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배터리 충전을 위한 소형풍력 발전 시스템의 병렬 운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allel Operation Strategy of Small Wind Turbine System for Battery Charging 원문보기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19 no.6, 2014년, pp.549 - 556  

손영득 (Dept. of Electrical E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구현근 (Dept. of Electrical E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장목 (Dept. of Electrical Eng.,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s a parallel operation strategy for small wind turbine systems. A small wind turbine system consists of blad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 three-phase diode rectifier, DC/DC buck converter, and the battery load. This configuration has reliability, simple control algori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논문에서 소형풍력발전 500[W]급의 병렬운전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PMSG와 3상 다이오드 정류기를 직류발전기 등가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등가모델을 바탕으로 풍속과 블레이드 속도를 변수로 서로 다른 풍속조건에서 개별운전 및 병렬운전의 블레이드 파워, 전기적 손실, 충전량을 계산·분석하였다.
  • 이와 같이 고장 진단 후의 운전방식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제안하는 소형풍력 발전의 운전방식은 소형 블레이드, 영구자석 동기발전기(PMSG), 3상 다이오드 정류기, DC/DC 벅 컨버터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으로 전기적 고장발생시 간단한 개폐기 조작으로 전력변환장치를 공유하는 병렬운전방식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소형풍력발전 500[W]급의 병렬운전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PMSG와 3상 다이오드 정류기를 직류발전기 등가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등가모델을 바탕으로 풍속과 블레이드 속도를 변수로 서로 다른 풍속조건에서 개별운전 및 병렬운전의 블레이드 파워, 전기적 손실, 충전량을 계산·분석하였다.
  • 따라서, 기계적 부분이 정상 동작하고 전기적 부분 고장 발생시 DC/DC 벅 컨버터에 안전율과 설계여유 등을 고려하여 2∼3배의 용량을 증가시켜 병렬 운전에 의해 발전이 유지 될 수 있다. 500[W]급 소형풍력발전을 기준으로 컨버터의 용량을 100[%]의 경우와 300[%]의 경우를 서로 비교해 보았으며 크기와 무게는 유사하나 비용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발생해 비교해 보았다. 컨버터의 비용은 전체 설치비용 중 약 20%정도이며 이중 표 1에 1000[개]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다.
  • 그러므로 충전량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운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병렬운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고 해석하였다.
  • 그러므로 병렬운전 시 N개의 블레이드 최대 출력점을 추종하기 위해서는 각 블레이드의 풍속을 알고 블레이드 속도를 제어해야 전체 블레이드 파워의 최대치를 추종 할 수 있다. 그러나 병렬운전에서도 블레이드 파워 최대 출력점과 충전량 파워 최대 출력점이 다르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제어 방법인 충전량이 최대가 되는 출력점에서 블레이드 속도가 운전 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5[m/s이하]이며 3[m/s]이상의 극단적인 풍속차는 거의 없다. 병렬운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500[W]급 소형 풍력발전기 3대를 풍속이 서로 다른 9.5[m/s], 8.0[m/s], 6.8[m/s] 조건하에서 개별운전과 병렬운전에 있어 최대 충전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그림 5와 같다. 개별운전방식에서 192[W], 119[W], 76[W]로 충전되며 전체합은 387[W]이다.
  • 실험조건은 표 2과 같다. 개별운전과 병렬운전의 성능 비교를 위해 수식에 의한 100[W]급 풍력발전 모델을 시스템별 풍속차를 1.5[m/s]이하와 이상으로 2가지 경우로 시뮬레이션 하였다. 풍속차 1.
  •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소형풍력 발전 시스템의 고장 시 연속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3상 다이오드 정류기, DC/DC 벅 컨버터를 공유하는 병렬 구성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개별운전과 병렬운전의 성능을 서로 비교·분석하였다.
  • 영구자석 동기 발전기와 3상 다이오드 정류기, 그리고 DC/DC 벅 컨버터를 사용하는 발전 시스템는 배터리 충전량을 해석하기 위하여 직류 발전기 등가모델을 이용하였다. 직류발전기 등가모델을 기반으로 블레이드의 파워, 전기적 손실, 배터리 충전량을 풍속과 블레이드 회전 속도에 대한 식으로 표현하였고, 이 수식을 이용하여 임의의 풍속과 블레이드 회전 속도에서의 배터리의 충전량을 계산하였다.
  • 이러한 수식과 계산을 이용하여 개별운전과 병렬운전의 성능을 시뮬레이션 수행을 통해 확인하고 M/G 세트를 이용한 실제 실험에서 개별운전과 병렬운전시 충전량을 검증하였다. 병렬운전에서 개별 풍속차 1.

대상 데이터

  • 컨버터의 비용은 전체 설치비용 중 약 20%정도이며 이중 표 1에 1000[개]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 소형풍력발전 500[W]급의 병렬운전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PMSG와 3상 다이오드 정류기를 직류발전기 등가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등가모델을 바탕으로 풍속과 블레이드 속도를 변수로 서로 다른 풍속조건에서 개별운전 및 병렬운전의 블레이드 파워, 전기적 손실, 충전량을 계산·분석하였다. 병렬운전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100[W]급 M/G 3세트를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 5m/에서 정격 출력 100[W]급의 블레이드 파워가 출력되도록 하였으며 블레이드 파워 출력곡선은 그림 7과 같다. 제어기의 CPU는 TI사의 DSP인 TMS320C28346이 사용되었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12bit A/D 컨버터인 AD7864를 사용하였고 내부 변수 및 출력 변수의 검증을 위해 12bit 고정밀 D/A인 DAC8420을 사용하였다.
  • 제어기의 CPU는 TI사의 DSP인 TMS320C28346이 사용되었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12bit A/D 컨버터인 AD7864를 사용하였고 내부 변수 및 출력 변수의 검증을 위해 12bit 고정밀 D/A인 DAC8420을 사용하였다. 전력변환장치인 DC/DC Buck 컨버터는 정격용량 500[W]로 설계되었으며 시스템 부하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12[V] 150[Ah]의 용량을 2직렬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12bit A/D 컨버터인 AD7864를 사용하였고 내부 변수 및 출력 변수의 검증을 위해 12bit 고정밀 D/A인 DAC8420을 사용하였다. 전력변환장치인 DC/DC Buck 컨버터는 정격용량 500[W]로 설계되었으며 시스템 부하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12[V] 150[Ah]의 용량을 2직렬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조건은 표 2과 같다.

데이터처리

  • 개별운전과 병렬운전에서의 성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3가지 서로 다른 풍속조건에서 실험하였으며 본 논문에 사용한 실험의 전체시스템은 그림 6과 같다.
  • M-G 세트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개별운전과 병렬운전을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이론/모형

  •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소형풍력 발전 시스템의 고장 시 연속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3상 다이오드 정류기, DC/DC 벅 컨버터를 공유하는 병렬 구성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개별운전과 병렬운전의 성능을 서로 비교·분석하였다. 영구자석 동기 발전기와 3상 다이오드 정류기, 그리고 DC/DC 벅 컨버터를 사용하는 발전 시스템는 배터리 충전량을 해석하기 위하여 직류 발전기 등가모델을 이용하였다. 직류발전기 등가모델을 기반으로 블레이드의 파워, 전기적 손실, 배터리 충전량을 풍속과 블레이드 회전 속도에 대한 식으로 표현하였고, 이 수식을 이용하여 임의의 풍속과 블레이드 회전 속도에서의 배터리의 충전량을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형풍력이 대형풍력보다 유리한 점은? 대규모 투자가 들어가지 않고 대기업의 진입이 없어 중소기업의 진입이 상대적으로 용이해 적극적인 개발 및 사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소형풍력의 경우 대형풍력의 단점인 설치 시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소음이 작아 사람이 거주하는 주거 공간 및 주변 공간에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들 때문에 최근에는 도시형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 및 투자가 활발하다.
도시형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의 주요 설치 장소는? 이런 장점들 때문에 최근에는 도시형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 및 투자가 활발하다. 도시형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의 주요 설치 장소는 아파트 단지나 빌딩의 옥상, 도신지 주변의 공원 또는 학교, 공장 건물, 교량, 고속도로 진출입가로등, 무인카메라, 광고탑 등 거의 모든 지역에 설치 가능하다[1]-[3].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고장 발생은 크게 전기적 부분과 기계적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특징은?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고장 발생은 크게 전기적 부분과 기계적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연간 고장 발생률과 고장발생에 따른 비가동 기간[day]을 그림 1에 나타내었다[11]. 전기적 부분의 고장 확률은 기계 부분에 비해 훨씬 높으며 고장 발생시 시스템이 적어도 비가동 기간이 2일 정도이다. 그러나 기계 부분의 고장 확률은 적어나 비가동 기간이 높다. 독립형의 경우 시스템 정지에따라 배터리 방전 등으로 수명에 악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 Gsanger and J. Pittelod, "2014 Small wind world report update (summary)," World Wind Energy Association, Mar. 2014. 

  2. B. S. Hwang and Y. Y. Nam, "Status of korea and world wind energy wind industry," KSFC, Vol 8, No 1, pp. 33-39, Nov. 2011. 

  3. Y. H. Park, H. J. Jang, J. H. Park, S. J. Park, and J. C. Park, "A study on the application process of small wind turbine system in super high-rise building," Proceedings of the SAREK 2012 Winter Annual Conference, pp. 381-384, 2012. 

  4. E. Kourtroulis and K. Kalaitzakis, "Design of a maximum power tracking system for wind-energy -conversion application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53, No. 2, pp. 486-494, Apr, 2006. 

  5. S. M. R. Kazmi, H. Goto, H. J. Guo, and O. Ichinokura, "A novel algorithm for fast and efficient speed-sensorless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in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58, No. 1, pp. 39-36, Jan, 2011. 

  6. R. Aubree, F. Auger, P. Dai, "A new low-cost sensorless MPPT algorithm for small wind turbines," REVET, pp. 305-311, Mar. 2012. 

  7. S. Fan, W. Ma, T. C Lim, and B. W Williams, "Design and control of a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based on a resonant dc/dc converter," IET, Vol. 7, No. 3, pp. 265-274, May 2013. 

  8. D. S. Moon, S. K. Kim, and S. H. Kim, "A fault detection system for wind power generator based on intelligent clustering method," ICROS, Vol. 19, No. 1, pp. 27-33, 2013. 

  9. S. J. Park, D. S. Kang, "Implementation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neural network for automatic failure diagnosis of offshore wind turbine," KKITSL, Vol. 10, No. 7, pp. 193-198, Jul. 2012. 

  10. D. S. Moon and S. H. Kim, "Development of Inverter fault diagnostic algorithm based on CT," JKIIS, Vol. 21, No. 6, pp. 767-774, 2011. 

  11. Deutscher Windmonitor "ISET Windenergy Report Germany 2008," ISET, pp. 3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