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2농도 및 온도 상승이 하천변 잠재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 잎의 형태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CO2 and Temperature on the Leaf Morphological Responses of Quercus serrata and Quercus aliena,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Riverin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5 no.2, 2013년, pp.171 - 177  

조규태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해란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정헌모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유영한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의 참나무 중 하천변 잠재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를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의 핵심 요소인 $CO_2$농도와 온도를 상승시킬 때 잎의 형태학적 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유리온실 내에서 대기 중의 $CO_2$농도를 그대로 반영한 대조구와 이보다 $CO_2$농도는 약 1.6배와 온도는 $2.2^{\circ}C$상승시킨 온난화처리구에서 실험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졸참나무와 갈참나무는 $CO_2$농도와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잎폭 길이, 잎몸 무게 그리고 엽면적이 증가하고 잎 수와 비엽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졸참나무는 잎폭 길이, 잎몸 길이, 잎몸 무게, 잎 수, 엽면적 그리고 비엽면적 모두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갈참나무는 잎폭 길이와 잎몸 무게의 증가, 비엽면적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이상의 잎의 형태학적 반응으로 볼 때, 갈참나무는 $CO_2$농도와 온도에 대하여 졸참나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성분분석 결과, 두 종은 요인 1과 2에 의해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에서 배열에 차이가 있었고, 온난화처리에 대한 변화는 졸참나무보다 갈참나무에서 명확히 구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leaf morphological responses of Quercus serrata and Q. aliena which ar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riverine in Korea under elevated $CO_2$ and increased temperature. Rising $CO_2$ concentration was treated with 1.6 times than control(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참나무 중 하천변 잠재 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를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의 핵심 요소인 CO2농도와 온도를 상승시켜 잎의 형태학적 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2시비효과란 무엇인가? 이렇게 잎의 형태적 특성은 생리활동과 생장반응에 큰 영향을 미친다(Sim and Han, 2003). CO2농도의 증가가 식물의 생장을 증진시키는 것을 CO2시비효과(CO2-fertilization effect)라 부른다(Park, 1993; Park, 2003).
대기중 CO2농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CO2 농도의 증가는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원인이다(Kobayashi, 2006). 대기중 CO2농도는 산업화 이전에 약 280ppm 이었으나(IPCC, 2007), 2009년에는 약 385ppm으로 산업화 이전에 비해 38% 증가하였다(Ho¨nisch et al., 2009).
$CO_2$농도와 온도를 상승시킬 때 잎의 형태학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본 논문의 연구에서 졸참나무와 갈참나무가 차이를 보인 부분은 무엇인가? 그 결과, 졸참나무와 갈참나무는 $CO_2$농도와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잎폭 길이, 잎몸 무게 그리고 엽면적이 증가하고 잎 수와 비엽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졸참나무는 잎폭 길이, 잎몸 길이, 잎몸 무게, 잎 수, 엽면적 그리고 비엽면적 모두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갈참나무는 잎폭 길이와 잎몸 무게의 증가, 비엽면적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이상의 잎의 형태학적 반응으로 볼 때, 갈참나무는 $CO_2$농도와 온도에 대하여 졸참나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lbert, K. R., Mikkelsen, T. N., Michelsen, A., Ro-Poulsen, H. and van der Linden, L. (2011). Interactive effects of drought, elevated $CO_{2}$ and warming on photosynthetic capacity and photosystem performance in temperate heath plants,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68(13), pp. 1550-1561. 

  2. Beon, M. S. (2000). Germination and Growth of Oaks (Quercus serrata, Q. mongolica, Q. variabilis) Seedlings by Gradient of Light Intensity and Soil Mois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4), pp. 183-189. [Korean Literature] 

  3. Cho, K. T., Kim, H. R., Jeong, H. M., Lee, K. M., Kim, T. K., Kang, T. G. and You, Y. H. (2012). Effect of Light on the Growth Responses of Quercus serrata and Q. aliena to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4(4), pp. 597-605. [Korean Literature] 

  4. Enoch, H. Z. and Honour, S. J. (1993). Significance of increasing ambient $CO_{2}$ for plant growth and survival, and interactions with air pollution, NATO ASI Series, 16, pp. 51-75. 

  5. Enoch, H. Z. and Hurd, R. G. (1977). Effect of light intens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leaf temperature on gas exchange of spray caenation plants,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28, pp. 84-95. 

  6. Fender, A. C., Mantilla-Contreras, J. and Leuschner, C. (2011). Multiple environmental control of leaf area and its significance for productivity in beech saplings, Trees-Structure and Function, 25(5), pp. 847-857. 

  7. Ferris, R. and Taylor, G. (1993). Contrasting effects of elevated $CO_{2}$ on the root and shoot growth of four native herbs commonly found in chalk grassland, New Phytologist, 125, pp. 855-866. 

  8. Garbutt, K., Williams, W. E. and Bazzaz, F. A. (1990). Analysis of the differential response of five annuals to elevated $CO_{2}$ during growth, Ecology, 7(3), pp. 1185- 1194. 

  9. Gunn, S., Farrar, J. F., Collis, B. E. and Nason, M. (1999). Specific leaf area in barley: individual leaves versus whole plants, New Phytologist, 143, pp. 45-51. 

  10. Han, Y. S., Kim, H. R. and You, Y. H. (2012). Effect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Ecological Responses of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Endangered Hydrophyt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4(2), pp. 169-180. [Korean Literature] 

  11. He, J. S., Wolfe-Bellin, K. S. and Bazzaz, F. A. (2005). Leaf-level physiology, biomass and reproduction of Phytolacca americana under conditions of elevated $CO_{2}$ and altered temperature regim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 166(4), pp. 615-622. 

  12. Houghton, J. T., Jenkins, G. J. and Ephraums, J. J. (1990). Climate change: the IPCC Scientific Asses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Great Britain, pp. 364. 

  13. Honisch, B., Hemming, N. G., Archer, D., Siddall, M. and McManus, J. F. (2009).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cross the Mid Pleistocene transition, Science, 324(5934), pp. 1551. 

  14.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working group II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New york, U.S.A., pp. 176. 

  15. Jeong, H. M., Kim, H. R. and You, Y. H. (2009). Growth Difference among Saplings of Quercus acutissima,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under the Environmental Gradients Treat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7(1), pp. 82-87. [Korean Literature] 

  16. Jeong, J. K., Kim, H. R. and You, Y. H. (2010).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Growth Response of Quercus acutissima and Q. variabilis1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6), pp. 648-656. [Korean Literature] 

  17. Kim, H. J., Shin, B. K., You, Y. H. and Kim, C. H. (2008).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the Present-day Potential Natural State of Water for Flood Plain Restoration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5), pp. 564-594. [Korean Literature] 

  18. Kim, H. R. and You, Y. H. (2010).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Response of Seed Germination, Phenology and Leaf Morphology of Phytolacca insularis(Endemic species) and Phytolacca americana(Alien species)1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1), pp. 62-68. [Korean Literature] 

  19. Kim, S. B. (2008). Wetlands and Environment Resources, Worin Publisher, pp. 61-83. [Korean Literature] 

  20. Kim, S. Y and Kang, H. J. (2003). Effects of elevated atmospheric $CO_{2}$ on wetland plants: a review,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5(4), pp. 391-402. 

  21. Kobayashi, N. (2006). Global Warming and Forest Business(3th ed.). Bomoondang, Seoul. pp 268. 

  22. Korea Meterological Adminstration. 2008. Report of Global Atmosphere Watch 2008, Seoul, Korea, pp. 177. (in Korean) 

  23. Lee, M. J. (2007).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and ecological planting model subject of the principal Quercus community in Korea, Ph. 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 188. [Korean Literature] 

  24. Lee, S. K., You, Y. H. and Yi, H. B. (2010). The Growth Response of Quercus dentata Sapling to the Environmental Gradients Treatment,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20(4), 597-601. [Korean Literature] 

  25. Lim, H. Kim, H. R. and You, Y. H. (2012). Growth Difference between th Seedlings of Quercus serrata and Q. aliena under light,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4(2), pp. 237-242. [Korean Literature] 

  26. No, H. J. and Jeoung, H. Y. (2002). Easy to Understand Statistical Analysis by STATISTICA, Hyungseul Publisher, pp. 535-556. [Korean Literature] 

  27. Norby, R. J and O'Neill, E. G. (1991). Leaf area compensation and nutrient interactions in $CO_{2}$ -enriched seedlings of yellow-poplar(Liriodendron tulipifera L.), New Phytologist, 117, pp. 515-528. 

  28. Park, H. R. (2003). Global warming and its effects and preventive, Uyoug, Seoul, pp. 285. 

  29. Park, J. H., Chung, M. G., Sun, B. Y., Kim, K. J., Pak, J. H. and Park, C. W. (2005). Numerical analysis of Quercus L. subgenus Quercus (Fag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ists, 35(1), pp. 57-80. [Korean Literature] 

  30. Park, W. K. (1993). Increasing atmospheric carbon dioxide and grewth trends of korean subalpine conifer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2(1), pp. 17-25. 

  31. Poorter, H., Pot, S. and Lambers, H. (1988). The effects of an elevated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of Plantago major, Physiologia Plantarum, 73(4), pp. 553-559. 

  32. Radoglou, K. M. and Jarvis, P. G. (1990.) Effects of $CO_{2}$ enrichment on four Poplar clones. I. Growth and leaf anatomy, Annals of Botany, 65(6), pp. 617-626. 

  33. Rasineni, G. K., Guha, A., Reddy, A.R. (2011). Responses of Gmelina arborea, a tropical deciduous tree species, to elevated atmospheric $CO_2$ : Growth, biomass productivity and carbon sequestration efficacy. Plant Science, 181(4), pp. 428-438. 

  34. Shin, D. H., Kim, H. R. and You, Y. H. (2012).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Increased Temperature on the Change of the Phenological and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Phytolocca insularis, a Korea endemic plant,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4(1), pp. 1-9. [Korean Literature] 

  35. Sim, J. S. and Han, S. S. (2003).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iduous Oak Species(III) - Photosynthetic Responses of Leaves to Change of Light Intensity.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2(3), pp. 208-214. 

  36. Song, M. S. (2008).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ssociation structure on the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Forest in Korea, Ph. D.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105-110. [Korean Literature] 

  37. Tomas, S. C. and Bazzaz, F. A. (1996). Elevated $CO_{2}$ and leaf shape: Are dandelions gertting toothier?, American Journal of Botany, 83(1), pp. 106-111. 

  38. You, K. B. (2010). Geography: a portal to green growth,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5(1), pp. 11-25. 

  39. You, Y. H., Gi, K. J., Han, D. U., Kwak, Y. S. and Kim, J. H. (1995). Succession and Heterogeneity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am,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18(1), pp. 89-9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