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선시대 군사 유삼(油衫)의 종류와 운용 체계
Types and Management System of Military Raincoat, Yusam, of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7, 2014년, pp.143 - 155  

박가영 (숭의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Yusam, a military raincoat that was wor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ypes and management system of Yusam. Documentary records, paintings and relics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Yusam was recorded as either Yusam(油衫) or Yu-ui(油衣)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군사들이 착용한 우비용 의류인 유삼을 대상으로 군사들의 의생활문화를 고찰함으로써 조선시대 군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복식의 명칭과 종류별 제작방식을 밝힐 뿐 아니라 지급, 관리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군사복식의 실질적 운용 체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군사들이 우비용 의류로 착용한 유삼을 대상으로 고서와 고문서의 문헌자료를 심도있게 살펴봄으로써 명칭·종류·제작 등 복식 자체에 대한 연구는 물론 지급․보관․관리 등생활문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군사들이 착용한 우비용 의류인 유삼을 대상으로 군사들의 의생활문화를 고찰함으로써 조선시대 군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복식의 명칭과 종류별 제작방식을 밝힐 뿐 아니라 지급, 관리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군사복식의 실질적 운용 체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보산림경제에 기록된 세가지 유삼 제작 방법은? 차이점을 밝히기 위해 영조 42년(1766)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 濟)』에 기록된 유삼의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같은 3가지가 있다.34) 첫째, 의주(義州) 지역의 민간 법으로서 주(紬) 26자로 옷을 만든 후 삼씨기름과 들기름 각 5홉을 섞어서 입으로 뿜어 바르고 기름종 이로 싸서 차지도 덥지도 않은 방에 놓아두는 방법 이다. 둘째, 의주 지역의 강해동이라는 사람이 만드는 당시 최고의 유삼 제작법으로 삼승포 반폭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셋째, 다른 민간법으로서 참기름을 발라 그늘에서 말리는데, 계란가루ㆍ활석가루ㆍ송진가루ㆍ태포즙(太泡汁)ㆍ법유를 섞어 비옷 안팎에 4-5번 바르는 방법이다.
유삼은 무엇인가? 유삼(油衫)은 비와 눈을 막기 위해 기름에 결은 옷으로 우의(雨衣)를 의미한다. 『물명고(物名攷)』에 는 ‘雨衣’가 ‘油衫’으로 언해되어 있고, 『역어유해보편 (譯語類解補編)』『동문유해(同文類解)』『몽어유해 (蒙語類解)』『방언유해(方言類解)』에는 ‘유삼’이 ‘雨 衣’로, 『역어유해(譯語類解)』『왜어유해(倭語類解)』 에는 ‘유삼’이 ‘油衫’의 우리말 풀이로 기록되어 있다.
유의나 유삼의 형태는 어떤 형태로 추정되는가? 이상의 기록으로부터 유의나 유삼의 형태는 여자의 치마 형태로 처네처럼 머리에 둘러서 착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진인이 소매와 깃이 달려있는 유의를 입고 우비용 모자를 착용한 모습을 좋다고 여긴점으로 보아 당시 조선의 유삼은 소매와 깃이 달려 있지 않은 형태였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壯勇營編(순조년간), 壯勇廳所在軍物器械成冊, 軍裝. 

  2.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雨衣에 대한 史的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17-623. 

  3.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은정 (2013), 조선시대 유삼(油衫)의 용례와 형태 재현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6(1), pp. 39-50. 

  5. 박가영, 이은주 (2004), 정조시대의 군사복식과 제도개선에 대한 논의, 한복문화, 7(3), pp. 129-143 

  6. 염정하 (2016), 조선 후기 五軍營의 軍事服飾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은정 (2006), 어휘집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복식명칭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1. 

  8. 자료검색일 2014. 6. 29,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I&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I&jwIdG02&moId061&daId060&gaLid063&gaId&yoId&ilId&leId&NodeIdmi_k-G001&setid4887880&Pos0&TotalCount2&vipyunidundefined;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I&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I&jwIdG07&moId020&daId210&gaLid215&gaId&yoId&ilId&leId&NodeIdmi_k-G001&setid4887880&Pos1&TotalCount2&vipyunidundefined 국역 일성록, 정조 2년 윤6월 갑자;국역 일성록, 정조 7년 2월 임오. 

  9. 자료검색일 2014. 7. 5,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M&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M&seojiIdkc_mm_a577&gunchaIdav061&muncheId01&finId033&NodeId&setid4887364&Pos4&TotalCount10&searchUrlok 청장관전서, 제61권 앙엽기(?葉記)8, 笠弊. 

  10. 온양민속박물관 편 (2005), 우리 민속 오백년의 모습 : 온양민속박물관 도록, p. 102. 

  11. 자료검색일 2014. 6. 26, http://www.museum.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boardtypeid114&menuid001005002&boardid17017 

  12. 김장춘 편 (2008), (세밀한 일러스트와 희귀 사진으로본) 근대 조선, 파주 : 살림, p. 32. 

  13. 국립국악원 편 (2004),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II, 서울: 민속원, p. 14. 

  14. 염정하 (2016), 조선 후기 五軍營의 軍事服飾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9. 

  15.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雨衣에 대한 史的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 617. 

  16. "도롱이벌레", 자료검색일 2014. 6. 26, https://mirror.enha.kr/wiki/%EB%8F%84%EB%A1%B1%EC%9D%B4%EB%B2%8C%EB%A0%88 

  17. 김은정 (2006), 어휘집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복식명칭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6. 

  18. "사마치", 자료검색일 2014. 6. 26, http://www.dic-costumekorea.org/search/?q%EC%82%AC%EB%A7%88%EC%B9%98&r 

  19. 자료검색일 2014. 6. 29,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S&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S&jwIdA17&moId110&daId240&gaLid378&gaId&yoId&ilId&leId&NodeIdms_k-A001&setid4887592&Pos1&TotalCount3&vipyunidundefined 국역 승정원일기, 인조 17년 11월 정축. 

  20. 자료검색일 2014. 6. 29,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I&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I&jwIdG08&moId030&daId250&gaLid328&gaId&yoId&ilId&leId&NodeIdmi_k-G001&setid4887594&Pos0&TotalCount4&vipyunidundefined 국역 일성록, 정조 8년 3월 경술. 

  21. 訓鍊都監編(1765-1775), 訓局事例撮要, 下卷目錄. "油衫所入落幅紙請得備局" 

  22. 經國大典, 卷6 工典外工匠. 

  23. 壯勇營編(순조년간), 壯勇營故事, 軍器新備秩. 

  24. 자료검색일 2014. 6. 29,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I&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I&jwIdG12&moId010&daId220&gaLid154&gaId&yoId&ilId&leId&NodeIdmi_k-G001&setid4887734&Pos2&TotalCount8&vipyunidundefined 국역 일성록, 정조 12년 1월 을유. 

  25. 禁衛營編(1874), 禁衛營事例草, 式例. 

  26. 世宗實錄, 地理志京畿와 忠淸道. 

  27. 訓鍊都監編(1765-1775), 訓局事例撮要, 下卷目錄. "油衫所入落幅紙請得備局", 己酉8月29日. 

  28. 世宗實錄, 卷24 世宗6年5月己亥. 

  29. 자료검색일 2014. 6. 29,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I&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I&jwIdG02&moId061&daId060&gaLid063&gaId&yoId&ilId&leId&NodeIdmi_k-G001&setid4887880&Pos0&TotalCount2&vipyunidundefined;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I&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I&jwIdG07&moId020&daId210&gaLid215&gaId&yoId&ilId&leId&NodeIdmi_k-G001&setid4887880&Pos1&TotalCount2&vipyunidundefined 국역 일성록, 정조 2년윤 6월 갑자; 국역 일성록, 정조 7년 2월 임오. 

  30. 宣祖實錄, 卷201 宣祖39年7月乙巳; 光海君日記, 卷116 光海君9年6月乙卯; 英祖實錄, 卷47 英祖14年 2月己亥. 

  31.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85-186 

  32. 김은정 (2013), 조선시대 유삼(油衫)의 용례와 형태 재현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6(1), pp. 44-45 

  33. 자료검색일 2014. 6. 29,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S&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S&jwIdA07&moId020&daId250&gaLid447&gaId&yoId&ilId&leId&NodeIdms_k-A001&setid4887592&Pos0&TotalCount3&vipyunidundefined 국역 승정원일기, 인조7년 2월 신해. 

  34. 자료검색일 2014. 6. 29,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S&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S&jwIdA17&moId110&daId240&gaLid378&gaId&yoId&ilId&leId&NodeIdms_k-A001&setid4887592&Pos1&TotalCount3&vipyunidundefined 국역 승정원일기, 인조 17년 11월 정축. 

  35. 민족문화추진회 편 (1971a), 국역 만기요람 I, 財用編, p. 599. 

  36. 민족문화추진회 편 (1971a), 국역 만기요람 I, 財用編, p. 401. 

  37. 민족문화추진회 편 (1971b), 국역 만기요람 II, 軍政編, pp. 193-360. 

  38. 민족문화추진회 편 (1971b), 국역 만기요람 II, 軍政編, pp. 204-208. 

  39. 武衛營編(1875), 大旗手色重記, 大旗手色. 

  40. 武衛營編(1875), 巡視色重記, 巡視色. 

  41. 민족문화추진회 편 (1971b), 국역 만기요람 II, 軍政編, pp. 193-360. 

  42. 訓鍊都監編(1845-1895), 訓局總要, 移文粮餉色軍物造成秩 

  43. 武衛營編(1875), 軍色重記, 軍色. 

  44. 민족문화추진회 편 (1971b), 국역 만기요람 II, 軍政編, p. 237. 

  45. 訓鍊都監編(1845-1895), 訓局總要, 移文粮餉色軍物造成秩, 雜式. 

  46. 민족문화추진회 편 (1971b), 국역 만기요람 II, 軍政編, p. 191. 

  47. 민족문화추진회 편 (1971b), 국역 만기요람 II, 軍政編, p. 191, p. 237. 

  48. 壯勇營編(1791-1802), 壯勇營大節目, 軍器. 

  49. 壯勇營編(1791-1802), 壯勇營大節目, 雜式. 

  50. 壯勇營編(1791-1802), 壯勇營大節目, 年限.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