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음파 방법을 이용한 실리카 나노비드의 단층 정렬에 관한 연구
Ultrasound-Aided Monolayer Assembly of Spherical Silica Nanobeads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2 no.6, 2013년, pp.298 - 305  

윤상희 (숙명여자대학교 화학과) ,  윤서영 (숙명여자대학교 화학과) ,  이진석 (숙명여자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토버 방법(St$\ddot{o}$ber method)을 이용하여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비드(silica nanobead)를 합성하였으며 초음파(sonic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 위에 실리카 나노비드를 단층(monolayer)으로 정렬시켰다. 유리기판위에 처리된 분자층은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CP-TMS)와 polyethyleneimine (PEI)가 사용되어졌고 합성된 나노비드는 톨루엔에 분산시킨 뒤 초음파방법으로 유기기판위에 부착되어졌다. 수행되어진 초음파방법은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SO (sonication without stacking) 모드와 두 개의 깨끗한 유리 기판 사이에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SS (sonnication with stacking) 모드로 구분지어 적용되었으며, 기판위에 정렬된 실리카 나노비드의 무게는 마이크로 저울(microbalance)을 이용하여 측정한 뒤 점유도(degree of coverage, DOC)를 계산하였다. 결론적으로, SO 모드에서는 DOC가 단기간에 가파르게 상승하여 140% 이상까지 도달했지만 다층(multi-layer)구조가 많이 발견되는 특징이 있었고, SS 모드에서는 DOC가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SO 모드보다 느리게 진행되었지만 보다 밀집(close-packing)된 형태의 단층구조가 관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form silica nanobeads were synthesized by St$\ddot{o}$ber method and assembled in the form of monolayer on glass substrate using sonication method. Before the assembly of silica nanobeads, glass substrates were treated with molecular linkers, such as CP-TMS and PEI, and nanobead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시간이 지나면 상온으로 식혀준 후 다량의 깨끗한 톨루엔으로 씻어준다. CP-TMS가 처리된 유리 기판(CP-G)을 질소 가스로 건조시킨 후, polyethylenimine (PEI)을 사용하여 다시 한 번 CP-G 표면을 처리하였다. 0.
  • 1B의 그래프로 나타나 있으며 그 값을 보면 평균에 가까운 크기의 비드가 주를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균일하게 합성된 나노비드들은 초음파방법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 위에 정렬되어졌는데, SO 모드와 SS 모드로 구분하여 부착실험과 탈착실험이 진행되어졌다. SO 모드는 PE-G만 독립적으로 테플론 서포터에 세우는 방식이고 SS 모드는 두 장의 BG 사이에 PE-G 한 장을 끼워 그 세트를 테플론 서포터에 세우는 방식을 의미한다.
  • 2C). 본 실험에 서는 CP-G에 PEI를 코팅해서 만들어진 PE-G를 CP-G대 신에 사용함으로써, 나노비드와 PEI 간의 다수의 수소 결합을 통하여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Fig.
  • 우리는 초음파방법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된 유리 기판위에 실리카 나노비드를 부착시키고 정렬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행되어진 초음파방법은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SO 모드와 두 개의 깨끗한 유리 기판사이에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SS 모드로 구분지어 적용되었으며, 공통적으로 단시간 내에 실리카 나노비드를 유리 기판위에 부착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SO 모드에 비하여 SS 모드를 사용하였을 때가 정렬된 나노비드의 밀집도가 높은 상태의 단층구조가 유리 기판위에 얻어졌다.
  • 우리는 초음파방법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된 유리 기판위에 실리카 나노비드를 부착시키고 정렬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행되어진 초음파방법은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SO 모드와 두 개의 깨끗한 유리 기판사이에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SS 모드로 구분지어 적용되었으며, 공통적으로 단시간 내에 실리카 나노비드를 유리 기판위에 부착시킬 수 있었다.
  • 2A, B). 초음파 장비의 파워는 95 W로 설정하고, 시간에 따른 DOC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정렬 후, 나노비드가 부착된 유리 기판(SB-G)은 수직으로 세워서 건조시킨다.

대상 데이터

  • 유리기판(18×18 mm2)을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CP-TMS)분자로 처리하기 전, piranha 용액에 1시간 이상 담가둔 후 많은 양의 D.D water로 씻어내어 유기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로 준비한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스토버 방법(Stober method)을 통해 실리카 나노비드를 합성하고,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CP-TMS)와 polyethyleneimine (PEI)가 처리된 유리 기판 위에 초음파방법(sonic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실리카 나노비드를 정렬하였다. PEI 폴리머 코팅의 도입은 실리카 나노비드의 둥근 모양으로 인해 기판과 나노비드의 접촉 면적이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나노비드가 기판위에 밀집하고 균일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연구되어진 초음파방법은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SO (sonication without stacking) 모드와 두 개의 깨끗한 유리 기판(bare glass, BG) 사이에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SS (sonnication with stacking) 모드로 구분하여 부착실험 (Attachment test)과 탈착실험(Detachment test)이 수행되어졌으며, 정렬 후에는 무게측정을 통하여 점유도(degree of coverage, DOC)와 밀집도(degree of close packing, DCP), 결합 세기(Binding Strength, BS) 등이 조사되었다 [35].
  • 실험에 쓰인 실리카 나노비드는 스토버 방법(Stober method)으로 만들어졌고 나노비드의 평균 지름은 620.35 nm이었으며 표준편차는 14.76 nm이었다(Fig. 1A). 나노비드의 크기별 분포도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빌딩블록들을 기판위에 정렬하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연구되었는가? 이러한 빌딩블록들을 기판위에 정렬하는 방법으로는 퇴적(sedimentation) [27], 증발(evaporation) [28], 흡착 (adsorption) [29], Langmuir?Blodgett [30], 스핀코팅 (spincoating) [31], 환류법(reflux) [32-34] 등과 같은 자기조립(self-assembly) 방법과 고체상태의 입자들을 기판위에 직접 문질러서 정렬시키는 매뉴얼 정렬 방법(manual assembly) 등이 주고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기판의 넓은 영역위에 동일한 균일도를 갖는 단층형성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단계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 제시된, 초음파방법은 정렬 방법이 단순하고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입자들을 단층의 형태로 기판위에 정렬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SO 모드와 두 개의 깨끗한 유리 기판 사이에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SS 모드 두가지 초음파방법 중 어떤 것이 더 좋게 정렬되었는가? 수행되어진 초음파방법은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SO 모드와 두 개의 깨끗한 유리 기판 사이에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SS 모드로 구분지어 적용되었으며, 공통적으로 단시간 내에 실리카 나노비드를 유리 기판위에 부착시킬 수 있었다. 하지 만, SO 모드에 비하여 SS 모드를 사용하였을 때가 정렬된 나노비드의 밀집도가 높은 상태의 단층구조가 유리 기판위에 얻어졌다.
초음파방법의 장점은? 이러한 빌딩블록들을 기판위에 정렬하는 방법으로는 퇴적(sedimentation) [27], 증발(evaporation) [28], 흡착 (adsorption) [29], Langmuir?Blodgett [30], 스핀코팅 (spincoating) [31], 환류법(reflux) [32-34] 등과 같은 자기조립(self-assembly) 방법과 고체상태의 입자들을 기판위에 직접 문질러서 정렬시키는 매뉴얼 정렬 방법(manual assembly) 등이 주고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기판의 넓은 영역위에 동일한 균일도를 갖는 단층형성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단계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 제시된, 초음파방법은 정렬 방법이 단순하고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입자들을 단층의 형태로 기판위에 정렬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J. S. Lee, J. H. Kim, Y. J. Lee, N. C. Jeong, and K. B. Yoon, Angew. Chem. Int. Ed. 46, 3087 (2007). 

  2. W. B. Russel, D. A. Saville, and W. R. Schowalter, Colloidal Dispers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9), p. 525. 

  3. K. B. Yoon, Acc. Chem. Res. 40, 29 (2007). 

  4. K. B. Yoon, Bull. Kor. Chem. Soc. 27, 17 (2006). 

  5. J. A. Lee, L. Meng, D. J. Norris, L. E. Scriven, and M. Tsapatsis, Langmuir 22, 5217 (2006). 

  6. Z. P. Lai, G. Bonilla, I. Diaz, J. G. Nery, K. Sujaoti, M. A. Amat, E. Kokkoli, O. Terasaki, R. W. Thompson, M. Tsapatsis, and D. G. Vlachos, Science 300, 456 (2003). 

  7. G. T. P. Mabande, S. Ghosh, Z. P. Lai, W. Schwieger, and M. Tsapatsis, Ind. Eng. Chem. Res. 44, 9086 (2005). 

  8. S. Li, Z. Li, K. N. Bozhilov, Z. Chen, and Y. Yan, J. Am. Chem. Soc. 126, 10732 (2004). 

  9. Z. Wang, A. Mirta, H. Wang, L. Huang, and Y. Yan, Adv. Mater. 13, 1463 (2001). 

  10. Z. Wang, A. Mirta, H. Wang, L. Huang, and Y. Yan, Adv. Mater. 13, 746 (2001). 

  11. P. Laine, R. Seifert, R. Giovanoli, and G. Calzaferri, New J. Chem. 21, 453 (1997). 

  12. G. Calzaferri, O. Bossart, D. Bruhwiler, S. Huber, C. Leiggener, M. K. V. Veen, and A. Z. Ruiz, C. R. Chimie. 9, 214 (2006). 

  13. A. Z. Ruiz, H. Li, and G. Calzaferri, Angew. Chem. Int. Ed. 45, 5282 (2006). 

  14. H. S. Kim, S. M. Lee, K. Ha, C. Jung, Y. J. Lee, Y. S. Chun, D. Kim, B. K. Rhee, and K. B. Yoon, J. Am. Chem. Soc. 126, 673 (2004). 

  15. H. S. Kim, M. H. Lee, N. C. Jeong, S. M. Lee, B. K. Rhee, and K. B. Yoon, J. Am. Chem. Soc. 128, 15070 (2006). 

  16. H. S. Kim, K. W. Sohn, Y. Jeon, H. Min, D. Kim, and K. B. Yoon, Adv. Mater. 19, 260 (2007). 

  17. H. S. Kim, T. T. Pham, and K. B. Yoon, J. Am. Chem. Soc. 130, 2134 (2008). 

  18. J. S. Lee, H. Lim, K. Ha, H. Cheong, and K. B. Yoon, Angew. Chem. 45, 288 (2006). 

  19. G. A. Ozin, A. Stein, G. D. Stucky, J. P. Godber, J. Inclusion. Phenom. 6, 379 (1990). 

  20. M. Borja and P. K. Dutta, Nature 362, 43 (1993). 

  21. M. Sykora and J. R. Kincaid, Nature 387, 162 (1997). 

  22. Y. I. Kim, S. W. Keller, J. S. Krueger, E. H. Yonemoto, G. B. Saupe, and T. E. Mallouk, J. Phys. Chem. B 101, 2491 (1997). 

  23. D. R. Rolison, and C. A. Bessel, Acc. Chem. Res. 33, 737 (2000). 

  24. G. A. Ozin, A. Kuperman, and A. Stein, Angew. Chem. Int. Ed. Engl. 28, 359 (1989). 

  25. M. E. Davis, Nature 417, 813 (2002). 

  26. J. S. Lee, K. Ha, Y. J. Lee, and K. B. Yoon, Top. Catal. 52, 119 (2009). 

  27. R. Micheletto, H. Fukuda, and M. Ohtsu, Langmuir 11, 3333 (1995). 

  28. P. Jiang, J. F. Bertone, K. S. Hwang, and V. L. Colvin, Chem. Mater. 11, 2132 (1999). 

  29. C. E. Snyder, A. M. Yake, J. D. Feick, and D. Velegol, Langmuir 21, 4813 (2005). 

  30. M. Bardosova, M. E. Pemble, I. M. Povey, and R. H. Tredgold, Adv. Mater. 22, 3104 (2010). 

  31. P. Jiang and M. J. McFarland, JACS. 126, 13778 (2004). 

  32. A. Kulak, Y. J. Lee, Y. S. Park, and K. B. Yoon, Angew. Chem. Int. Ed. 39, 950 (2000). 

  33. S. Y. Choi, Y. J. Lee, Y. S. Park, K. Ha, and K. B. Yoon, J. Am. Chem. Soc. 122, 5201 (2000). 

  34. A. Kulak, Y. S. Park, Y. J. Lee, Y. S. Chun, K. Ha, and K. B. Yoon, J. Am. Chem. Soc. 122, 9308 (2000). 

  35. J. S. Lee, K. Ha, Y. J. Lee, and K. B. Yoon, Adv, Mater. 17, 83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