landslides on Natural Slopes Induced by Rainfall",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7, No.2, pp.205-215 (in Korean). 

  8. Kim, W. Y., Chae, B. G., Kim, K. S., Cho, Y. C., Choi, Y. S., Lee, C. O., Lee, C. W., Kim, G. Y., Kim, J. H., and Kim, J. M. (2003), Study on Landslide Hazard Prediction,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KR-03-(T)-03, 339p (in Korean). 

  9. Lee, J. S., Lee, K. I., and Kim, K. W. (2002), "Shear and Compression Characteristics of Mudstone Sedimentary Soils Based on Slak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22, No.4C, pp.453-460 (in Korean). 

  10. Song, Y. S., Kim, K. S., and Chae, B. G. (2007), "Soi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ological Conditions in Landslide Area of Natural Terrain",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Institute of Chung-Ang University, Vol.1, pp.43-49 (in korean). 

  11. Um, S. H., Lee, D. W., and Bak, B. S. (1964),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 map of Pohang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