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세 이하의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Gram-Positive Uropathogens의 발생 빈도 및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and Incidence of Gram-positive Uropathogens in Pediatric Patients Younger than 1 Year of Age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7 no.2, 2013년, pp.65 - 72  

양태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임형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유기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요로감염은 대부분 그람 음성 균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병원내 감염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졌던 그람 양성균에 의한 요로감염이 증가하고 있고 일반적인 경험적 항생제에 내성이 증가하고 있어 균혈증 등으로 진행이 가능하지만 지역사회 획득 소아 요로감염에 미치는 연구들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세 이하의 지역사회 획득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그람 양성균이 요로감염의 중증도 및 동반 비뇨기계 기형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에 입원 치료한 1세 이하의 발열성 요로감염 소아 5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골 상부 방광 천자 및 도뇨관 으로 채취한 요 배양 검사에 따라 그람 양성균 군과 그람 음성균 군으로 나누어 입원 전후 발열 기간, 말초 혈액 내 백혈구 수와 혈청 C-반응성 단백, 수신증의 유무, 초기 신결손 및 신반흔의 유무, 방광요관역류의 유무 등의 항목들을 후향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 566명 중 그람 양성균 군은 23명, 그람 음성균 군은 543명 이었으며 그람 양성균 중 E. faecalis가 20주(71.4%)로 가장 많았고, 그람 음성균에서는 E. coli가 493주(86.8%)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그람 양성균 군의 평균 입원 전후 발열 기간은 $3.4{\pm}1.2$일 이었으며 그람 음성균 군은 $2.9{\pm}1.6$일로 그람 양성균 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배뇨 중 방광요도조영술상 방광요관역류는 그람 양성균 군에서 55.6%, 그람 음성균 군에서 17.8%로 그람 양성균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외 혈액 및 영상 검사 소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저자들은 그람 양성균에 의한 1세 이하의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발열 기간 및 방광요관역류가 증가 할 수 있으므로 요로감염의 치료에 있어 경험적 항생제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동반 기형을 찾기 위한 요로계 영상 검사와 추적 관찰이 꼭 필요함을 제시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Urinary tract infection (UTI) caused by gram-positive uropathogens is usually hospital-acquired and associated with predisposing conditions. However, the incidence of gram-positive bacteria in community-acquired UTIs has recently increased worldwid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요로계의 기형과 그람 양성균에 의한 요로감염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신생아를 포함한 1세 이하의 어린 영아를 대상으로 첫 발열성 요로감염에서 그람 양성균의 존재가 요로감염의 중증도 및 동반 요로계 기형과 연관이 있는지 알고자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지역 사획 획득 요로감염에서 그람 양성균의 존재는 발열 기간의 연장 및 방관요관역류의 존재와 연관이 있었다. 영아기 요로 감염은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인해 진단이 늦어지거나 초기 항생제 치료가 지연 되는 경우 그리고 방광요관역류와 같은 요로계 기형이 동반된 경우에는 반복적인 요로감염과 신손상으로 인해 고혈압, 만성 신부전과 같은 합병증이 병발하게 되므로 정확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6-8].
  • 이에 저자들은 지역사회 획득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그람 양성균의 존재가 요로감염의 중증도 및 동반 요로계 기형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로감염의 재발율은 어느정도인가? 요로감염은 소아의 감염 질환 중 두 번째로 흔한 질환으로 재발율이 약 10-30%에 이른다[1, 2]. 소아 요로감염의 발생 빈도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양하여 첫 요로 감염은 남아의 경우 12개월 미만의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영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3, 4], 생후 1년 내의 남녀 성비는 2.
소아 요로감염의 발생 빈도는 어떠한가? 요로감염은 소아의 감염 질환 중 두 번째로 흔한 질환으로 재발율이 약 10-30%에 이른다[1, 2]. 소아 요로감염의 발생 빈도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양하여 첫 요로 감염은 남아의 경우 12개월 미만의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영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3, 4], 생후 1년 내의 남녀 성비는 2.8-5.4:1, 1-2세 이후에는 1:10으로 여아에서 더 호발한다[5]. 증상은 없거나 비특이적 발열, 식욕부진 및 보챔 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쉽지 않아[6]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신반흔, 사구체 기능저하 및 성장 부진을 초래 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고혈압이나 말기 신부전으로 이환될 수 있다[7, 8].
소아 요로감염의 증상은 무엇인가? 4:1, 1-2세 이후에는 1:10으로 여아에서 더 호발한다[5]. 증상은 없거나 비특이적 발열, 식욕부진 및 보챔 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쉽지 않아[6]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신반흔, 사구체 기능저하 및 성장 부진을 초래 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고혈압이나 말기 신부전으로 이환될 수 있다[7, 8]. 특히, 1세 이전에는 수신증, 신우요관협착, 방광요관역류와 같은 요로계 해부학적 기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초음파를 비롯한 여러 가지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조기 진단이 필요하며 적절한 예방요법으로 신반흔 및 장기적인 신장 합병증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rohard B, Travis L. Infections of the urinary tract. Rudolph AM, Hoffman JIEPediatrics. 18th ed. East Normark, Appleton & Lange 1987:1197-202. 

  2. Williams G, Craig JC. Prevention of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Current opinion in infectious diseases 2009;22:72-6. 

  3. Winberg J, Andersen H, Bergstrom T, Jacobsson B, Larson H, Lincoln K. Epidemiology of symptomatic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hood. Acta Paediatrica 1974;63:1-20. 

  4. Shaikh N, Morone NE, Bost JE, Farrell MH. Preval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hood: a meta-analysis. 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2008;27:302-8. 

  5. Kwon YD, Kim MJ, Kim HU, Oh SH, Song JY, Ko JT, et al. Antibiotic sensitivity pattern of pathogens from children with UT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06;10:182-91. 

  6. Jodal U. The natural history of bacteriuria in childhood. 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 1987;1:713-29. 

  7. Hoberman A, Charron M, Hickey RW, Baskin M, Kearney DH, Wald ER. Imaging studies after a first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in young childre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3;348:195-202. 

  8. Jacobson SH, Eklof O, Eriksson CG, Lins L-E, Tidgren B, Winberg J. Development of hypertension and uraemia after pyelonephritis in childhood: 27 year follow up. BMJ: British Medical Journal 1989;299:703. 

  9. Merrick MV, Notghi A, Chalmers N, Wilkinson AG, Uttley WS. Long-term follow up to determine the prognostic value of imaging after urinary tract infections. Part 2: Scarring.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1995;72:393-6. 

  10. Bitsori M, Maraki S, Raissaki M, Bakantaki A, Galanakis E. Community-acquired enterococcal urinary tract infections. Pediatric Nephrology 2005;20:1583-6. 

  11. Ko YH, Oh JS, Cho DY, Bea JH, Koh SK. Changes of causative organisms and antimicrobial sensitivity of urinary tract infection between 1979 and 2001. Korean Journal of Urology 2003;44:342-50. 

  12. Wagenlehner F, Naber K. Emergence of antibiotic resistance and prudent use of antibiotic therapy in nosocomially 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2004;23:24-9. 

  13. Yiee J, Wilcox D. Management of fetal hydronephrosis. Pediatric Nephrology 2008;23:347-53. 

  14. Jaksic E, Bogdanovic R, Artiko V, Saranovic DS, Petrasinovic Z, Petrovic M, et al. Diagnostic role of initial renal cortical scintigraphy in children with the first episode of acute pyelonephritis. Annals of nuclear medicine 2011;25:37-43. 

  15. Jakobsson B, Svensson L. Transient pyelonephritic changes on 99mTechnetium-dimercaptosuccinic acid scan for at least five months after infection. Acta Paediatrica 1997;86:803-7. 

  16. Goldraich NP, Manfroi A.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Escherichia coli susceptibility to oral antimicrobials. Pediatric Nephrology 2002;17:173-6. 

  17. Lee S, Cho S, Kim S, Jeong D, Chung S, Lee K. Urinary tract infection in febrile infants with pyuria.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4;11:90-100. 

  18. Flegal KM, Carroll MD, Kuczmarski RJ, Johnson CL.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trends, 1960-1994.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1998;22:39-47. 

  19. Celebi S, Hacimustafaoglu M, Ozdemir O, Ozakin C. Nosocomial Gram-positive bacterial infections in children: Results of a 7 year study. Pediatrics International 2007;49:875-82. 

  20. Ma JF, Shortliffe LMD.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etiology and epidemiology. Ur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2004;31:517-26. 

  21. Cho TH, Kim BJ, Ma JS. Clinical and bacteriological studies of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Chonnam Medical Journal 1999;35:69-78. 

  22. Ryu KH, Kim MK, Jeong YB. A recent study on the antimicrobial sensitivity of the organisms that cause urinary tract infection. Korean Journal of Urology 2007;48:638-45. 

  23. Oh E, Lee H, Lim HS, Park Y. Epidemiology and Resistance Patterns of Bacterial Pathogens in Urinary Tract Infections in the Northern Gyeonggi-do Area during 2007-2011. Laboratory Medicine Online 2013;3:34-9. 

  24. Schlager TA.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of age. Paediatric drugs 2001;3:219-27. 

  25. Wu C-S, Wang S-M, Ko W-C, Wu J-J, Yang Y-J, Liu C-C.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s in children in a tertiary care hospital in southern Taiwan. Journal of Microbiology, Immunology and Infection 2004;37:169-75. 

  26. Choi WS, Seo YB, Jo YM, Kim JY, Kee SY, Jeong HW, et al. Epidemiology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bacteriuria caused b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06;38:242-9. 

  27. Schouten M, Voss A, Hoogkamp-Korstanje J.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enterococci causing infections in Europe.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1999;43: 2542-6. 

  28. Muratani T, Matsumoto T. Bacterial resistance to antimicrobials in urinary isol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2004;24:28-31. 

  29. Noble W, Virani Z, Cree RG. Co-transfer of vancomycin and other resistance genes from Enterococcus faecalis NCTC 12201 to Staphylococcus aureus . FEMS Microbiology Letters 1992;93:195-8. 

  30. Kim SH, Lim TJ, Kim HY, Park SE, Kim S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cquired Enterococcal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13;17:19-24. 

  31. Berger C, Uehlinger J, Ghelfi D, Blau N, Fanconi S. Comparison of C-reactive protein and white blood cell count with differential in neonates at risk for septicaemia.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995;154:138-44. 

  32. Choi L, Cho SE, Yim HE, Yoo KH, Hong YS, Lee JW. Clinical Significance of Pyuria in Pediatric Patients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11;15:66-75. 

  33. Jung JI, Lim DH, Yim HE, Park MS, Yoo KH, Hong YS, et al. Fever duration and renal scar in pediatric urinary tract inf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08; 12:70-7. 

  34. Michael Zerin J. Hydronephrosis in the neonate and young infant: current concepts. Seminars in Ultrasound, CT and MRI; 1994: Elsevier, 1994: 306-16. 

  35. REPRESENTATIVES L. Practice Parameter: The Diagnosis, Treatment, and Evaluation of the Initial Urinary Tract Infection in Febrile Infants and Young Childre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Quality Improvement. Subcommittee on Urinary Tract Infection. Pediatrics 1999;103. 

  36. Newman TB. The new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urinary tract infection guideline. Pediatrics 2011;128:572-5. 

  37. Peru H, Bakkaloglu SA, Soylemezoglu O, Buyan N, Hasanoglu E. The relationship between urinary tract infections and vesicoureteral reflux in Turkish children. International urology and nephrology 2009;41:947-51. 

  38. Honkinen O, Lehtonen O-P, Ruuskanen O, Huovinen P, Mertsola J. Cohort study of bacterial species causing urinary tract infection and urinary tract abnormalities in children. BMJ: British Medical Journal 1999;318:770. 

  39. Davis NF, Flood HD. The Pathogenesis of Urinary Tract Infections. 

  40. Montini G, Zucchetta P, Tomasi L, Talenti E, Rigamonti W, Picco G, et al. Value of imaging studies after a first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in young children: data from Italian renal infection study 1. Pediatrics 2009;123:e239-e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