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캡플레이트를 이용한 장스팬용 춤이 깊은 데크의 휨성능 개선
Improvement of Flexural Performance for Deep-Deck Plate using Cap Plate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5 no.5 = no.126, 2013년, pp.555 - 567  

박기연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남윤선 (토담엔지니어링) ,  최영환 (삼성물산(주)플랜트부문) ,  김영호 (세진특허법률사무소) ,  최성모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철골구조의 층고를 절감을 위해 유럽을 중심으로 춤이 깊은 데크를 사용한 슬림플로어 공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장스팬과 층고절감을 요구하는 건물이 증가하고 있지만 7m이상 장스팬에 춤이 깊은 데크를 적용 시 과도한 처짐에 의한 사용성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스팬에 적용되는 춤이 깊은 데크의 콘크리트 타설시 처짐의 사용성 및 개방형 단면의 불안정성에 의한 휨비틀림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Cap형태의 plate(이하 '캡 플레이트')를 두가지 형태(Flat, Hat)로 개발하고 보강 길이와 위치의 최적화를 이론적 계산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 캡플레이트를 춤이 깊은 데크의 골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상부 개방형 불안전성을 극복하고 단면의 강성을 증대시켜 중앙부 처짐을 제어하고자 한다. 캡 플레이트의 설치위치와 보강길이에 따른 휨서능 개선의 효과를 해석과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lim floor system using deep decks has been developed and employed in Europe to reduce the floor height of steel structures. Although long span buildings involving the issue of reducing floor height are being increasingly built in Korea, employing deep decks in more than 7m long span structures is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스팬에 적용되는 춤이 깊은 데크의 콘크리트 타설시 처짐의 사용성 및 개방형 단면의 불안정성에 의한 휨 비틀림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Cap형태의 plate(이하 '캡 플레이트')를 춤이 깊은 데크의 골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상부 개방형 불안전성을 극복하고 단면의 강성을 증대시켜 중앙부 처짐을 제어하는데 목적을 두고 캡 플레이트의 설치에 따른 휨성능 개선의 효과를 해석과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 현재 시공 중 JF 데크가 갖는 사용성 문제는 주로 박판이라는 점과 개방형 단면이라는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휨강성 증가와 개방형 단면의 폐쇄화로 기존 JF 데크의 안정성 향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개방된 골의 상부에 캡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김상섭 외 2인의 연구[8]와 같이 연속화 방안을 고안하였다. 즉, Fig.
  •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휨강성 증가와 개방형 단면의 폐쇄화로 기존 JF 데크의 안정성 향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개방된 골의 상부에 캡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김상섭 외 2인의 연구[8]와 같이 연속화 방안을 고안하였다. 즉, Fig. 4와 같이 개단면을 폐단면화하여 단면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고 부가적으로 단면의 강성을 증대시켜 데크의 시공 중 하중에 대한 중앙부 처짐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가설 설정

  • 7과 같이 4개의 절점이 있으며 각 절점마다 6개의 자유도(X, Y, Z축 방향의 변위 및 회전)를 가지고 좌굴해석을 지원하는 Shell S4R 요소이다.해석방법은 비선형 해석으로 재료 비선형을 고려한 해석이며 부재의 전단면이 재료의 고유특성인 탄성계수, 항복응력, 포아송비 등의 응력-변형률 관계가 항상 만족한다는 가정하에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층건물의 층고절감은 어떤 측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가? 최근에 고층건물의 층고절감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최대의 임대면적을 창출하고 공기단축 등 경제성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유럽을 중심으로 H-형 강이나 각형강관의 하부 플랜지에 플레이트를 추가로 용접한 비대칭 철골보와 춤이 깊은 데크를 철골보 부재의 플랜지에 용접된 플레이트 위에 오도록 하여 층고를 줄이는 슬림플로어(Slim floor) 시스템의 연구[1],[2],[3]가 활발히 진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춤이 깊은 데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Deck의 휨내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작은 보를 생략할 목적으로 2003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개발[4]하고 J사에서 생산하고 있는 Fig.
캡플레이트가 처짐에 미치는 영향은 설치 위치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그러나, 캡플레이트가 처짐에 미치는 영향은 설치 위치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앙부에 캡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경우, 캡플레이트의 길이가 전체 스팬의 1/4일 때 처짐 제어 능력이 두드러지기 시작하였으나 캡플레이트를 양단부에 설치하는 경우, 각 캡플레이트의 길이가 전체 스팬의 3/8인 2250mm 이 되어야 그 효과가 두드러지기 시작하였다.
5m이상 장스팬에 춤이 깊은 데크를 적용할 경우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최근에 대형마트, 주차장 등 장스팬과 층고절감을 요구하는 건물이 증가하면서 춤이 깊은 데크의 적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5m이상 장스팬에 춤이 깊은 데크를 적용 시 처짐에 의한 사용성 문제로 동바리의 설치와 개방형 단면으로 인한 횡비틀림 등 형상 불안정 문제로 데크플레이트의 장점을 못살려 시공성 저해를 초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V. Marimuthu est al.(2007) Experimental studies on composite deck slabs to determine the shearbond charateristic (m-k) values of the embossed profiled sheet,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JCSR, Vol. 63, No. 6, pp.791-803. 

  2. 신태송(2003) 데크플레이트의 휨 강도에 관한 기준 비교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5권, 제1호, pp.25-31. Shin, T.S. (2004) An Investigation into differences between codes for the Moment Strength of Deck Pl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15, No. 1, pp.25-31 (in Korean). 

  3. 허병욱, 곽명근, 배규웅, 정상민(2007) 강판성형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9권, 제3호, pp.247-258. Heo, B.W, Kwak, M.K, Bae, K.W., and Jung, S.M. (2007) Flexural Capacity of the Profiled Steel Composite Bea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19, No. 3, pp.247-258 (in Korean). 

  4. 배규웅(2003) 춤이 깊은 합성데크(Deep Deck)를 사용한 슬림플로어(Slim Floor) 공법의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 연구보고서. Bae, K.W. (2003) Slim Floor method development of using the Deep-Deck,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in Korean). 

  5. 최홍청(2005) 춤이 깊은 데크 플레이트 형상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명정보대학교. Choi, H.C. (2005) A Study on the Shape Development of Deep-Deck Plate, M.S. dissertation, Tong Myong University, Korea (in Korean). 

  6. 허병욱, 배규웅, 문태섭(2004) 매입형(슬림플로어)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6권, 제2호, pp.587-598. Heo, B.W, Bae, K.W., and Moon, T.S. (2004) Flexural Capacity of Encased Composite Beam with Hollow Core PC Slab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16, No. 2, pp.587-598 (in Korean). 

  7. 배규웅, 이상섭, 박금성(2013) 매닮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의 휨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5권, 제1호, pp.25-34. Bae, K.W, Lee, S.S., and Park, K.S. (2013)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for the Slabs using the Suspending Deck pla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25, No. 1, pp.25-34 (in Korean). 

  8. 김상섭, 박동수, 부윤섭(2011) 직봉의 기능을 포함한 합성보의 전단연결재 개발과 성능평가,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3권, 제6호, pp.726-736. Kim, S.S., Park, D.S., and Boo, Y.S. (2011)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hear Connector of Composite Beam with Vertical Ba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23, No. 6, pp.726-736 (in Korean). 

  9. 이수권, 양재근, 송창석, 장은영, 문준철(2011) HRC 복합보의 연결플레이트 보강법에 따른 구조성능실험, 한국 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3권, 제3호, pp. 377-384. Lee, S.K, Yang, J.K, Song, C.S, Jang, E.Yl., and Moon, J.C. (2011) An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HRC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ypes of Connection Plate with Stud Bo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23, No. 3, pp.377-384 (in Korean). 

  10. 대한건축학회(1999) 냉간성형강 구조설계기준 및 해석. Cold-Formed Steel Desig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in Korean). 

  11. AISI Standard(2008) Cold-Formed Steel Design, America Iron and Steel Institute, USA. 

  12. 대한건축학회(1998), 합성데크 바닥구조 설계기준(안), pp.6. Composite Deck Slab Standard(Proposal),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6 (in Korean). 

  13. ANSI/ASCE 3-91 (1991) Standard for the structural design of composite Slabs, pp.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