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자식물이 꽃피는 식물로 인식되고 있는 잘못된 관행의 분석
Analysis of the misguided practice of recognizing Gymnosperms as flowering plant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4 no.4, 2014년, pp.288 - 297  

이규배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생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식물학이 시작된 이후 57년이 넘도록 나자식물 분류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잘못 인식되어 온 관행의 원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즉, 수많은 식물(분류)학 관련 매체들에서, 나자식물(꽃이 피지 않는 종자식물)의 생식구조(cone 및 pollen)에 관한 용어 및 기재에 피자식물(꽃이 피는 종자식물)에서 사용되는 생식기관(꽃)의 용어들을 그대로 적용하여 쓰고 있다. 이로 인하여, 마치 나자식물이 꽃이 피는 식물(피자식물)인 것처럼 오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오류의 관행은 각급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꽃에 대한 개념 및 정의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커다란 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으며, 이는 식물(분류)학 교육에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많은 식물학 관련 매체들로부터 나자식물에 대하여 잘못 표현된 용어 및 기재를 조사하여, 이를 분계도, 생식구조의 해부학, 분류체계의 역사적 배경 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misinformation about gymnosperm taxon used for over 57 years, since 1957 when plant biology as a discipline was established in our country. That is, terminologies and descriptions of the reproductive structure (flower) of angiosperms (flowering seed plants) hav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많은 식물학 관련 매체들에서 “현화식물”과 “종자식물”을 동일한 분류군으로 오도(誤導)함으로써, 꽃이 피지 않는 “나자식물”을 꽃이 피는 식물인 피자식물로 오인하게 하는 원인을 분석하여, 오류를 바로 잡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자식물이 피자식물이 아님을 설명하기 위해 논문의 저자가 분석한 것은? 나자식물이 꽃이 피는 식물(피자식물)이 아닌 사실을 설명하고 증명하기 위해서, (1) 잘못된 정보에 근거한 분계도, (2) 종자식물에서 생식구조의 해부학적 구조, 그리고 (3) 서양에서 시작된 식물분류 체계의 역사적 배경 등을 분석하였다.
나자식물을 대표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또한 나자식물을 대표하는 소나무와 은행나무 등의 생식구조(cone)에 관련된 기재에서 피자식물의 꽃과 열매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그대로 쓰고 있다. 그 예로서, 두산백과사전(Doopedia, 2014)은 나자식물에 관한 기재에서 “구과식물, 꽃, 단성화, 암술, 심피, 밑씨, 풍매화, 화분, 열매, 배젖(胚乳)” 등의 용어를 사용하며, 또한 소나무과 식물의 설명에서도 “화분낭(pollen sac), 웅성구화수(毬花穗)(male cone), 실편(實片, ovuliferous scale), 자성구화수(female cone)” 등과 같은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나자식물이 꽃이 피는 식물(피자식물)인 것처럼 오도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식물학이 시작된 이후 57년이 넘도록 나자식물 분류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잘못 인식되어 온 관행의 원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즉, 수많은 식물(분류)학 관련 매체들에서, 나자식물(꽃이 피지 않는 종자식물)의 생식구조(cone 및 pollen)에 관한 용어 및 기재에 피자식물(꽃이 피는 종자식물)에서 사용되는 생식기관(꽃)의 용어들을 그대로 적용하여 쓰고 있다. 이로 인하여, 마치 나자식물이 꽃이 피는 식물(피자식물)인 것처럼 오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enson, L. 1959. Plant Classification. D. C. Heath and Company. Lexington, Massachusetts. 

  2. Bold, H. C., C. Alexopoulos and T. Delevoras. 1980. Morphology of Plants and Fungi. 4th ed., Harper & Row, Publishers, New York. Pp. 281. 

  3. Doopedia. 2014. Gymnosperm, Phanerogam, Spermatophyte.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www.doopedia.co.kr. (in Korean) 

  4. Encyclopaedia Britannica. 2014. Spermatophyte.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global.britannica.com. 

  5.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4. Phanerogam.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encykorea.aks.ac.kr. (in Korean) 

  6. Engler, A. 1903.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Dritte, umgearbeitete Auflage). Verlag vo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7. English-Chinese Medical Dictionary. 2014. Phanerogam.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www.drdict.com. (in Chinese) 

  8. Goodyear, M. 2014. Spermatophyte. Retrieved May 7, 2014, from http://en.wikipidia.org. 

  9. Holmes, S. 1979. Henderson's Dictionary of Biological Terms. 9th ed.,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0. Hong, Y. N., H. S. Kang, Y. K. Ko, K. J. Kim, H. W. Kim, E. S. Kim, J. J. Kim, J. K. K, J. Kim, H. J. Kim, H. S. Kim, S. H. Nam, S. I. Do, E. P. Mun, C. K. Min, S. K. Park, S. H. Park, Y. G, Park, W. J.Park, S. Shin, J. S. Shin, J. H. Ahn, T. I. Ahn, S. E. Oh, K. H. Lee, M. M, Lee, B. H. Lee, S. I. Lee, J. S. Lee, T. H. Lee, H. J. Lee, T. y. Jeong, M, H, Cho, J. W. Cho and S. D. Choi. 2010. Biology: the Dynamic Science.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Pp. 585-587. (in Korean) 

  11. Jones, S. B. Jr. and A. E. Luchsinger. 1987. Plant systemtics. 2nd ed., McGraw-Hill Book Company. 

  12. Judd, W. S., C. S. Campbell, E. Kellogg, P. F. Stevens, M. J. Donoghue. 2002.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Sinauer Associates. 

  13. Kang, H. M., H. S. Kwak, H. B. Kwon, S. H. Bae, H. C. Shin, D. H. Lee, S. H. Lee, E. J. Lee, J. K. Lee, C. S. Lee and J. W. Jeong. 2012. Life: the Science of Biology, 9th ed.,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Pp. 613-614. (in Korean) 

  14. Kang, W. H., Y. H. Kim, I. S. Kim, H. S. H. H. Kim, B. Y. Mun, B. B. Seo, N. H. Song, H. S. Yoon, I. J. Lee, W. H. Cho and Y. S. Choo. 2008a. General Plant Biology. 2nd ed., World Science Publisher. Seoul. Pp. 412-416. (in Korean) 

  15. Kang Y. H., K. H. Kang, M. W. Kim, S. H. Kim, S. C. Kim, O. Y. Kim, J. J. Kim, M. H. Rho, Y. T. Rho, G. Y. Park, G. Y. Park, S. C. Park, Y. H. Seo, S. O. Song, J. C. Ahn, D. S. Yoo, M.Yoon, M. M. Lee, M. H. Lee, I. C. Lee, J. H. Lee, I. K. Jeong, H. S. Jeong, E. H. Cho, J. W. Cho, U. S. Jin, G. T. Choi, B. S. Pyo, Y. M. Ha, B. Hwang and S. H. Hong. 2008b. Encyclopedia of Life Scienc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16. Kim, M. W., I. J. Ko, O. Y. Kim, H. J. Kim, Y. H. Seo, J. O. Shin, M. J., Yoon, I. S. Yoon, Y. W. Lee and Y. M. Ha. 2011. Campbell Biology: Concepts & Connections, 7th ed., Person Education Korea. Pp. 316-317. (in Korean) 

  17. Kim, Y. D. and H. C. Shin. 2007. Plant Systematic. World Science Publisher. Seoul. Pp. 107-119. (in Korean) 

  18.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1998. Biological Dictionary.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19.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2005. Glossary of Biology. 2nd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20.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4. Spermatophyte.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www.scienceall.com. (in Korean) 

  21. Lawrence, G. H. M. 1951. Taxonomy of Vascular Plants. The Macmillan Company, New York. 

  22. Lee, T. B. 2002a. Plant Taxonomy. Hyangmoonsa. Seoul. Pp. 138-158. (in Korean) 

  23. Lee, C. D., W. Y. Soh, Y. S. Kim, J. C. Kim, J. U. Bang, Y. C. Cha, S. S. Hong and J. H. Hong. 1993. Plant Morphology.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244-247. (in Korean) 

  24. Lee, H. S. 2003. Korean Unabridged Dictionary. Minjoongseorim. Seoul. (in Korean) 

  25. Lee, K. B. 2012. Plant Morphology. 2nd ed., Life Sceince Publishing Co. Seoul. Pp. 242-244. (in Korean) 

  26. Lee, S. T., M. Y. Kim, S. P. Hong, Y. J. Jung, K. R. Park, J. H. Lee, J. G. Lee, and S. T. Lee. 2005. Plant Taxonomy: A Phylogenetic Approach. 2nd ed., Shinilbooks. Seoul. Pp. 170-173. (in Korean) 

  27. Lee, Y. S. 2002b. Modern Plant Taxonomy. Woosung. Seoul. Pp. 56, 274-287. (in Korean) 

  28. Lim, H. B., J. Y. Bang, S. Y. Ha, H.. D. Shin and J. U. Bang. 2003. General plant biology. Hyangmoonsa. Seoul. Pp. 358-360. (in Korean) 

  29. Little, R. J. and C. E. Jones. 1980. A Dictionary of Bontany.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30. Raven, P. H., R. F. Evert and S. E. Eichhorn.1992. Biology of plants. 5th ed. Worth Publishers. 

  31. Shin, H. C., S. C. Yu and H-G. Choi. 1995. Mistakes in th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in Korea,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plant part.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5: 131-138. (in Korean) 

  32. Sivarajan, V. V. 1991.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Plant Taxonomy. 2nd ed., Edited by Robson, N. K. P.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3. The Botanical Society of Korea. 2007. Fifty-year History of the Botanical Society of Korea. Hanrimwon Limited Company. Seoul. (in Korean) 

  34. The Free Dictionary. 2014. Phanerogam,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www.thefreedictionary.com. 

  35. The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2014. Spermatophyte.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stdweb2.korean.go.kr. (in Korean) 

  36. Villarreal, R. M. 2007. Mature Flower. Retrieved May 7, 2014, from http://en.wikipedia.org. 

  37. Weblio. 2014. Phanerogam.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ejje.weblio.jp. (in Japanese) 

  38. Yasugi R., H. Goseki, M. Furuya and T. Hidaka. 2003. Iwanami Biological Dictionary 4th ed., Iwanami Book Company. Tokyo.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