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VDC 송전을 이용한 동해안 신규전원의 수도권 계통 연계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HVDC Transmission System to Interconnect Large-scale Power Generation Plants to Power Grid in Korea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62 no.12, 2013년, pp.1647 - 1656  

한수영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  권도훈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정일엽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  임재봉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demand for electricity has been increasing these days,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find new sites for large-scale power generation plants near urban areas due to environmental and economic issues. Therefore, new power plants are forced off to rural or desolate coastal areas. As a res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그림 6과 같이 송전용량이 높아질수록 계통운영에 있어 보다 경제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동해안 지역으로부터 수도권까지의 장거리 송전을 기존 AC 송전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HVDC 송전방식을 적용하여 계통검토를 수행한다. 또한 강원도 동해안 지역의 대규모 신규전원과 수도권 계통의 최적연계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발전용량, 연계지점, 그리고 연계 방법의 3가지에 대하여 다양한 케이스를 검토하였다.
  •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은 일반적으로 수도권 융통전력을 765kV의 경우에 1회선 선로 사고, 345kV의 경우 병행 2회선 선로의 사고 시 안정적으로 수도권으로 전송될 수 있는 상황을 한계상황이라고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다[4][5].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강원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연결된 345kV와 765kV 기설선로들과 신규전원에서 각 연계지점으로 연계되는 신규선로의 3상 단락사고에 대한 안정도를 검토하였다.
  • 기존 345kV 송전선로를 사용한 고전압 교류 송전방식은 대용량 장거리 송전의 경우 선로손실에 따른 효율이 낮아 경제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특히 765kV 급의 송전선로는 거대한 철탑으로 인한 환경파괴와 고가의 건설비용, 송전선로 주변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하여 건설이 지연되거나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 6차 전력수급계획이 완료되는 2027년 미래계통을기반으로 HVDC 송전방식을 적용하여 강원도 동해안 지역의 신규발전설비와 수도권 계통과의 연계에 대한 계통영향 평가를 수행한다.
  • 제 6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르면 강원도 동해안 지역과 경북 영덕군에 건설되는 신규전원의 설치용량은 6GW로 예상되지만 실제 신규전원의 정확한 용량은 알 수 없다[2]. 따라서 신규전원이 3GW(1.5GW 2기)와 6GW(1.5GW 4기)의 규모로 설치된다고 가정하여 테스트 계통을 구성 하였고 각각의 경우에 최적 송전방안을 찾고자 한다.
  •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AC 송전방식과 비교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HVDC 송전방식이 우리나라 전력계통 도입에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ESCR과 UIF 검토를 통한 기술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2008년 8월에 발표된 제 1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라 2027년부터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 건설되는 신규전원을 대상으로 최적 연계지 방안 및 계통안정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제 6차 전력수급계획을 반영한 2027년 기본 계통을 구성하여 과도안정도를 검토한 결과 기본 계통은 신뢰도 고시를 만족하여 안정적인 계통 운영이 가능하지만 추가적인 발전기가 계통에 연계될 경우, 송전선로의 여유용량이 부족하여 기설선로 만으로의 계통운영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HVDC 송전방식을 이용하여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 신규전원이 건설될 경우, 발전용량과 연계지점을 고려하여 최적 연계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러나 신규 전원이 건설될 시점에는 주민들의 민원 상황과 주변 환경요소, 부지확보 가능성 여부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PSS/E를 사용하여 각 컨버터 스테이션에서의 UIF를 검토하였다. 표 22는 계통 구성 별 UIF 검토결과다.
  • 본 장에서는 HVDC 송전방식을 사용한 계통구성에 대하여 안정적인 계통운영을 보장하기 위한 계통 검토를 수행한다. 2.

가설 설정

  • 수도권 북부지역으로의 전력공급 사례검토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북경기’ 라는 가상의 신규모선이 수도권 북부 지역에 설치된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에서 정의하는 한계상황의 의미는 무엇인가?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는 돌발적인 외란이 발생하였을 경 우 이를 극복하고 새로운 정상상태에 도달하게 하는 전력계 통의 주요한 특성을 의미한다[3].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은 일 반적으로 수도권 융통전력을 765kV의 경우에 1회선 선로 사고, 345kV의 경우 병행 2회선 선로의 사고 시 안정적으로 수도권으로 전송될 수 있는 상황을 한계상황이라고 정의하 여 사용하고 있다[4][5].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강원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연결된 345kV와 765kV 기설선로들과 신규전원 에서 각 연계지점으로 연계되는 신규선로의 3상 단락사고에 대한 안정도를 검토하였다.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는 무엇인가?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는 돌발적인 외란이 발생하였을 경 우 이를 극복하고 새로운 정상상태에 도달하게 하는 전력계 통의 주요한 특성을 의미한다[3].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은 일 반적으로 수도권 융통전력을 765kV의 경우에 1회선 선로 사고, 345kV의 경우 병행 2회선 선로의 사고 시 안정적으로 수도권으로 전송될 수 있는 상황을 한계상황이라고 정의하 여 사용하고 있다[4][5].
대용량 장거리 신규 송전을 위해 HVDC 송전방식의 도입이 필요한 이유는? 기존 345kV 송전선로를 사용한 고전압 교류 송전방식은 대용량 장거리 송전의 경우 선로손실에 따른 효율이 낮아 경제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특히 765kV 급의 송전선로 는 거대한 철탑으로 인한 환경파괴와 고가의 건설비용, 송전 선로 주변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하여 건설이 지연되거나 현 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 에서는 제 6차 전력수급계획이 완료되는 2027년 미래계통을 기반으로 HVDC 송전방식을 적용하여 강원도 동해안 지역 의 신규발전설비와 수도권 계통과의 연계에 대한 계통영향 평가를 수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National Energy Committee, "The First South Korea Energy Basic Plan (2008-2030)", 2008. 8 

  2.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he Sixth Power Supply and Demand Basic Plan", 2013. 2 

  3. M. Shin, K. Park, H. Min, and M. Kwon, "Real-Time Optimal Decentralized Control Technique for Improving Transient Stability of the Power System", The Tra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43(12), 1994. 12. 

  4. S. Moon, "Study on the Medium-Large CHP Impact Analysis of Power System and Prediction of Electricity Sales Revenue",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2005. 1. 

  5. D. Kim, "Congestion Cost Reduction using Voltage-Sourced Converter Back-to-Back HVDC in Metropolitan Area Power System", 2010 KIEE Summer Conference 

  6. SIEMENS, "More energy highways for Europe's power grid", www.siemens.com 

  7. ALSTOM, "High Voltage Direct Current and the DC grid", www.alstom.com 

  8. M. Rafheb,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TRANSMISSION", 2012. 5. 

  9. ABB,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Transmission Systems Technology Review Paper". 

  10. ABB, "Brazil-China-India meeting on HVDC and Hybrid Systems planning and Engineering". 

  11. J. Kim, "High-Voltage Direct Current(HVDC) Transmission Technology Trends", Electricity Journal, 2000. 12 

  12. TransGrid Solutions Inc, "Investigating the impact of HVDC Schemes in the Irish Transmission Network", 2009. 10, www.transgridsolutions.com 

  13. P. Kundur, "Power System Stability and Control", McGraw-Hill, 1993. 

  14. C. Kim, V.K. Sood, G. Jang, S. Lim, S. Lee, "HVDC Transmission - Power Conversion Applications in Power Systems", John Wiley & Sons. Ltd, 2009. 

  15. J. Arrillaga, Y. H. Liu, N. R. Watson, "Flexible Power Transmission - The HVDC Options", John Wiley & Sons. Ltd, 2007. 

  16. National Energy Committee Notification 2011-254, "Power System Reliability and Quality Standard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