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아질 지각과민증과 치주 처치에서 레이저의 이용
Laser therapy in dentinal hypersensitivity and periodontal treatment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30 no.4, 2014년, pp.307 - 314  

남궁철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및 구강과학연구소 치과보철학교실) ,  이종호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및 구강과학연구소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금기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및 구강과학연구소 치과보존학교실) ,  임영준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및 구강과학연구소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레이저가 치과 분야에 도입된 지 상당한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 그 효능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각과민증과 치주 처치에 있어 레이저가 갖는 효능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들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a laser has been introduced to implant dentistry for decades, its efficacy is still open debate. The aim of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fficacy of laser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dentinal hypersensitivity and periodontal condi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그 무엇보다도 레이저 이용에 회의적인 가장 큰 이유는 레이저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각과민증과 치주 처치에 있어 레이저가 갖는 효과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들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경조직 제거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인 것은 2,940 nm 파장의 Er:YAG 및 2,790 nm 파장의 Er,Cr:YSGG 레이저이다. Er:YAG 레이저는 Nd:YAG 레이저에 비해 물에 15,000배 더 흡수된다. 따라서 Er 계열의 레이저를 물과 함께 적용하면 경조직을 효과적으로 마멸(ablating)시킬 수 있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핸드피스 또는 초음파 스케일러의 어떤 부분에서 공포를 느끼는가? 점진적 연구 개발을 통해 장치는 더 작아지고 절삭 효율은 증가해 왔다. 그러나 핸드피스 또는 초음파 스케일러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이로부터 환자가 느끼게 되는 공포는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과제로 남아있다.1 레이저는 이러한 기계식 접촉 장치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기계식 접촉 장치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점진적 연구 개발을 통해 장치는 더 작아지고 절삭 효율은 증가해 왔다. 그러나 핸드피스 또는 초음파 스케일러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이로부터 환자가 느끼게 되는 공포는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과제로 남아있다.1 레이저는 이러한 기계식 접촉 장치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레이저가 기계식 절삭장치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 1997년 미국 FDA가 Er:YAG 레이저를 승인한 이래로, 치아 와동 형성과 지각과민 처치, 치주 치료 및 임플란트 수술 등에서 Er:YAG 레이저가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레이저는 기계식 절삭장치와는 달리 조직에 마멸, 지혈 및 정화(detoxification)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정확한 절개 및 주변 조직에 대한 최소한의 손상 발생으로 인해 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Ishikawa I, Aoki A, Takasaki AA, Mizutani K, Sasaki KM, Izumi Y. Application of lasers in periodontics: true innovation or myth? Periodontol 2000 2009;50:90-126. 

  2. Goldman L, Hornby P, Meyer R, Goldman B. Impact of the laser on dental caries. Nature 1964;203:417. 

  3. Wigdor H, Abt E, Ashrafi S, Walsh JT Jr. The effect of lasers on dental hard tissues. J Am Dent Assoc 1993;124:65-70. 

  4. Hale GM, Querry MR. Optical constants of water in the 200-nm to 200-microm wavelength region. Appl Opt 1973;12:555-63. 

  5. Lee YB, Painless treatment using water laser is false hype. The Daily Dental. November 2, 2006. 

  6. Matsumoto K, Funai H, Shirasuka T, Wakabayashi H. Effects of Nd:YAG-laser in treatment of cervical hypersensitive dentine. Jpn J Conserv Dent 1985;28:760-5. 

  7. Sgolastra F, Petrucci A, Gatto R, Monaco A. Effectiveness of laser in dentinal hypersensitivity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J Endod 2011;37:297-303. 

  8. Orchardson R, Peacock JM, Whitters CJ. Effect of pulsed Nd:YAG laser radiation on action potential conduction in isolated mammalian spinal nerves. Lasers Surg Med 1997;21:142-8. 

  9. Corona SA, Nascimento TN, Catirse AB, Lizarelli RF, Dinelli W, Palma-Dibb RG. Clinical evaluation of low-level laser therapy and fluoride varnish for treating cervical dentinal hypersensitivity. J Oral Rehabil 2003;30:1183-9. 

  10. Tengrungsun T, Sangkla W. Comparative study in desensitizing efficacy using the GaAlAs laser and dentin bonding agent. J Dent 2008;36:392-5. 

  11. Zhang C, Matsumoto K, Kimura Y, Harashima T, Takeda FH, Zhou H. Effects of $CO_2$ laser in treatment of cervical dentinal hypersensitivity. J Endod 1998;24:595-7. 

  12. Moritz A, Schoop U, Goharkhay K, Aoid M, Reichenbach P, Lothaller MA, Wernisch J, Sperr W. Long-term effects of $CO_2$ laser irradiation on treatment of hypersensitive dental necks: results of an in vivo study. J Clin Laser Med Surg 1998;16:211-5. 

  13. Kobayashi K, Yamaguchi H, Kumai A, Tanaka M, Sakuraba E. Nomura T, Nakamura J, Arai T. Pain relief effects of Nd:YAG laser irradiation on dentin hypersensitivity during periodontal treatment. J Jpn Soc Periodontol 1999;41:180-7. 

  14. Schwarz F, Arweiler N, Georg T, Reich E. Desensitizing effects of an Er:YAG laser on hypersensitive dentine. J Clin Periodontol 2002;29:211-5. 

  15. Birang R, Poursamimi J, Gutknecht N, Lampert F, Mir M.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Nd:YAG and Er:YAG laser in dentin hypersensitivity treatment. Lasers Med Sci 2007;22:21-4. 

  16. Cunha-Cruz J. Laser therapy for dentine hypersensitivity. Evid Based Dent 2011;12:74-5. 

  17. Vieira AH, Passos VF, de Assis JS, Mendonca JS, Santiago SL. Clinical evaluation of a 3% potassium oxalate gel and a GaAlAs laser for the treatment of dentinal hypersensitivity. Photomed Laser Surg 2009;27:807-12. 

  18. Lier BB, Rosing CK, Aass AM, Gjermo P. Treatment of dentin hypersensitivity by Nd:YAG laser. J Clin Periodontol 2002;29:501-6. 

  19. Adriaens PA, Edwards CA, De Boever JA, Loesche WJ.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on bacterial invasion in cementum and radicular dentin of periodontally diseased human teeth. J Periodontol 1988;59:493-503. 

  20. Aoki A, Sasaki KM, Watanabe H, Ishikawa I. Lasers in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Periodontol 2000 2004;36:59-97. 

  21. Tucker D, Cobb CM, Rapley JW, Killoy WJ. Morphologic changes following in vitro $CO_2$ laser treatment of calculus-ladened root surfaces. Lasers Surg Med 1996;18:150-6. 

  22. Miyazaki A, Yamaguchi T, Nishikata J, Okuda K, Suda S, Orima K, Kobayashi T, Yamazaki K, Yoshikawa E, Yoshie H. Effects of Nd:YAG and $CO_2$ laser treatment and ultrasonic scaling on periodontal pockets of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J Periodontol 2003;74:175-80. 

  23. Moritz A, Gutknecht N, Doertbudak O, Goharkhay K, Schoop U, Schauer P, Sperr W. Bacterial reduction in periodontal pockets through irradiation with a diode laser: a pilot study. J Clin Laser Med Surg 1997;15:33-7. 

  24. Borrajo JL, Varela LG, Castro GL, Rodriguez-Nunez I, Torreira MG. Diode laser (980 nm) as adjunct to scaling and root planing. Photomed Laser Surg 2004;22:509-12. 

  25. Sgolastra F, Severino M, Gatto R, Monaco A. Effectiveness of diode laser as adjunctive therapy to scaling root planning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eriodontitis: a meta-analysis. Lasers Med Sci 2013;28:1393-402. 

  26. Schwarz F, Sculean A, Georg T, Reich E. Periodontal treatment with an Er: YAG laser compared to scaling and root planing. A controlled clinical study. J Periodontol 2001;72:361-7. 

  27. Sculean A, Schwarz F, Berakdar M, Romanos GE, Arweiler NB, Becker J. Periodontal treatment with an Er:YAG laser compared to ultrasonic instrumentation: a pilot study. J Periodontol 2004;75:966-73. 

  28. Crespi R, Cappare P, Toscanelli I, Gherlone E, Romanos GE. Effects of Er:YAG laser compared to ultrasonic scaler in periodontal treatment: a 2-year follow-up split-mouth clinical study. J Periodontol 2007;78:1195-200. 

  29. Schwarz F, Jepsen S, Herten M, Aoki A, Sculean A, Becker J.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eriodontal wound healing following nonsurgical treatment with fluorescence controlled Er:YAG laser radiation in dogs. Lasers Surg Med 2007;39:428-40. 

  30. Derdilopoulou FV, Nonhoff J, Neumann K, Kielbassa AM. Microbiological findings after periodontal therapy using curettes, Er:YAG laser, sonic, and ultrasonic scalers. J Clin Periodontol 2007;34:588-98. 

  31. Roos-Jansaker AM, Renvert S, Egelberg J. Treatment of peri-implant infections: a literature review. J Clin Periodontol 2003;30:467-85. 

  32. Schwarz F, Sculean A, Romanos G, Herten M, Horn N, Scherbaum W, Becker J. Influence of different treatment approaches on the removal of early plaque biofilms and the viability of SAOS2 osteoblasts grown on titanium implants. Clin Oral Investig 2005;9:111-7. 

  33. Schou S, Holmstrup P, Jorgensen T, Skovgaard LT, Stoltze K, Hjorting-Hansen E, Wenzel A. Implant surface preparation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experimental peri-implantitis with autogenous bone graft and ePTFE membrane in cynomolgus monkeys.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412-22. 

  34. Romanos GE, Everts H, Nentwig GH. Effects of diode and Nd:YAG laser irradiation on titanium disc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xamination. J Periodontol 2000;71:810-5. 

  35. Kreisler M, Gotz H, Duschner H. Effect of Nd:YAG, Ho:YAG, Er:YAG, $CO_2$ , and GaAIAs laser irradiation on surface properties of endosseous den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2;17:202-11. 

  36. Kato T, Kusakari H, Hoshino E. Bactericidal efficacy of carbon dioxide laser against bacteria-contaminated titanium implant and subsequent cellular adhesion to irradiated area. Lasers Surg Med 1998;23:299-309. 

  37. Deppe H, Horch HH, Neff A. Conventional versus $CO_2$ laser-assisted treatment of peri-implant defects with the concomitant use of pure-phase beta-tricalcium phosphate: a 5-year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22:79-86. 

  38. Kreisler M, Kohnen W, Marinello C, Schoof J, Langnau E, Jansen B, d'Hoedt B. Antimicrobial efficacy of semiconductor laser irradiation on implant surfac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706-11. 

  39. Schwarz F, Rothamel D, Sculean A, Georg T, Scherbaum W, Becker J. Effects of an Er:YAG laser and the Vector ultrasonic system on the biocompatibility of titanium implants in cultures of human osteoblast-like cells.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784-92. 

  40. Matsuyama T, Aoki A, Oda S, Yoneyama T, Ishikawa I. Effects of the Er:YAG laser irradiation on titanium implant materials and contaminated implant abutment surfaces. J Clin Laser Med Surg 2003;21:7-17. 

  41. Schwarz F, Sculean A, Rothamel D, Schwenzer K, Georg T, Becker J. Clinical evaluation of an Er:YAG laser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periimplantitis: a pilot study. Clin Oral Implants Res 2005;16:44-52. 

  42. Mailoa J, Lin GH, Chan HL, MacEachern M, Wang HL. Clinical outcomes of using lasers for peri-implantitis surface detoxifi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Periodontol 2014;85:1194-2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