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STS430) 이면전단 볼트접합부의 구조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s of Double Shear Bolted Connections Fabricated with Ferritic Stainless Steel (STS430)원문보기
일면전단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탄소강에 관한 많은 실험 및 해석적 연구가 수행되어졌고, 수정된 내력평가식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볼트배열(2행 1열, 2행 2열)과 하중방향 연단거리를 주요변수로 하여 이면전단 볼트접합부 실험체가 제작되었고, 단순인장실험이 실시되었다. 고정변수로는 하중직각방향 연단거리, 볼트직경, 피치, 게이지를 설정하였다. 최대내력과 파단형태와 같은 실험결과와 현행기준식에 의한 예측결과와 비교 검토되었다. 볼트배열에 따른 블록전단내력평가식이 제안되었다.
일면전단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탄소강에 관한 많은 실험 및 해석적 연구가 수행되어졌고, 수정된 내력평가식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볼트배열(2행 1열, 2행 2열)과 하중방향 연단거리를 주요변수로 하여 이면전단 볼트접합부 실험체가 제작되었고, 단순인장실험이 실시되었다. 고정변수로는 하중직각방향 연단거리, 볼트직경, 피치, 게이지를 설정하였다. 최대내력과 파단형태와 같은 실험결과와 현행기준식에 의한 예측결과와 비교 검토되었다. 볼트배열에 따른 블록전단내력평가식이 제안되었다.
Many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earches for thin-walled carbon steel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have been conducted and the modified design equations of ultimate strength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tests of doub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bolt arran...
Many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earches for thin-walled carbon steel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have been conducted and the modified design equations of ultimate strength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tests of doub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bolt arrangements ($2{\times}1$, $2{\times}2$) and end distance parallel to the loading direction as main variables were performed. Specimens were planed with a constant dimension of edge distance perpendicular to the loading direction, bolt diameter, pitch and gauge like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The test results such as ultimate strength and fracture mod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urrent design standards. Furthermore, modified block shear equations for double shear bolted connections were suggested.
Many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earches for thin-walled carbon steel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have been conducted and the modified design equations of ultimate strength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tests of doub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bolt arrangements ($2{\times}1$, $2{\times}2$) and end distance parallel to the loading direction as main variables were performed. Specimens were planed with a constant dimension of edge distance perpendicular to the loading direction, bolt diameter, pitch and gauge like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The test results such as ultimate strength and fracture mod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urrent design standards. Furthermore, modified block shear equations for double shear bolted connections were suggest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5(e) 5(f), 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종료시 종국파단형상은 순단면파단이지만, 볼트간의 인장파단에 의해서 실험체의 최대내력이 결정된 것으로 순단면파단 형상의 블록전단파단으로 가정한다.
제안 방법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STS430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STS304)에 비해 내식성 및 용접성은 떨어지나, 해안가나 화학공장 등의 가혹한 환경이 아닌 일반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구조재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적용한 구조부재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존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STS430)의 박판 일면전단 볼트접합부의 연구결과[9]를 토대로 이면전단 볼트접합부의 파단형태, 최대내력 등을 조사하기 위해 단순인장 실험을 실시하였고[10], 실험결과와 KBC[11](한국건축구조기준), AISC[12](미국강구조협회), AIJ[13](일본건축학회), AISI[14](미국철강협회), ASCE[15](미국토목학회) 등의 현행기준식에 의해 계산된 내력을 비교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한고 파단메커니즘을 고려한 수정 내력식을 제안한다.
2%오프셋 방법으로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0.2%오프셋 항복강도점의 접선구배가 초기탄성구배에 비해 저하되고 항복강도가 상승하므로, 일본의 JIS Z 2241에 따라, 본 연구의 스테인리스강의 항복강도는 0.1% 오프셋방법으로 산정하였다.
볼트접합부 실험체의 구성은 기존 이면전단접합부 실험연구의 방법을 토대로[16] Fig. 3과 같이 외부고정체(평판두께 12mm) 2개와 중간고정체(평판두께 3mm) 1개로 구성된 고정측과 하부 중앙부에 실험측으로 분리하여 제작하였다. 외부고정체 2개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재인 SM45C로, 중간고정체는 보통강인 SS400으로 제작하였다.
실험체는 Fig. 3과 같이 조립하고 상부측에 중간고정체를 하부측에는 실험대상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평판을 위치시켜 만능시험기(UTM)를 사용하여 단순인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중방향 강제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변위계(LVDT) 2개를 Fig.
4와 같이 실험체 후방에 설치한다. 본 실험에서는 만능시험기의 자동제어를 위해 Winsoft 프로그램의 강제변위 제어방법을 채택하여 0.5mm/min의 일정한 속도로 하중방향변위를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이면전단 볼트접합부 실험체의 단순인장 실험결과 얻어진 최대내력(Pue), 최대내력 결정시점의 파단형태 및 실험종료시 파단형태를 Table 3에 정리하였다. 실험체간 측정된 실제 평판두께가 상이하므로 이를 공칭평판두께(3.0mm)의 값으로 보정한 최대내력(PueC)을 산정하였다. 또한, 하중방향 연단거리(e)의 증가에 따른 볼트접합부의 내력상승 추이를 고찰하기 위해서 동일 볼트배열 접합부에서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가장 작은 접합부(DSF2T 30E30와 DSF 4T30E30)의 최대내력(PueC_e=30)으로 기준화한 값(PueC/ PueC_e=30 : 각 볼트배열에서 각실험체 보정내력을 하중방향연단거리, e=30mm인 실험체보정내력으로 나눈 값)을 Table 3에 포함하였다.
에서 다음과 같이 설계식이 규정되어 있고, 각 파단형태로 부터 얻어진 내력 중 최솟값을 볼트접합부의 최대내력으로 간주한다. 상기의 현행기준식으로부터 계산된 최대내력과 실험결과 얻어진 최대내력과 비교하여 현행 기준식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KBC, AISC, AIJ, AISI 기준은 탄소강에 대한 볼트접합부 네가지 유형(순단면 파단, 종전단파단, 지압파단, 블록전단파단)의 내력식을 제시하고 있고 ASCE에서는 냉간성형 스테인리스강의 구조부재에 대한 내력식을 규정하고 있다.
우선, 기준식에 의해 예측된 최소 내력을 갖는 파단형태에 따른 비교·결과를 고찰한다.
현행 기준식에 의해 예측된 최소내력을 갖는 파단형태에 따른 비교·결과를 고찰한다.
블록전단내력의 산정시에 볼트간 순단면 인장파단내력(Antσu)과 하중방향 전단저항 총단면의 전단파단내력(Agvτu)의 합으로 하고 있고, 여기서, 전단파단내력 산정시필요한 전단응력을 σu/#로 치환하여 식 (23)과 같이 블록전단파단식을 추천하였다.
DSF4T30시리즈 볼트접합부는 3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험결과에서 최대내력은 모두 볼트간 인장파단에서 결정되었지만, 세가지 유형의 종국파단형태(전형적인 블록전단파단, 혼합형 블록전단파단, 순단면파단)를 보였다. 그러나, 하중-변위 곡선과 실험도중의 관찰로부터 하중직각방향 볼트간 인장파단에 의해 최대내력이 결정된 후, 추가적으로 측단방향으로 인장파단이 발생되었기 때문에 통상적인 순단면 파단으로 분류하지 않고 블록전단파단의 한 유형으로 본 논문에서는 간주하였다. 식 (1)에 의해 계산된 DSF4T30E48과 DSF4 T30E48접합부의 순단면 파단내력(Put)은 178.
그러나, Table 7에서와 같이 2행 1열 볼트접합부의 경우에는 AIJ기준에 의해 블록전단파단내력을 평균 13% 낮게 평가되고 있다. 볼트 배열이 1열로 하중방향 볼트간 간격인 피치거리가 전단저항 단면적에 포함되지 않고, 볼트간 인장파단후, 하중방향 연단쪽으로 즉시 전단파단이 발생한다는 개념과 Mises항복이론을 적용하여 내력력평가식을 제안해 본다. 블록전단내력의 산정시에 볼트간 순단면 인장파단내력(Antσu)과 하중방향 전단저항 총단면의 전단파단내력(Agvτu)의 합으로 하고 있고, 여기서, 전단파단내력 산정시필요한 전단응력을 σu/#로 치환하여 식 (23)과 같이 블록전단파단식을 추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볼트배열(2행 1열, 2행 2열)과 하중방향 연단거리(30~60mm)를 변수로 하여 공칭두께 3.0mm,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STS430) 평판으로 제작된 이면전단 볼트접합부 8개에 대한 단순인장실험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97%로, KS D 3698(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에서 규정하는 최소항복강도 및 최대항복강도 기준, 205MPa이상, 450MPa이상, 22%이상을 각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체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 이면전단 볼트접합부에서 각 변수에 따른 구조거동을 조사하기 위해 Fig. 2와 같이, 2행 1열 및 2행 2열 볼트배열에 따라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체는 공칭두께 3.
접합에 사용한 볼트는 볼트자체의 전단파단이 아닌 평판부에서의 최대내력을 결정하는 종국파단을 유도하기 위해서 고력볼트(F10T)를 사용하였다. 실험측과 외부고정체는 볼트직경 12mm인 고력볼트로, 중간고정체와 두개의 외부고정체는 볼트직경 20mm인 고력볼트 6개로 체결하였다. Table 2에 나타낸 실험체명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또한, 하중방향 연단거리(e)의 증가에 따른 볼트접합부의 내력상승 추이를 고찰하기 위해서 동일 볼트배열 접합부에서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가장 작은 접합부(DSF2T 30E30와 DSF 4T30E30)의 최대내력(PueC_e=30)으로 기준화한 값(PueC/ PueC_e=30 : 각 볼트배열에서 각실험체 보정내력을 하중방향연단거리, e=30mm인 실험체보정내력으로 나눈 값)을 Table 3에 포함하였다. 실험종료시 파단양상은 2행 1열과 2행 2열 볼트접합부는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짧은 30mm, 36mm 실험체에서는 블록전단파단이 관측되었으나, 연단거리가 48mm 이상의 실험체는 서로 상이했다. 그러나, 최대내력이 결정된 시점에서의 파단양상은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간 인장파단으로 모든 실험체에 대해 동일하게 나타났다.
Table 5, 7은 실험결과 최대내력(Pue)을 기준으로 설계기준식(Put)에 의한 내력을 비교한 통계적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ASCE 기준에서 블록전단파단에 대한 내력평가식이 없으므로 Table 4에는 블록전단파단(BS)내력을 제외한 세가지 파단형태인 순단면파단(N), 종전단파단(E), 지압파단(B)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각 기준식에서 가정하는 블록전단파단 조합을 볼트배열에 따라 Fig.
Table 4로부터 AISC, AIJ, AISI 기준식에 의해 예측된 파단형태는 2행 1열 볼트접합부에서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비교적 짧은 실험체는 실험결과의 종국파단형태(BS)와 일치하고 있지만, 하중방향 연단거리 60mm를 갖는 실험체에 대해서는 기준식에 의한 예측파단형태(B 또는 E)는 실험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SCE에 의해 DSF2T30E30 실험체에 대해 종전단파단(E)가, 나머지 실험체는 지압파단(B)이 예측되었다. 실험 최대내력에 대한 기준식 최대내력비(Put/Pue)는 0.
3과 같이 외부고정체(평판두께 12mm) 2개와 중간고정체(평판두께 3mm) 1개로 구성된 고정측과 하부 중앙부에 실험측으로 분리하여 제작하였다. 외부고정체 2개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재인 SM45C로, 중간고정체는 보통강인 SS400으로 제작하였다. 접합에 사용한 볼트는 볼트자체의 전단파단이 아닌 평판부에서의 최대내력을 결정하는 종국파단을 유도하기 위해서 고력볼트(F10T)를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그 결과, 오스테나이트계(STS304, 니켈함유) 스테인리스강 고유의 재료적 특성과 박판의 역학적 거동을 고려해 기존의 후판강재에 적용되고 있는 볼트접합부의 내력식을 수정·보완하였다.
항복강도(σy)는 327.01MPa, 인장강도(σu)는 464.74MPa, 연신율(EL)은 34.97%로, KS D 3698(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에서 규정하는 최소항복강도 및 최대항복강도 기준, 205MPa이상, 450MPa이상, 22%이상을 각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c)~ 5(f)에서와 같이 세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번째로,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가장 작은 DSF4T30E30 접합부는 볼트 간 인장파단에 의해 최대내력이 결정된 후 하중방향 전단파단 되는 전형적인 블록전단 파단이 발생되었다(Fig. 5(c)).
그러나, 최대내력이 결정된 시점에서의 파단양상은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간 인장파단으로 모든 실험체에 대해 동일하게 나타났다. 하중방향 연단거리 증가함에 따라 보정최대내력(PueC)도 2행 1열, 2행 2열 볼트배열의 접합부에 대해 각각 최대 41%, 2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SF2T30시리즈 접합부는 실험결과 종국상태에서 블록전단 파단(BS, 볼트간 인장파단 또는 항복+하중방향 종전단파단 또는 항복)을 나타났다. 우선, 기준식에 의해 예측된 최소 내력을 갖는 파단형태에 따른 비교·결과를 고찰한다.
우선, 기준식에 의해 예측된 최소 내력을 갖는 파단형태에 따른 비교·결과를 고찰한다. Table 4로부터 AISC, AIJ, AISI 기준식에 의해 예측된 파단형태는 2행 1열 볼트접합부에서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비교적 짧은 실험체는 실험결과의 종국파단형태(BS)와 일치하고 있지만, 하중방향 연단거리 60mm를 갖는 실험체에 대해서는 기준식에 의한 예측파단형태(B 또는 E)는 실험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SCE에 의해 DSF2T30E30 실험체에 대해 종전단파단(E)가, 나머지 실험체는 지압파단(B)이 예측되었다.
ASCE에 의해 DSF2T30E30 실험체에 대해 종전단파단(E)가, 나머지 실험체는 지압파단(B)이 예측되었다. 실험 최대내력에 대한 기준식 최대내력비(Put/Pue)는 0.75~0.94범위로 전반적으로 기준식에 의해 접합부의 내력을 과소평가되었다(Table 5).
DSF4T30시리즈 볼트접합부는 3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험결과에서 최대내력은 모두 볼트간 인장파단에서 결정되었지만, 세가지 유형의 종국파단형태(전형적인 블록전단파단, 혼합형 블록전단파단, 순단면파단)를 보였다. 그러나, 하중-변위 곡선과 실험도중의 관찰로부터 하중직각방향 볼트간 인장파단에 의해 최대내력이 결정된 후, 추가적으로 측단방향으로 인장파단이 발생되었기 때문에 통상적인 순단면 파단으로 분류하지 않고 블록전단파단의 한 유형으로 본 논문에서는 간주하였다.
ASCE에 의해서는 모든 실험체가 종전단파단(E)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험 최대내력에 대한 기준식 최대내력비(Put/Pue)는 AISC가 평균 0.96, AIJ가 평균 1.01을 나타냈으며, 비교적 양호한 대응을 보여주고 있다. AISI에 의해서는 평균 11%정도 실험체의 내력이 과소평가되었다(Table 5, Table 7).
2행 1열 및 2행 2열 이면전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볼트접합부의 실험 및 현행기준식의 내력예측식의 비교·결과로부터 제안한 식 (23)과 (9)에 근거하여 계산된 접합부의 최대내력을 Table 8에 정리하였다. 8개 실험체의 실험최대내력에 대한 제안식의 평균 최대내력비(Put/Pue)는 0.99(변동계수 : 0.049)로 실제의 블록전단의 파단메커니즘과 일치하며, 예측정도는 상승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2행 1열의 경우, 하중직각방향 볼트간 인장파단이 발생한 후, 하중방향으로 볼트구멍 외곽선에서 양쪽으로 전단파단되는 전형적인 블록전단파단이 발생하였다.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내력도 최대 41%까지증가하였다.
(3) 블록전단을 포함한 네가지의 파단형태에 따른 내력식을 제안하고 있는 현행기준식 AISC, AIJ, AISI에 의한 예측 최대내력 및 파단형태를 실험결과와 비교한 결과, AISC와 AISI는 전반적으로 접합부의 내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IJ에 의해서는 2행 1열의 경우는 평균 13%정도 내력을 과소평가하였지만, 2행 2열의 볼트접합부는 블록전단내력이 실험과 양호한 대응을 보여주었다.
AIJ에 의해서는 2행 1열의 경우는 평균 13%정도 내력을 과소평가하였지만, 2행 2열의 볼트접합부는 블록전단내력이 실험과 양호한 대응을 보여주었다. 블록전단파단선 메카니즘은 AIJ와 AISI의 예측결과가 실험결과(순단면 볼트간 인장파단과 전단저항 총단면 파단의 조합)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추후, 박판거동특성 및 재료성질차이를 고려해 추가적인 실험 및 변수해석을 통해 다른 볼트배열과 평판두께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테인리스강이 탄소강에 비해 갖는 장점은 무엇인가?
스테인리스강은 탄소강에 비해 우수한 내식성, 내구성, 내화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국내외에서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비구조재뿐만 아니라 구조부재로써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테인리스강의 건축물에 있어서 구조부재로써의 역학적 거동에 관한 연구의 시발점은 1950년대에 Johnson and Winter(1966)[1]에 의한 냉간성형(박판) 스테인리스강의 기둥과 보부재의 거동에 대한 연구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실험에서 볼트배열(2행 1열, 2행 2열)과 하중방향 연단거리(30~60mm)를 변수로 하여 공칭두께 3.0mm,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평판으로 제작된 이면전단 볼트접합부에 대한 단순인장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어떠한가?
(1) 2행 1열의 경우, 하중직각방향 볼트간 인장파단이 발생한 후, 하중방향으로 볼트구멍 외곽선에서 양쪽으로 전단파단되는 전형적인 블록전단파단이 발생하였다. 하중방향 연단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내력도 최대 41%까지증가하였다.
(2) 2행 2열 볼트배열에서는 종국상태에서 3가지 유형의 파단형태 (전형적인 블록전단파단, 볼트간 인장파단후 동시에 하중방향전단파단과 한쪽의 측단부로 인장파단, 볼트 간 인장파단후 양측단으로 인장파단). 각 종국파단형태는 상이했지만, 모두 볼트간 인장파단에 의해 최대내력이 결정되었다.
(3) 블록전단을 포함한 네가지의 파단형태에 따른 내력식을 제안하고 있는 현행기준식 AISC, AIJ, AISI에 의한 예측 최대내력 및 파단형태를 실험결과와 비교한 결과, AISC와 AISI는 전반적으로 접합부의 내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IJ에 의해서는 2행 1열의 경우는 평균 13%정도 내력을 과소평가하였지만, 2행 2열의 볼트접합부는 블록전단내력이 실험과 양호한 대응을 보여주었다. 블록전단파단선 메카니즘은 AIJ와 AISI의 예측결과가 실험결과(순단면 볼트간 인장파단과 전단저항 총단면 파단의 조합)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현행기준식의 블록전단파단형태와 최대내력의 비교결과, 블록전단파단 내력식으로 2행 2열 접합부의 내력식으로 AIJ식(식 (9))을, 2행 1열 접합부의 경우는 미세스(Mises)항복이론을 적용한 전단파단강도를 산정하여 식 (23)을 추천하였다.
스테인리스강의 건축물에 있어서 구조부재로써의 역학적 거동에 관한 연구의 시발점은 무엇인가?
스테인리스강은 탄소강에 비해 우수한 내식성, 내구성, 내화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국내외에서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비구조재뿐만 아니라 구조부재로써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테인리스강의 건축물에 있어서 구조부재로써의 역학적 거동에 관한 연구의 시발점은 1950년대에 Johnson and Winter(1966)[1]에 의한 냉간성형(박판) 스테인리스강의 기둥과 보부재의 거동에 대한 연구결과로 볼 수 있다. AISI(미국철강협회)에서는 1968년 세계최초로 냉간성형 스테인리스강 구조부재의 설계기준을 제정하고[2], 그 이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미국, 유럽, 일본, 호주 등의 설계기준이 개정·보완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16)
Johnson, A.L. and Winter, G. (1966) Behavior of stainless steel columns and beams, Journal Structural Division, ASCE, Vol. 92, No. 10, pp.97-118.
AISI (1968)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of light gage cold-formed stainless steel structural members, AISI.
임성우, 장인화(2003) 스테인리스 304 강재의 국부좌굴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5권, 제1호, pp.51-57. Im, S.W. and Chang, I.H. (2003) A Study on the Local Buckling Strength of Stainless Steel 304,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15, No. 1, pp.51-57 (in Korean).
이명재, 김희동(2005) 스테인리스 각형강관기둥의 최대 내력,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7권, 제1호, pp.73-82. Lee, M.J. and Kim, H.D. (2005) The Maximum Strength of Stainless Steel Rectangular Hollow Section Columns and Beam-Colum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17, No. 1, pp.73-82 (in Korean).
Kuwamura, H. and Isozaki, A. (2002) Ultimate Behavior of Fastener Connections of Thin stainless Steel Plates, Journal of Structura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Vol. 6, No. 556, pp.159-166.
Kim, T.S. and Kuwamura, H. (2007) Finite element modeling of bolted connections in Thin-walled stainless steel plates under static shear, Thin-walled Structures, Vol. 45, No. 4, pp.407-421.
김민성, 김태수, 김승훈, 이용택(201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STS304) 앵글 볼트 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3권, 제1호, pp.29-39. Kim, M.S., Kim, T.S., Kim, S.H., and Lee, Y.T. (2011) An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Bolted Angle Connections wi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23, No.1, pp.29-39.
임진성, 김태수, 김승훈, 이용택(2010)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STS430) 박판 일면전단 볼트접합부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2010년도 학술대회발표집, 한국강구조학회, pp.219-220. Lim, J.S., KIM, T.S., KIM S.H., and Lee, Y.T.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Behavior of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Thin-walled Ferritic Stainless Steel,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pp.219-220 (in Korean).
김지훈, 이용택, 김승훈, 김태수(2012)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볼트접합부의 연단거리에 대한 변수 해석,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32권, 제2호, pp.459-460. KIM, J.H., Lee, Y.T., KIM, S.H., and KIM, T.S. (2012) Parametric Analysis on End/Edge distance of Ferritic stainless Bolted Connections,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Architectrural Institute of Korea, AIK, Vol. 32, No. 2, pp.459-460 (in Korean).
김민성, 김태수, 김승훈, 이용택(2010)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STS430) 박판 볼트접합부의 종국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30권, 제1호, pp.141-142. KIM, M.S., KIM, T.S., KIM, S.H., and Lee, Y.T.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Ultimate Behavior of Bolted Connections with Thin-walled Ferritic Stainless Steel,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Architectrural Institute of Korea, AIK, Vol. 30, No. 1, pp.141-142 (in Korean).
대한건축학회(2009)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KBC2009). AIK (2009) Korean Building Code and Commentary, Architecural Institute of Korea (in Korean).
AISC (2001), Manual of Steel Construction-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3rd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AIJ (2002) Recommendations for Limit State Design of Steel Structur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AIS (2007) North American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of Cold-Formed Steel Structural Members, AISI S100-07, 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
ASCE (2002)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of coldformed stainless steel structural members. SEI/ASCE-8-02,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김태수, 김민성, 정하영, 이용택, 김승훈(2010) 탄소강일면전단과 이면전단 볼트접합부의 종국거동의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구조계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6권, 제4호, pp.31-38. KIM, T.S., KIM, M.S., Lee, Y.T., and KIM, S.H. (2010) Comparative Study on Ultimate Behavior of Single shear and Doub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Thin-walled Carbon Steel, Journal of Architectrural Institute of Korea, AIK, Vol. 26, No. 4, pp.31-38 (in Korea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