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신 처리 농도 및 시기에 따른 갈대 지상경 삽목 효율
Cutting Efficiency Using Phragmites australis Culms According to Content and Timing of Indole-acetic Acid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5 no.1, 2013년, pp.35 - 41  

홍문기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갈대 지상경 채취시기와 관련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을에 채취한 갈대에 생장조절 식물호르몬인 옥신(IAA)을 다양한 농도($10^{-3}$ M, $10^{-6}$ M, $10^{-9}$ M, $10^{-12}$ M)로 처리하였다. 2012년 9월 5일, 상당 부분 경화가 진행된 산지 습지 갈대에 옥신을 처리한 결과 240개의 절편으로부터 총 19개의 경엽부 출현이 확인되었으며, $10^{-6}$ M에서 옥신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지 습지로부터 이식하여 서울대학교에서 1년간 생육시켜온 갈대의 경우 약 2주 가량 늦게(2012년 9월 19일) 실험을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0^{-6}$ M의 옥신 처리 후 60개의 삽목 절편으로부터 총 50개의 경엽부가 출현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방법으로 약 40일 가량 더 경과한 시점인 10월 29일 삽목 실험 결과 60개의 절편으로부터 오직 2개의 경엽부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선 두 실험 시 서울의 기온이 $20^{\circ}C$ 안팎이었던데 반해 세 번째 실험시엔 $10^{\circ}C$ 수준으로 부정아 형성이 이뤄지기엔 다소 낮은 기온이 그 원인으로 보여 진다. 삽목 절편의 직경이 두꺼울수록 출현 경엽부의 직경도 두꺼웠으며(경엽부의 직경은 삽목한 절편 직경의 약 20% 수준이었다.), 이는 더 큰 초고 생장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되도록 두꺼운 갈대 절편을 삽목에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tried to overcome a limit in cutting timing of reed culm by applying a plant hormone, indole-acetic acid (IAA) as a growth regulator with various contents ($10^{-3}$ M, $10^{-6}$ M, $10^{-9}$ M, $10^{-12}$ M). 19 shoots emerged from 240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서로 다른 농도에서 부정근(adventitious root)이나 눈(bud) 등의 발생을 달리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옥신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어떤 농도의 옥신이 갈대 지상경 삽목 효율성 증진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상경 삽목을 위한 적정 시기로 제안되는 여름 이후의 여러 시기에 채취한 갈대에 옥신을 처리하여 어떠한 농도의 옥신 처리와 처리 시기(삽목 시기)가 지상경 삽목 효율에 적합한지 규명함으로써 늦은 삽목 시기와 관련된 한계점을 보완해 보고자 하였다.
  • 먼저 서로 다른 농도에서 부정근(adventitious root)이나 눈(bud) 등의 발생을 달리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옥신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어떤 농도의 옥신이 갈대 지상경 삽목 효율성 증진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상경 삽목을 위한 적정 시기로 제안되는 여름 이후의 여러 시기에 채취한 갈대에 옥신을 처리하여 어떠한 농도의 옥신 처리와 처리 시기(삽목 시기)가 지상경 삽목 효율에 적합한지 규명함으로써 늦은 삽목 시기와 관련된 한계점을 보완해 보고자 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대 지상경 삽목에 있어 이와 같은 지상경 삽목 시기 문제로 인한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직접적인 연구들은 국내외로 충분히 수행되질 못했다(Hong and Kim, 2011, 2012). 본 연구에서는 늦은 삽목 시기로 인해 낮아질 수 있는 지상경 삽목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생장 조절 식물 호르몬인 옥신 (IAA, indole-acetic acid)을 처리하였다. 실제로 육상 초본이나 목본 등을 대상으로 옥신이나, 합성 옥신인 2,4-D를 활용한 연구들은 몇 차례 진행된 바 있으나 (Ka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대를 증식시키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02).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갈대를 증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종자를 활용한 유성생식 방법과 지상경이나 지하경을 활용한 무성생식 방법 그리고 캘러스 분화를 유도하는 조직배양기술 등이 알려져 있다(Hwang et al., 1996; Jeong and Shim, 1999; Jeong et al.
갈대란 어떤 종인가? ex Steud.]는 다년생 정수식물로서 다양한 미생물이나 동물의 먹이와 서식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담수습지 및 염습지 등 여러 종류의 습지 생태계에서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조성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며, 생태적 가치 또한 높은 종이다(Lee et al., 2001; Oh and Ihm, 1983; Rejmánková, 2012; Ro et al.
지상경 삽목시 한계점은 무엇인가? 지상경 삽목 시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로 절편부위와 더불어 채취시기가 있다(Hong and Kim, 2011). 너무 이른 시기일 경우 갈대의 초고 생장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해 부정아가 발생하는 마디가 포함된 절편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어렵고 너무 늦을 경우 기온이 낮아지며 줄기가 딱딱해지는 경화로 지상경의 무성생식 능력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지상경 채취 시기의 경우 보통 6, 7월의 여름이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Hwang et al., 1996), 갈대 개체군이 분포한 지역의 위도나 고도 등의 기후 조건이나 여러 가지 환경 차이 등으로 동일한 채취시기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Hong and Kim, 2011, 2012). 즉 지역 및 생활사에 따라 적절히 채취시기를 달리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적절한 채취시기를 놓칠 경우 높은 삽목 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dcock, PW and Ganf, GG (1994). Growth characteristics of three macrophyte species growing in a natural and constructed wetland system,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29(4), pp. 95-102. 

  2. Amoo, SO, Finnie, JF, and Van Staden, J (2009). Effects of temperature, photoperiod and culture vessel size on adventitious shoot production of in vitro propagated Huernia hystrix,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99(2), pp. 233-238. 

  3. Asaeda, T and Karunaratne, S (2000). Dynamics modeling of the growth of Phragmites australis: Model description, Aquatic Botany, 67(4), pp. 301-318. 

  4. Chambers, PA (1987). Light and nutrients in the control of aquatic plant community structure. II. In situ Observation, J. of Ecology, 75(3), pp. 621-628. 

  5. Choung, YS, Oh, HK, Roh, CH, and Hwang, KS (1999). Shoot cutting effects on the productivity and nutrient removal of some wetland plants, Korean J. of Environmental Biology, 17(4), pp. 459-465. [Korean Literature] 

  6. Haslam, SM (1970). The performance of Phragmites communis Trin. in relation to water-supply, Annals of Botany, 34(4), pp. 867-877. 

  7. Hogg, EH and Wein, RW (1987). Growth dynamics of floating Typha mats: Seasonal translocation and internal deposition of organic material, Oikos, 50(2), pp. 197-205. 

  8. Hong, MG and Kim, JG (2012). Growth characteristics of cutting culms sec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three reed population,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Technology, 15(1), pp. 53-62. [Korean Literature] 

  9. Hong, M-G, and Kim, JG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cutting efficiency using culms of reed with genetic, environmental and methodological differences, J. of Wetlands Research, 13(3), pp. 603-611. [Korean Literature] 

  10. Hwang, IT, Choi, JS, Lee, HJ, Hong, KS, and Cho, KY (1996). Establishment of herbicide screening methods for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control - 1. Propagation of reed -, Korean J. of Weed Science, 16(1), pp. 21-27. [Korean Literature] 

  11. Jeong, DY and Shim, SR (19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lanting methods for Phragmites spp.,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2), pp. 51-57. [Korean Literature] 

  12. Jeong, GJ, Kim, MG, and An, WY (2003). A fundamental study on the effect to build up a vegetation strip at stream confluence by using reed mat,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Technology, 6(4), pp. 62-73. [Korean Literature] 

  13. Ju, YG (1998). A study on the planting methods of reeds in the Tideland, J.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6(3), pp. 35-40. [Korean Literature] 

  14. Kang, YKi, Ko, MR, Kang, SY, and Riu, KZ (2005). Several factors affecting to rooting of stem cuttings in Rubus Buergeri Miquel, Korean J. of Medicinal Crop Science, 13(3), pp. 77-80. [Korean Literature] 

  15. Kato, Y and Ozawa, N (1978). Adventitious bud formation on leaf and stem segments of Heloniopsis orientalis grown at various temperatures, Plant and Cell Physiology, 20(3), pp. 491-497. 

  16. Kim, C-S and Kim, Z-S (2007). Effects of auxin and fog treatments on the green-wood cutting of the mature trees in Prunus yedoensis, J. of Korean Forest Society, 96(6), pp. 676-683. [Korean Literature] 

  17. Kim, IJ, Kim, MJ, Nam, SY, Lee, CH, and Kim, HS (2004). Effects of bedsoil and growth regulator on cutting propagation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Korean J. of Medicinal Crop Science, 12(4), pp. 285-288. [Korean Literature] 

  18. Klimes, L (2000). Phragmites australis at an extreme altitude: Rhizome architecture and its modelling, Folia Geobotanica, 35(4), pp. 403-417. 

  19. League, MT, Colbert, EP, Seliskar, DM, and Gallagher, JL (2006). Rhizome growth dynamics of native and exotic haplotypes of Phragmites australis (common reed), Estuaries and Coasts, 29(2), pp. 269- 276. 

  20. Lee, GM and Kim, JG (2012). Effects of rhizome length and node numbers on the proliferation of Menyanthes Trifoliata cuttings, J. of Wetlands Research, 14(2), pp. 193-198. [Korean Literature] 

  21. Lee, HHM, Kwon, OB (2002). Development of floatingislands with a sod mat by shooting and rooting from shoot nodes of common reed,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Technology, 5(1), pp. 59-65. [Korean Literature] 

  22. Lee, HHM, Kwon, OB, Seog, JH, and Jo, GH (2001). Selection of suitable plants for artificial floating islands - Comparison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growth of four emergent macrophytes-,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Technology, 4(1), pp. 87-96. [Korean Literature] 

  23. Lee, JE, Seo, SG, Kim, BK, Woo, SM, Koo, BC, Park, TH, Lim, YP, and Kim, SH (2012). Induc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the reed grass (Phragmites communis Trin.), African J. of Biotechnology, 11(8), pp. 1904-1911. 

  24. Oh, KH and Ihm, BS (1983). Seasonal changes in the productivity and soil nutrients of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the salt marsh of the sumjin - River Estuary, Korean J. of Ecology, 6(2), pp. 90-97. [Korean Literature] 

  25. Rejmankova, E (2011). The role of macrophytes in wetland ecosystems,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4), pp. 333-345. 

  26. Ro, HM, Choi, WJ, Lee, EJ, Yun, SI, and Choi, YD (2002). Uptake patterns of N and P by reeds (Phragmites australis) of newly constructed Shihwa tidal freshwater marshes, Korean J. of Ecology, 25(5), pp. 359-364. [Korean Literature] 

  27. Spence, DHN (1982). The zonation of plants in freshwater lakes, Advances in Ecological Research, 12, pp. 37-125. 

  28. Straub, PF, Decker, DM, and Gallagher, JL (1988). Tissue culture and long-term regeneration of Phragmites australis (Cav.) Trin. ex Steud,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15(1), pp. 73-78. 

  29. Yang, Y-G, Guo, Y-M, Guo, Y, Guo, Z-C, and Lin, J-X (2003). Regeneration and large-scale propagation of Phragmites communis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75(3), pp. 287-2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