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마비 환자의 계단과 경사로 보행 동안 하지의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 Analysis of Lower Extremities during Staris and Ramp Walking with Hemiplegic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5 no.5, 2013년, pp.297 - 302  

천동환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kinematic gait parameter of lower extremities with different gait conditions (level walking, stair, ramp) in hemiplegic patients. Methods: Ten hemipleg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kinematic data were measured using a 3D mo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할에서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평지뿐만 아니라 계단과 경사로와 같은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곳에서의 운동학적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나 현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편마비 환자의 계단과 경사로 보행의 운동학적 요소들이 평지 보행에 대해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하여 다리 관절의 움직임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편마비 환자의 하지관절 각도의 변화에 대해 알아 보았다. 보행 주기 중 마비측 발목 관절의 발뒤꿈치 딛기와 발가락 떼기 시에 그리고 마비측 엉덩관절의 발가락 떼기와 유각기의 최대 각도에서 각도가 증가하였다.
  • 낙상을 발생시키는 요인은 내적 요인으로 시력장애, 하지근력 약화, 균형감각과 보행능력 감소, 만성질환과 약물 등이 있으며21 외적 요인으로는 안전하지 않은 환경 등이 있다22. 본 연구에서는 낙상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는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를 하는 동안 편마비 환자의 하지 관절의 운동학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 이 연구는 편마비 환자의 평지보행, 계단 오르기, 경사로 오르기에 따른 마비측 비마비측 하지의 운동학적 요소를 알아보았다.
  •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평지보행과 비교하여 하지관절의 운동학적 요소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보행 조건 (평지, 계단, 경사로)에 따른 보행주기의 각 시점에서 하지관절의 각도 변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one-way repeated measure of ANOVA)을 사용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단 오르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계단 오르기는 평지를 걷는 것 다음으로 흔히 접할 수 있는 일상생활 동작 중 하나인데 입각기와 유각기로 시기가 나누어 지는 것은 평지 보행과 유사하지만 평지보행보다 많은 힘이 필요하고 계단의 높이와 기울기에 따라 하지 힘의 패턴이 달라지는 점이 차이가 있으며, 하나의 보가 진행되면서 수평이동과 함께 수직이동이 나타나는게 특징이다.3,4 경사로 오르기는 일상생활에서 인간에게 꼭 필요한 동작으로 옥외에서 수직이동을 하는 수단으로 중요하며 유모차, 휠체어, 자전거등 바퀴 달린 기구들의 운행이 어려운 계단과 비교하여 유용한 이동경로라 하였다.
뇌졸중은 뇌병변 부위에 따라서 어떤 증상을 동반하는가? 뇌졸중은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 등의 원인으로 뇌내 경색이나 출혈로 인하여 중추신경계의 운동 세포나 전도로에 손상을 주어 장애가 생기는 질병으로 뇌졸중 환자의 40%가 약한 기능 손상을 갖게 되고, 15~30%가 심각한 장애를 갖게 된다17,18. 뇌병변의 부위에 따라 운동장애, 감각장애, 지각 장애, 언어장애, 인지장애, 요실금을 동반하게 된다19,20.
편마비 환자에게 보행을 향상 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는 근 약화, 비정상적인 근긴장도, 운동패턴, 신체의 균형과 체중 이동능력의 결함, 그리고 세밀한 기능 수행능력이 상실되어 운동조절을 하는데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1 이로 인해 선자세의 균형을 유지하고 보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일상생활에서 독립된 삶을 영위 하는데 지장을 받게 되므로 편마비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운동 능력은 보행을 향상 시키는 데 있다고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1231-6. 

  2. Bohannon RW, Horton MG, Wikholm JB. Importance of four variables of walking to patients with stroke. Int J Rehabil Res. 1991;14(3):246-50. 

  3. Christina KA, Cavanagh PR. Ground reaction forces and frictional demands during stair descent: effects of age and illumination. Gait & Posture. 2002;15(2):153-8. 

  4. McFadyen BJ, Winter DA. An integrated biomechanical analysis of normal stair ascent and descent. J Biomech. 1988;21(9):733-44. 

  5. Yoon NS, Yi KO, Kim JY. Kinematic comparison of walking on various inclined walkway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1998;13(1):89-101. 

  6. Ryu NH. Walkability on ramps by gait analysis.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Bimonthly. 1995;23(2):2157-66. 

  7. Corlett EN, Hutchenson C, Delugan MA et al. Ramps or stairs : the choices using physiologycal and biomechanics criteria. Appl Ergon. 1972;3(4):195-201. 

  8. Kim DY, Park CI, Jang YW et al. Kinematic and Kinetic Comparison between Stair Climbing and Level Walking. J korean Acad Rhabil Med. 2001;25(6):1048-58. 

  9. Wilken JM, Sinitski EH, Bagg EA. The role of lower extremity joint powers in successful stair ambulation. Gait & Posture. 2011;34(1):142-4. 

  10. Hsue BJ, Su FC. The effect of cane use method on center of mass displacement during stair ascent. Gait & Posture. 2010;32(4):530-5. 

  11. Kim YS. Muscle activation patterns of stair gait in hemiplegic patients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006;14(1):1-15. 

  12. Oh TY, Song HJ, Lee SG et al. Characteristics of knee joint flexion angle and foot pressure according slope climbing. JKCA. 2010;10(2):268-76. 

  13. Han JT. Comparison of pathway of COP and planter foot pressures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 slope. J Korean Soc Phys Ther. 2010;22(5):77-82. 

  14. Han JT. Kinematic analysis of head and trunk movements of young adult while climbing stairs or a ramp. J Korean Soc Phys Ther. 2010;22(6):21-8. 

  15. Han JT, Hwangbo G. Kinematic analysis of lower extremities during stairs and ramp climbing with older adults. Korean J Spor Biomech. 2009;19(3):435-48. 

  16. Yang DJ, Jang IY, Park SK, et al. Influence of Transition from the Half-Kneel to Standing Posture in Hemiplegic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2011;23(5):49-56. 

  17. Park CH, Chung BH. Effects of treadmill training in hyperextension of the knee and cade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KAUTPT. 2001;8(1):89-106. 

  18. Duncan PW, Homer RD, Reker DM. Adherence to Post acute Rehabilitation Guideline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2002;33(36):169-78. 

  19. Kottke F, Lehanmann J.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th edition, WB Saunder CO., 1990;69(6):337-8. 

  20. Mahabir D, Bickman L, Gulliford MC. Stroke in Trinidad and Tabago: burden of illness and risk factors. Rev Panam Salud Publication. 1998;4(4):233-7. 

  21. Lawlor DA, Patel R, Ebrahim S.(2003).Association between falls in elderly women and chronic diseases and drugs use: cross sectional study. BMJ. 2003; 327(7417):712-7. 

  22. Aizen E, Shugeav L, Lenger R.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falls during inpatient rehabilitation of elderly patients. Arch Gerontol Geriatrics. 2007;44(1):1-12. 

  23. Youn SH, Kim BO. Gait analysis an introduction Clinical Gait Analysis. seoul, sejin, 1994:111-2. 

  24. Han JT, Lee JD. Bae SS.(2005). The 3D Motion Analysis of Kinematic Variety on Lower Extremity during Ramp Ascent at Different Inclinations. J Korean Soc Phys Ther. 2005;17(4):633-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