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정책 분석 연구 - 제1, 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Unified Policy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Focusing on the First and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4, 2014년, pp.241 - 266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1, 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과제의 추진성과 분석과 정책 평가를 통해 해당 정책과제의 중요도, 타당성 등을 고찰하고, 일원화 추진방안의 쟁점사항에 대한 검토를 통해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에 대한 추진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의 성과 분석에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실적이 전무한 거의 선언적인 정책과제로 밝혀졌고, 도서관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정책 평가에서는 실현가능성이나 구체성이 떨어지는 정책과제로 평가되었다. 선행연구 조사, 전문가 정책 평가, 현장 실무자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 결과 지자체로 일원화하는 일원화 주체에 대한 정책방향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원화 방식, 조직구성, 인력 이관 및 직급 조정, 재산 이관 등에서 상당한 쟁점이 있음이 분석되어,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를 위해서는 거시환경 차원의 구호성 정책이 아니라 과업환경 차원의 실현가능한 실질적이고도 구체적인 실천 전략이 필요함이 판단되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validity of the unified policy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through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outcomes and plans about the policy on the first and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In addi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주도의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과제의 추진성과와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상의 해당 정책에 대한 검토․분석 및 평가를 통해 일원화 정책 과제의 중요도, 일원화 주체의 타당성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공공도서관 행정체계의 현황 및 행정체계 개편의 필요성과 일원화 주체, 일원화 방식 및 조직구성, 인력 및 재산이관 문제 등 일원화 추진방안의 쟁점 사항에 대한 분석 및 검토를 통해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에 대한 대안 및 추진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주도의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과제의 추진성과와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상의 해당 정책에 대한 검토․분석 및 평가를 통해 일원화 정책 과제의 중요도, 일원화 주체의 타당성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 5개년 종합계획인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각 정책과제에 대한 중장기 추진전략을 제시하면 관련 중앙행정기관 및 시 · 도에서는 그것을 기반으로 매년 해당 과제 추진을 위한 실행전략인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도록 되어있다.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수립된 각 연도별 시행계획에서 다루고 있는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정책과제의 주요 추진계획을 살펴보기로 한다.

가설 설정

  • 재산권 귀속 주체에 따른 구체적 이관 방안에 대해 살펴보자면 첫째, 도서관 재산(대지, 건물 등)이 모두 교육청 소유인 경우 지자체로의 무상 양여 또는 사용허가권을 설정하거나 지자체가 교육청으로부터 매입이나 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가 또는 타 기관 소유의 재산(대지, 건물 등)이었던 교육청 소속 도서관 재산의 경우 교육청에서 지자체로 사용허가자를 변경하거나 지자체가 국가나 해당 기관으로부터 매입이나 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도서관 재산(대지, 건물 등)의 소유권이 지자체에 있고 운영만 교육청이 하던 도서관의 경우, 재산 이관의 문제없이 운영권만 지자체로 이관하면 될 것이다.
  • 둘째, 국가 또는 타 기관 소유의 재산(대지, 건물 등)이었던 교육청 소속 도서관 재산의 경우 교육청에서 지자체로 사용허가자를 변경하거나 지자체가 국가나 해당 기관으로부터 매입이나 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도서관 재산(대지, 건물 등)의 소유권이 지자체에 있고 운영만 교육청이 하던 도서관의 경우, 재산 이관의 문제없이 운영권만 지자체로 이관하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 행정체계 이원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어떤 것이 형성되어 왔는가? 이러한 도서관 행정체계 이원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서관 진흥을 위한 국가 중장기계획인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비롯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수립된 몇 가지 도서관정책 계획에서 대안으로 제시된 일원화 방안은 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어 왔으나 조직, 제도, 재정 등 여러 가지 쟁점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추진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서관 행정체계 이원화 문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어떤 한계가 있는가? 이러한 도서관 행정체계 이원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서관 진흥을 위한 국가 중장기계획인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비롯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수립된 몇 가지 도서관정책 계획에서 대안으로 제시된 일원화 방안은 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어 왔으나 조직, 제도, 재정 등 여러 가지 쟁점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추진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중요한 사안인 이유는 무엇인가? 왜냐하면 도서관 행정체계 이원화는 그동안 공공도서관 상호간의 정책적 공조, 인사이동 및 인력의 적절한 활용, 공동장서개발과 공동보존, 상호대차 및 정보서비스 제공, 직원 연수 및 재교육 등에서 많은 폐해와 역기능을 초래하여 지역 단위의 공공도서관 협력체계 구축을 저해하고 있기 때문이다(윤희윤 2009). 또한 도서관 행정기능의 중복성과 비효율성을 심화시키고, 수요자 중심의 도서관서비스 전달체계 및 프로그램 제공을 어렵게 만들며, 체계적인 제도에 기반한 도서관정책의 일관된 수립 및 집행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는 국가 및 지자체가 수립하는 공공도서관 정책의 수립 및 집행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문화관광부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구본권. 2008. 공공도서관 행정체계의 조사?분석과 개선 방안: 경상북도 소재 공립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oo, Bon-Kwon. 2008. Analysis and Improvement Scheme of Public Library Administration System in Korea. Master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2. 노동조. 2007. 문화관광부의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3-2011)에 대한 타당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165-179. (Noh, Dong-Jo. 2007. "A Study on Propriety Evaluation on Library Development Plan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with SMAR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3): 165-179.) 

  3.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08.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Seoul: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4.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9.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09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09. Implementation plan for 2009 of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Seoul: The Committee.) 

  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0.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0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0. Implementation plan for 2010 of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Seoul: The Committee.) 

  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1.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1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1. Implementation plan for 2011 of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Seoul: The Committee.) 

  7.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2.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2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2. Implementation plan for 2012 of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Seoul: The Committee.) 

  8.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3.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3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3. Implementation plan for 2013 of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Seoul: The Committee.) 

  9.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세종: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14-2018). Sejong: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10. 문화관광부. 2007.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방안 연구. 서울: 문화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2007. A Study on the Unified Pla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Seoul: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11. 문화체육관광부. 2014.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online] [cited 2014. 3. 2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National Library Statistical System. [online] [cited 2014. 3. 26.] ) 

  12. 법제처. 2014.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4. 3. 2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 National Legislation Information Center. [online] [cited 2014. 3. 28.] ) 

  13. 윤희윤. 2009.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개편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5-29. (Yoon, Hee-Yoon. 2009. "A Study on the Reform Plan of the Public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5-29.) 

  14. 윤희윤, 구본권. 2008.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개선을 위한 조사 연구. 도서관, 63(1): 17-41. (Yoon, Hee-Yoon and Koo, Bon-Kwon. 2008.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Library, 63(1): 17-41.) 

  15. 육경애. 2001. 공공도서관 행정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Yook, Kyoung-Aae. 200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Library Administration System.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Trade, Paichai University.) 

  16. 이용남. 1992. 도서관 행정체계 문제. 도서관 문화, 33(5): 14-22. (Lee, Yong-Nam. 1992. "The Problem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Library Culture, 33(5): 14-22.) 

  17. 조현양, 이재원. 2005. 도서관정책 추진을 위한 행정체계 조직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115-132. (Cho, Hyun-Yang and Lee, Jae-Won. 2005. "A Study on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Public Administration System for Library Policy Implement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36(4): 115-132.) 

  18. 차성종. 2010.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에 대한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Cha, Sung-Jong. 2010.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Evaluating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09-2013). Ph.D. dis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19. 차성종. 2014. 우리나라 지자체의 도서관정책 현주소 고찰. 국회도서관, 51(6): 4-15. (Cha, Sung-Jong. 2014. "A Review of Current Status of the Library Policy for Local Governments in Korea." National Assembly Library, 51(6): 4-15.) 

  20. 최병길. 2009. 공공도서관 행정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Choi, Byong-Gil.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Public Library Administration System.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eonggi University.) 

  2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도서관 정책 추진체계 개선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07. An Improvement Plan of the Library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n Korea. Seoul: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2. Matthews, Joseph R. 2004. Measuring for results: the dimensions of public library effectiveness. Westport: Libraries Unlimit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