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등 잠재적 영향을 고려한 수중 미량오염물질의 관리방향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Micropollutants in Water System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other Potential Effects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1 no.6, 2013년, pp.645 - 654  

김호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환경연구실) ,  홍용석 (고려대학교 환경기술정책협동과정, 환경시스템공학과) ,  안종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 미량오염물질의 관리현황을 분석하고, 기후변화 등 수질관리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인 요소를 고려한 미량오염물질의 관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는 먹는 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돗물 정수 및 원수를 대상으로 미량오염물질에 대한 실태조사가 꾸준히 진행되었다. 근래에 들어 하천 호소수 중의 미량오염물질에 대해서도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나 조사 항목과 횟수가 많지 않아 전체적인 미량오염물질 발생 및 검출 현황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선진국에서는 미량오염물질의 실태조사 외에도 환경 매체에서의 거동, 인체 및 생태위해성, 처리공정 등에 미량오염물질 관리 전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과 수온의 상승, 수문학적인 순환의 변화 등으로 미량오염물질의 잔류 농도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물 재이용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미량오염물질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 그러므로 먹는 물 또는 신체와 접촉하는 용도의 용수에 대해서는 사전예방의 관점에서 미량오염물질의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표수 중의 미량오염물질에 대해서는, 물환경 정책목표 중의 하나인 생태 위해성 관리의 관점에서, 물질의 거동, 생태 위해성 평가, 하 폐수처리공정에서의 제어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anagement polices of micropollutants (MPs) were reviewed and the future management strategy was discussed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etc. In Korea, the investigation of drinking water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for the priority contaminants as well as MPs. Recently rive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지역의 지표수 및 하수에 포함된 미량오염물질의 파악을 위해 수생태계 또는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는 250여개의 미량오염물질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각 물질에 대한 분석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개별 항목의 생태 독성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질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토한다[17].
  • 미량오염물질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자료를 활용하여 개별 오염물질의 분포를 모의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17]. 도시지역의 지표수 및 하수에 포함된 미량오염물질의 파악을 위해 수생태계 또는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는 250여개의 미량오염물질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각 물질에 대한 분석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개별 항목의 생태 독성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질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토한다[17].
  • 위 훈령은 미량유해물질 발견 시 (1) 발견, (2) 대책, (3) 대응, (4) 장기대책의 4단계로 필요한 조치를 규정하고 있다. 미량유해물질 발견 시 지방자치단체장은 반복적인 시료채취 및 분석을 통해 해당 물질의 위해성을 검증한 후 환경부장관에 보고한다. 환경부장관은 상황실을 설치하여 정수장 대응방안, 응급조치 사항 등 유해물질 관리대책을 수립한다.
  • 이 실험은 오존, 활성탄 등 추가적인 하·폐수처리공정의 도입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규모 및 조건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 따라서 미량오염물질의 관리를 위해서는 기존의 수질관리와는 다른 방향의 접근이 필요하며, 관리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기후변화를 비롯한 잠재적인 수질영향 인자들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수중 미량오염물질 관리제도, 검출현황 등 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 사례 등을 검토하여, 기후변화 등 잠재적인 영향에 대비 할 수 있는 미량오염물질 관리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물질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 중에서 각국 정부가 오염물질 목록을 작성하거나 규제를 하는 물질은 23만 종밖에 되지 않는다[1]. 따라서 화학물질 관리는 잔류성, 생물농축성 및 독성이 높아 위해성이 큰 화학물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미국에서만 매년 700개의 새로운 화학물질이 시장에 나오는 등 잠재적인 새로운 오염물질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2], 분석기술의 발달로 ng/L 수준까지 일상적인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과거에는 검출되지 않았던 미량의 화학물질이 환경 매체에서 검출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미량오염물질이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미량오염물질(micropollutant)이란 수중에 ng/L~µg/L 수준의 미량으로 존재하는 잠재적인 오염물질로 현재 지표수/지하수 또는 먹는 물 환경기준 항목에서 제외되어 있는 항목을 가리킨다. 전술하였듯이 미량오염물질은 새로운 화학물질의 개발·이용과 분석기술의 발달로 근래에 들어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기 때문에 신규오염물질(emerging pollutant)로 불리기도 한다.
국내 외 미량오염물질의 관리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근래에 들어 하천 호소수 중의 미량오염물질에 대해서도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나 조사 항목과 횟수가 많지 않아 전체적인 미량오염물질 발생 및 검출 현황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선진국에서는 미량오염물질의 실태조사 외에도 환경 매체에서의 거동, 인체 및 생태위해성, 처리공정 등에 미량오염물질 관리 전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과 수온의 상승, 수문학적인 순환의 변화 등으로 미량오염물질의 잔류 농도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물 재이용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미량오염물질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 그러므로 먹는 물 또는 신체와 접촉하는 용도의 용수에 대해서는 사전예방의 관점에서 미량오염물질의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Daughton, C. G., "Non-regulated Water Contaminants: Emerging Researc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4, 711-732 (2004). 

  2. Palaniappan, M., Clearing the Waters: A Focus on Water Quality Solutions,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Division of Environmental Policy Implementation(2010). 

  3. Snyder, S. A., Vanderford, B. J., Drewes, J., Dickenson, E., Snyder, E., Bruce, G. M. and Pleus, R., State of Knowledge of Endocrine Disruptors and Pharmaceuticals in Drinking Water, Awwa Research Foundation(2008). 

  4.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http://www.mass.gov/eea/agencies/massdep/toxics/sources/emergingcontaminants-fact-sheet-and-overview.html (accessed 31 July 2013). 

  5.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Plan : A Masterplan of Water Quality Conservation at 4 Major River Basins (2006-2015)," (2006). 

  6. Nakdong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imttee, "Study on the Optimum Management of Micor-pollutants in Industrial Wastewater," (2005). 

  7. Nakdong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imttee, "Risk assessment of the raw water," (2006). 

  8. Nakdong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imttee, "Nakdong Basin-wide Monitoring of Potentially Hazardous Organics and Development of Prediction System," (2008). 

  9. Nakdong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imttee, "Third Phase of Environmental Survey Project Master Plan at Nakdong River System," (2012). 

  10.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 for the Operation of Drinking Water Quality Surveillance Substances," (2012).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Management of Unregulated Trace Hazardous Compounds in Drinking Water (II)," (2008). 

  12. Ministry of Environment, "Rules on the Management of Newly Detected Micro-hazardous Materials". 

  13.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Food & Drug Administration.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management of antibiotic resistance (2008-2012)," (2007). 

  14. USGS, Toxic substances hydrology program, http://toxics.usgs.gov/index.html (accessed 31 July 2013). 

  15. USGS, Emerging contaminants in the environment, http://toxics.usgs.gov/regional/emc/index.html (accessed 31 July 2013). 

  16.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FOEN), Micropollutants - measures at wastewater treatment, http://www.bafu.admin.ch/gewaesserschutz/03716/11218/11223/index.html?langen (accessed 31 July 2013). 

  17.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FOEN), "Faktenblatt: Projekt Strategie Micropoll - Modellstudie Ch.," (2007). 

  18. Abegglen, C., "Eliminating Micropollutants: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Eawag News 67e/October (2009). 

  19. Ministry of Environment, "Development of the Investigatoin and Management Measures of Hazaroud Substances for Increaseing the Number of Items Related to Protection of Human Health," (2008). 

  20.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Risk Information Manual on Agriculture and Food," (2005). 

  2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tudy on Extended Authorization of Specific Toxic Substance and Establishment of the Effluent Standard (III)," (2004). 

  22. Ministry of Environment, "Detection of Some Pharmaceuticals Such as Antibiotics at Major River Water," Press Release (21 March 2008). 

  2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Management of Unregulated Trace Hazardous Compounds in Drinking Water (I)," (2012).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Discharge Loads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 (2010). 

  25. Kim, S.-K., Im, J.-K., Kang, Y.-M., Jung, S.-Y., Kho, Y. L. and Zoh, K.-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derived National Discharge Loads of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J. Hazard. Mater., 201-202, 82(2012). 

  26. Carr, G. M. and Neary, J. P., Water quality for ecosystem and human health, UNEP/Earthprint(2008). 

  27. Phillips, P. J., Chalmers, A. T., Gray, J. L., Kolpin, D. W., Foreman, W. T. and Wall, G. R., "Combined Sewer Overflows: An Environmental Source of Hormones and Wastewater Micropollutants," Environ. Sci. Technol. 46, 5336(2012). 

  28. Kumar, A., Williams, M., Woods, M., Kookana, R., Barber, L., Vajda, A., Doan, H., Gregg, A., Gonzago, D. and Bain, P., "Treated Effluent in the Aquatic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Water for a Healthy Country Flagship Report series (2012). 

  29. EAWAG, "Micropollutants in Water Resources: Prevention - Assessment - Removal," Media release on Eawag Info Day (23 June 2009). 

  30. Jenssen, B. M.,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and Climate Change: A Worst-case Combination for Arctic Marine Mammals and Seabirds?," Environ. Health Perspect., 114, 76(2006). 

  31. Cho, Y. M. and Yoon, H. H., "The Vitalization Strategy of Water Reuse and Reclamation Industry,"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09). 

  32. Tripoli, V. and Williams, C. D., "Emerging Contaminants: A Review with Policy Recommendations," National Center for Conservation Science & Policy(2008). 

  33. Joss, A., Siegrist, H. and Ternes, T., "Are We About to Upgrade Wastewater Treatment for Removing Organic Micropollutants?," Water Sci. Technol., 57, 251(2008). 

  34. Yu, J.-J., "Management Strategy of Trace Hazardous Compounds in Nakdong River," J. of KSEE, 31, 412(2009). 

  35. Yoo, C., Lee, T. Y., Kim, J., Moon, I., Jung, J. H., Han, C., Oh, J.-M. and Lee, I.-B.,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Through Water Reuse Network Design for Clean Production Technology: State of the Art," Korean J. Chem. Eng., 24(4), 567 (2007). 

  36. Mohr, T. K., "Solvent Stabilizers," Santa Clara Valley Water District, White Paper(2001). 

  37. Snyder, S. A., Westerhoff, P., Yoon, Y. and Sedlak, D. L., "Pharmaceuticals, Personal Care Products, and Endocrine Disruptors in Water: Implications for the Water Industry," Environ. Eng. Sci., 20, 449(2003). 

  38. Yoo, H. I. and Ryu, S. K., "Removal of Trihalomethanes from Tap Water using Activated Carbon Fiber," Korean Chem. Eng. Res.(HWAHAK KONGHAK), 50(1), 83(2012). 

  39. Lee, C.-H., Shun-hwa, L. and Jang, I.-H., "Occurrence of Priority Pollutants in the Midstream of Nakdong River Basin," J. of KSEE, 31, 401 (2009). 

  40. Ternes, T., Janex-Habibi, M., Knacker, T., Kreuzinger, N. and Siegrist, H., "Assessment of Technologies for the Removal of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Sewage and Drinking Water Facilities to Improve the Indirect Potable Water Reuse," Contract No. EVK1-CT-2000-00047(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