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온실의 피복방식에 따른 보온 및 광투과 성능 평가
Estimation of Heat Insulation and Light Transmis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Covering Methods of Plastic Greenhouses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2 no.3, 2013년, pp.270 - 278  

이현우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  김영식 (상명대학교 식물식품공학과) ,  심상연 (경기농업기술원) ,  이종원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소레이멘디옵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업용 온실의 보온성능 및 광투과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피복방식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토마토 재배용 실험온실의 세 가지 피복방식에 대한 보온효과 및 광투과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과 관행 이중피복온실의 관류열손실량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기온이 비슷할 때 피복재와 보온커튼 사이의 온도가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더 낮게 나타난 것은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의 경우 나비식 천창의 틈새로 인한 환기전열손실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에서 나비식 천창을 사용할 경우 틈새 환기전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중피복 온실과 관행이중피복온실의 관류열전달계수에 대한 온실 실험결과와 모형실험결과를 비교한 결과 모두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측정된 관류열전달계수가 타당성 있는 값임을 보여주는 것이며 향후 온실의 난방설계시 직접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비록 일중피복온실보다는 광투과율이 낮으나 동일한 이중피복온실인 관행이중피복온실보다 광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보온을 위해서 이중피복을 설치할 경우에 광투과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기주입 이중피복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에 비해 일중피복온실의 피복재 내부표면에서 발생하는 결로량이 큰 이유는 일중피복온실의 피복재 내부표면온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피복재에서의 포화습도가 작아져 내부공기의 절대습도와의 차이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data needed to decide covering method to be able to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and light transmittance efficiency of commercial greenhouse.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PPF transmittance and quantity of condensation water were estimated in ex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업용 온실의 보온성능 및 광투 과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피복방식을 결정하는데 필요 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토마토 재배용 실험온실의 세 가지 피복방식에 대한 보온효과 및 광투과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과 관행 이중피복온실의 관류열손실량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기온이 비슷할 때 피복재와 보온커튼 사이의 온도가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더 낮게 나타난 것은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의 경우 나비식 천창의 틈새로 인한 환기전열손실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용 일중피복플라스틱온실, 관행 이중피복 플라스틱온실 및 공기주입 이중피복 플라스틱 온실을 설치하고 토마토가 수경재배 되고 있는 환경조건 하에서 세 가지 피복방식에 대한 보온특성 및 광투과 특성을 평가하여 상업용 온실의 보온성능 및 광투과 성능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관류열전달 계수는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난방용 연료소비량 이 실험온실에서 실제로 소모된 연료소비량과 같다고 하 였을 때 얻어진 관류열전달계수 값으로 결정하였다. 이 때 실제로 소비된 난방용 연료는 피복재를 통한 관류열 손실부하에 의해서만 소비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차 및 2차 실험에서 온풍난방을 위해 사용한 일일경유소비량을 각각 2개월간씩(2011년 1월~2011년 2월 및 2012년 12 월~2013년 1월) 매일 측정하였다.
  • 이때 지표전열부하량은 −150kcal · m−2 · night−1 로 가정하여 산정하였다(JGHA, 199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에서 피복의 주된 목적을 위해 구비해야 할 점은? 온실에서 피복의 주된 목적은 주간에 온실 내부로 입사하는 태양복사에 의한 내부공기의 온도상승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피복재가 구비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성질은 투광성과 보온성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조건은 서로 상반되는 물리적인 성질이기 때문에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온실에서 피복의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 온실에서 피복의 주된 목적은 주간에 온실 내부로 입사하는 태양복사에 의한 내부공기의 온도상승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피복재가 구비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성질은 투광성과 보온성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온실 의 피복방식은? 우리나라에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온실 의 피복방식은 일중피복방식과 피복재를 통한 관류열손 실을 줄이기 위한 이중피복방식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고시(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2010-128호)한 내재해형 비닐하우스시설 규격 중 일중피복온실에는 연동온실 인 08-자동화-1형과 10-자동화-1형이 있고 단동온실인 07-단동-1을 비롯한 22가지 형태가 있으며 이중피복온실 에는 07-자동화-1형이 있다(RDA,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rtzanas, T., M. Tchamitchian, and C. Kittas. 2005. Influence of the heating method on greenhouse micloclimate and energy consumption. Biosyst. Eng. 91:487-499. 

  2. Delwiche, S.R. and D.H. Willits. 1984. The effect of condensation on heat transfer through polyethylene films. Transactions of ASAE 27:1476-1482. 

  3. Diop, S., J.W. Lee, W.H. Na, and H.W. Lee. 2012.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measurement of covering materials with thermal screens for greenhouse using the hot box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5):1-7. 

  4. Hanan, J.J. 1998. Greenhouses: advanced technology for protected horticulture. Boca Raton, Flodia: CRC. 

  5. Iwasaki, Y., C. Yoshida, and Y. Shishido. 2011. Effect of chang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a greenhouse covered with double-layered air inflated plastic film on the growth and fruit of cucumber grown under semi-forcing culture. Hort. Res. 10(1):49-54 (in Japanese). 

  6. Japan Greenhouse Horticulture Association (JGHA), 1994. Greenhouse horticulture handbook. Tokyo: Japan Greenhouse Horticulture Association (in Japanese). 

  7. Kim, M.G., S.W. Nam, W.M. Suh, Y.C. Yoon, S.G. Lee, and H.W. Lee. 2000. Agricultural structural engineering. Seoul: Hyangmunsa (in Korean). 

  8. Kim, Y.B., S.Y. Lee, and B.R. Jeong. 2009. Analysis of the insulation effectiveness of the thermal insulator by the installation methods. Journal of Bio-Environmental Control 18(4):332-340 (in Korean). 

  9. Lee, H.W., S.Y. Sim, H.S. Nam, S.W. Nam, and Y.S. Kim. 2009a. Fundamental experiments for design of air inflating apparatus of air-inflated double-layer plastic green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5):19-24 (in Korean). 

  10. Lee, H.W., S.Y. Sim, H.S. Nam, S.W. Nam, and Y.S. Kim. 2009b. Development of design technology of korean style air-inflated double-layer plastic greenhouse. Journal of Bio- Environment Control 18(3):185-191 (in Korean). 

  11. Lee, H.W., S.Y. Sim, and Y.S. Kim. 2010. Characteristics of PPF transmittance and heat flow by double covering methods of plastic film in tomato green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5):11-17 (in Korean). 

  12. Lee, H.W., S.Y. Sim, and Y.S. Kim. 2012.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humidity and PPF distribution by covering method and environmental control in double covering tomato greenhouse.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1(1):1-11 (in Korean). 

  13. Papadakis, G., D. Briassoulis, G.S. Mugnozza, G. Vox, P. Feuilloley, and J.A. Stoffers. 2000. Radiometric and thermal properties of, and testing methods for,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J. Agric. Eng. Res. 77(1):7-38. 

  14. Pieters, J.D., J.M. Deltour, and M.J. Debruyckere. 1997. Light transmission through condensation on glass and polyethylen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5:51-62. 

  15. Pollet, I.V. and J.G. Pieters. 1999. Condensation and radiation transmittance of greenhouse cladding materials: Part1, Laboratory measuring unit and performance. J. Agric. Eng. Res. 74:369-377.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8. Energy saving technology for greenhouse. RDA (in Korean).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0. Drawings and specifications of horticultural and herbal facilities to prevent disasters(Notification No.2010-128 of the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DA (in Korean). 

  18. Seginer, I. and D. Kantz. 1986. In-situ determination of transfer coefficients for heat and water vapour in a small greenhouse. J. Agr. Eng. Res. 35:39-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