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용 골재활용을 위한 셰일 골재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hale for Application of Aggregate for Concret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1, 2013년, pp.5915 - 5922  

이승한 (계명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용욱 (계명대학교 첨단건설재료실험센터) ,  장석수 (계명대학교 첨단건설재료실험센터) ,  여인동 (계명대학교 토목공학과) ,  최종오 (계명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셰일 골재의 콘크리트용 굵은골재로의 활용을 위한 성능개선 방안으로 발수제와 폴리머를 사용하여 셰일 골재를 코팅하였으며, 코팅방법에 따른 밀도, 흡수율, 마모율, 안정성 등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성능개선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셰일 골재의 치환율을 변화시켜 제조한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과 재령별 압축강도, 휨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골재의 절대건조밀도는 모든 골재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밀도 사용기준인 $2.50g/cm^3$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수제 코팅에 의한 셰일 골재는 성능개선 전 셰일 골재와 비교하여 약 50%의 흡수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모율은 폴리머 코팅에 의한 경우 성능개선 전과 비교하여 최대 13.0%의 마모율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안정성은 모든 골재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 사용기준인 12% 이하를 만족하였다. 발수제에 의한 성능개선 셰일 골재의 슬럼프는 성능개선 전의 셰일 골재보다 약 20~30mm 높게 나타났으며, 공기량은 발수제를 코팅한 셰일 골재의 경우 코팅하지 않은 셰일 골재보다 약 1.0%의 공기량 증가를 나타내었다. 폴리머 코팅 셰일 골재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Plain 골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압축강도는 RS(F) 95.7%, BS(F) 90.0%로 나타났으며, 휨강도는 RS(F) 98.0%, BS(F) 92.0%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폴리머로 코팅된 셰일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300 cycle 동결융해 후 상대동탄성계수는 RS(F)와 BS(F)에서 91%와 88%로 나타나 코팅에 의한 셰일골재의 성능개선은 동결융해 반복에 따른 내구성능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hale to allow for its use as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we coated shale aggregates with water repellents and polymers and evaluated thei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ensity, water absorption rate, wear rate, and stability depending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셰일골재의 콘크리트용 굵은골재로의 활용을 위하여 발수제 및 폴리머를 이용하여 표면코팅에 의한 셰일골재의 성능개선을 검토하였다. 또한 셰일골재의 성능개선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표면코팅에 따른 밀도, 흡수율, 마모율, 안정성 등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셰일 골재의 치환율을 0%, 100%로 변화시켜 제조한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 특성과 재령별 압축 강도, 휨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 등을 평가한 것으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경권 골재수급 안정화 및 콘크리트용 대체골재 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대경권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셰일의 콘크리트용 골재 활용을 위하여 셰일골재의 성능개선을 검토하였다.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셰일 골재의 성능개선은 건습반복이 셰일 골재 내구성 저하의 주요 영향인자로 판단하였으며, 성능개선을 위하여 표면코팅을 검토하였다[8,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셰일의 단점은? 반면, 대경권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셰일은 신선한 상태에서 단단한 암반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아 공학적으로 안정된 재료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1]. 그러나 셰일은 자체적으로 낮은 기계적 강도와 팽창, 수축에 대한 내성이 작고 지표 환경에 노출되면 물리·화학적 풍화작용에 매우 불안정한 특성을 나타내므로 대부분 산업폐기물로 매립하고 있는 실정이다[2]. 이러한 셰일의 성능개선을 통하여 건설용 골재로의 활용방안이 강구된다면 콘크리트용 대체골재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3].
골재는 콘크리트 체적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가? 콘크리트 구성 재료 중 골재는 콘크리트 체적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종류와 품질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양질의 골재를 선택하는 것은 좋은 콘크리트를 만드는 기본이 된다.
셰일의 건설용 골재로의 활용에 관한 선행 연구들의 문제점은? 셰일의 건설용 골재로의 활용에 관한 연구로는 이암계 퇴적암을 파쇄하여 보조기층 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와 층리가 평행한 대경권 셰일의 전단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셰일의 물성이나 역학적 특성 등과 같은 기초연구로 제한되었으며, 전단강도가 약하고, 대기노출 또는 침수와 같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골재 덩어리가 부서지는 슬레이킹(Slaking)현상이나 골재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Park Jung hun. "Study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Weathered Schale Soils"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4. 

  2. Kim Young Soo et al., "A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Aging Effect in the Sedimentary Rock's Aggreg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No. 4, pp. 137-140, 1999. 

  3.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Evaluation of Aggregate Resources at Kyungsang Provinces II, p.736,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1995. 

  4. Kim Jin Cheol, "Evaluation of Usability for Sub-base of Muddy Stone produced on Si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7 No. 3, pp. 93-100, 2005. 

  5. Young Huy Lee et al.,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Rock Specimens by Triaxial Compression Te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No. 2, pp. 131-134, 1998. 

  6. Seo Chang hyung,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ergate Concrete with Surface Coating Agent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versity, pp. 4-6. 2012. 

  7. S. H. Lee, Y. W. Jung, I. D. Yeo, J. O. Choi, "Physical Properties of Shale Aggregate and Characteristics of Concrete in Replacement Ratio in Daegu-Kyeongbuk Reg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1, pp.5551-5557,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1.5551 

  8. S. H. Lee, Y. W. Jung, I. D. Yeo, J. O. Choi, "Weathering Properties of Shale Aggregate in Daegu-Kyeongbuk region and Freezing-Thawing Characteristics of Concrete in response to Usage of Shal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8, pp.4033-4038, 2013. 

  9. Lee Gil Ho,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Cretaceous Shale in Korea" Graduate School of Ulsan University, 2010. 

  10. Seong Min Kwang, "Engineering properties of red shlae and black shale in Daegu area, Korea" Graduate S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