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명에서 연역 체계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derstanding the deduction system in the proof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2 no.4, 2013년, pp.549 - 565  

강정기 (창원남산중학교) ,  노은환 (진주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deduction system in the proof, we analyzed the textbook on mathematics at first. As results, we could find that the textbook' system of deduction is similar with the Euclid' system of deduction. The starting point of deduction is different with each other. But the fl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절대주의 사조는 증명의 본질을 무엇으로서 파악하는가? 수학적 지식을 절대적인 것으로 간주한 플라톤주의가 비유클리드 기하의 탄생으로 동요 하게 되었고, 이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논의로 19세기와 20세기 초에 논리주의, 형식주의, 직관주의가 대두하게되었다. 이들 절대주의 사조는 관점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공통적으로 증명의 본질을 수학적 명제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절대주의 사조에 대한 비판으로 준경험주의, 사회적 구성주의가 대두되었다.
Bell은 증명을 세 가지 의미를 이행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그 중 조명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둘째, 조명 (illumination)이다. 이것은 명제가 왜 참이며 거짓인지에대한 통찰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체계화 (systematisation)이다.
공리의 최소의 충족요건은 무엇인가? 그러나 Frege는 공리들은 진리를 표현해야 하고 정의들은 특정 용어들의 의미를 부여하여 그 외연을 확장해야 하는 것으로, 암묵적 정의는 어느 것도 성취할 수 없다고 하여 Hilbert의 공리계를 비판하기도 하였다(박우석, 2008). 이외에도 많은 논쟁이 있어왔지만,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공리의 최소의 충족요건으로서 무모순성, 완전성, 독립성을 들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문봉 (1992). 분석법에 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2(2), 81-93.(Kang, M.J. (1992). An educational study 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 81-93.) 

  2. 강문봉 (1993). Lakatos의 수리철학의 교육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Kang, M.J. (1993). An educational study on the Lakato's philosophy of Mathematics. Doctoral dissertation, SNU.) 

  3. 강미광 (2010).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삼각형의 합동조건의 도입 비교, 수학교육 49(1), 53-65.(Kang, M.K .(2010).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riangle congruence in euclidean geometry.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1), 53-65.) 

  4. 김흥기 (2001). 중학교 수학에서 증명을 위한 공리 취급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40(2), 291-315.(Kim, H.K. (2001). A note on treatment of axioms for proof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0(2), 291-315.) 

  5. 나귀수 (1998). 증명의 본질과 지도 실제의 분석-중학교 기하단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Na, G.S. (1998). An analysis of the nature of proof and practice of proof edcuation: focused on the middle school geometry. Doctoral dissertation, SNU.) 

  6. 나귀수 (2009). 분석법을 중심으로 한 기하 증명 지도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9(2), 185-206.(Na, G.S. (2009). Teaching geometry proof with focus on the analysi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in Mathematics 19(2), 185-206.) 

  7. 류성림 (1998a). 수학교육에서 '증명의 의의'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37(1), 73-85.(Ryu, S.R. (1998a). A study on the meaning of proof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37(1), 73-85.) 

  8. 류성림 (1998b). 피아제의 균형화 모델에 의한 증명의 지도 방법 탐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Ryu, S.R. (1998b).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proofs based on piagetian equilibration model. Doctoral dissertation, KNUE.) 

  9. 류성림 (1998c). 전형식적 증명의 의미와 교수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논문집 8(1), 313-326.(Ryu, S.R. (1998c). A study on the meaning of preformal proof and its didactical significa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1), 313-326.) 

  10. 류희찬, 류성림, 한혜정, 강순모, 제수연, 김명수, 천태선, 김민정 (2009a). 중학교 수학 1. 서울: 미래엔 컬처그룹.(Ryu, H.C., Ryu, S.R., Han, H.J., Kang, S.M., Je, S.Y., Kim, M.S., Cheon, T.S., & Kim, M.J. (2009a).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Mirae N Culture.) 

  11. 류희찬, 류성림, 한혜정, 강순모, 제수연, 김명수, 천태선, 김민정 (2009b). 중학교 수학 2. 서울: 미래엔 컬처그룹.(Ryu, H.C., Ryu, S.R., Han, H.J., Kang, S.M., Je, S.Y., Kim, M.S., Cheon, T.S., & Kim, M.J. (2009b). Middle school mathematics 2. Seoul: Mirae N Culture.) 

  12. 박영훈, 여태경, 김선화, 심성아, 이태림, 김수미 (2009a). 중학교 수학 1. 서울: 천재문화.(Park, Y.H., Ye, T.G., Kim, S.H., Sim, S.A., Lee, T.R., & Kim, S.M. (2009a).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Chunjaemunhwa.) 

  13. 박영훈, 여태경, 김선화, 심성아, 이태림, 김수미 (2009b). 중학교 수학 2. 서울: 천재문화.(Park, Y.H., Ye, T.G., Kim, S.H., Sim, S.A., Lee, T.R., & Kim, S.M. (2009b). Middle school mathematics 2. Seoul: Chunjaemunhwa.) 

  14. 박우석 (2008). 제르멜로와 공리적 방법, 논리연구 11(2),1-56.(Park, W.S. (2008). Zermelo and the axiomatic method. The logical research 11(2), 1-56.) 

  15. 박은조, 방정숙 (2005). 수학 교사들의 증명에 대한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1), 101-116.(Park, E.J., & Pang, J.S. (2005). A survey on mathematics teachers' cognition of proof. Journal of the Korea School Mathematics Society 8(1), 101-116.) 

  16. 신항균, 이광연, 윤혜영, 이지현 (2009a). 중학교 수학 1. 서울: 지학사.(Sin, H,G., Lee, K.Y., Yoon, H.Y., & Lee, J.H. (2009a).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Jihaksa.) 

  17. 신항균, 이광연, 윤혜영, 이지현 (2009b). 중학교 수학 2. 서울: 지학사.(Sin, H,G., Lee, K.Y., Yoon, H.Y., & Lee, J.H. (2009b). Middle school mathematics 2. Seoul: Jihaksa. 

  18. 우정호 (1998).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Woo, J.H. (1998) The educational base of school mathematics. Seoul: SNU Publishing.) 

  19. 우정호, 박교식, 박경미, 이경화, 김남희, 임재훈, 박인, 이영란, 고현주, 김은경 (2009a). 중학교 수학 1. 서울: 두산동아.(Woo, J.H., Park, G.S., Park, G.M., Lee, G.H., Kim, N.H., Lim, J.H., Park, I., Lee, Y.R., Ko, H.J., & Kim, E.G. (2009a).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Dusandonga.) 

  20. 우정호, 박교식, 박경미, 이경화, 김남희, 임재훈, 박인, 이영란, 고현주, 김은경 (2009b). 중학교 수학 2. 서울: 두산동아.(Woo, J.H., Park, G.S., Park, G.M., Lee, G.H., Kim, N.H., Lim, J.H., Park, I., Lee, Y.R., Ko, H.J., & Kim, E.G. (2009b). Middle school mathematics 2. Seoul: Dusandonga.) 

  21. 유윤재 (2004). 공리의 문화적 의미, 한국수학사학회지 17(1), 119-125.(Yoo, Y.J. (2004). The cultural meaning of axioms.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7(1), 119-125.) 

  22. 이준열, 최부림, 김동재, 송영준, 윤상호, 황선미 (2009a). 중학교 수학 1. 서울: 천재교육.(Lee, J.Y., Choi, B.R., Kim, D.J., Song, Y.J., Yoon, S.H., & Hwang, S.M. (2009a).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Chunjae education.) 

  23. 이준열, 최부림, 김동재, 송영준, 윤상호, 황선미 (2009b). 중학교 수학 2. 서울: 천재교육.(Lee, J.Y., Choi, B.R., Kim, D.J., Song, Y.J., Yoon, S.H., & Hwang, S.M. (2009b). Middle school mathematics 2. Seoul: Chunjae education.) 

  24. 이지현 (2011). 중학교 기하에서의 공리와 증명의 취급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1(2), 135-148.(Lee, J.H. (2011). An analysis on the treatment of axiom and proof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in Mathematics 21(2), 135-148.) 

  25. 조정수, 이정자 (2006). 증명보조카드를 활용한 중학생의 증명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521-538.(Jo, J.S. & Lee, J.J. (2006). A study on teaching mathematical proof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proof assisted cards', Journal of the Korea School Mathematics Society 9(4), 521-538.) 

  26. 최보영 (2005). '식의 계산' 단원에서 수학 학습부진아의 오류 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Choi, B.Y. (2005). A study of error analysis and correction toward students who are underachievers in calculation of numerical formula: on the basis of the first year of the high school student. Master's thesis, EWU.) 

  27. 최지선 (2003). 중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Choi, J.S. (2003). A study on the misconceptions in the learning of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Master's thesis, SNU.) 

  28. 國宗進(1992). 圖形의 證明指導. 東京: 明治圖書株式會社. 

  29. Almeida, D. (1996). Justifying and prov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Newsletter 9. http://www-didactique. imag.fr/preuve/Resumes/Almeida/POME9Almeida.html 

  30. Bell, A. W. (1976). A study of pupils proofexplanations in mathematical situa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 23-40. 

  31. Bell, A. W. (1979). The learning of process aspects of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0, 361-387. 

  32. Borasi, R. (1996). Reconceiving Mathematics Instruction: A Focus on errors, New York: Ablex. 

  33. Dodes, I. A. (1966). Mathematics: Its structure, logic and method. In E. G. Begle(Ed.), The role of axiomatics and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Boson, MA: Ginn and Company. 

  34. Fawcett, H. P. (2006). 증명의 본질(장경윤, 류현아, 한 세호 역). 서울: 경문사. (원저는 1966년 출판). 

  35. Fishbein, E., & Kedem, I. (1982). Proof and certitude i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In. Vermandel(Ed).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Education. Antwerp: PME. 

  36. Hanna, G. (2000). Proof, explanation and exploration: An overview.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4(1), 5-23. 

  37. Harel, G., & Sowder, L.(1998). Types of students' justifications. Mathematics Teacher, 91(8), 670-675. 

  38. Heath, T. (1981). A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vol. II. New York: Dover. 

  39. Lehman, H. (1980). An Examination of Imre Lakatos's Philosophy of Mathematics. The Philosophical Forum, 12, 33-48. 

  40. Martin, W. G., & Harel, G. (1989). Proof Fram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 1. 

  41. Schoenfeld, A. H. (1994). Reflections on doing and teaching mathematics. In A. H. Schoenfeld(Ed.), Mathema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p.53-70). Hillsdale, NJ: Erlbaum. 

  42. Sierpinska, A. & Lerman, S. (1996). Epistemologies of Mathematics and of Mathematics Education. In Alan J. Bishop(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Kluwer Academic, 827-876. 

  43. Williams, E. (1990). An Investigation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Mathematical Proof,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 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