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주민의 사회적 자본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ocial Capital of Local Residents: Focusing on Gyungsangnam-Do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2, 2014년, pp.764 - 774  

장유미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염동문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주민의 보편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주관적인 정신건강이 지역 주민들의 삶에 내재되거나 변화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인 신뢰, 사회참여, 네트워크역량, 지역사회의식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이다. 지역 주민의 삶의 질과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자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하듯이 사회적 자본의 축적과 변화가 지역 주민의 주관적인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2010년도는 지역사회의식만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도는 지역사회의식과 네트워크역량이 높을수록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점수도 높았지만, 사회참여는 참여가 많을수록 정신건강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2012년도는 지역사회의식과 네트워크역량이 높을수록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모든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가 높은 주민들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정신건강 점수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자본이 높은 주민들이 더 많았다. 사회적 자본 축적의 정도와 변화는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에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which has to do with changes that are inherent in life or mental health of the local population, which appears as a subjective aspect of social capital of local residents.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he residents of a social capital accumu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이러한 정신건강이 지역 주민들의 삶에 내재되거나 변화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과는 어떤 관계를 가질 것인지가 궁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주민의 삶의 질과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자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하듯이 사회적 자본의 축적과 변화가 지역 주민의 보편적인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살펴볼 것이다.
  • 마지막으로 제언하자면, 본 연구는 지역 주민의 보편적인 정신건강 정도를 그들의 삶에 축적되고 형성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다른 연구와 차별성 있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가 청소년 및 노인과 같은 일부 계층을 대상으로 특정한 시점을 중심으로 수행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3년 동안 경상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을 시도하여 연구대상의 범주를 확대하였으며, 지역사회 정신건강 정도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 것에 대해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는 지역 주민의 보편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주관적인 정신건강이 지역 주민들의 삶에 내재되거나 변화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과는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지역의 사회적 자본 축적과 변화가 지역 주민의 보편적인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주민의 보편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주관적인 정신건강이 지역 주민들의 삶에 내재되거나 변화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인 신뢰, 네트워크역량, 사회참여, 지역사회의식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중 신뢰, 사회참여, 네트워크역량, 지역사회의식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론적으로는 폴락과 니즈작(Pollack and Knesebeck)은 사회적 지지나 사회연계망 등의 개념을 통해 이러한 사회적 자본과 정신건강과의 관계규명을 시도하였다[21]. 또한 이들 연구에서는 같은 지역사회나 조직, 또는 국가에 소속되었더라도, 개인별 사회적 자본 보유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자본과 정신건강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 중에는 신뢰, 사회참여, 사회적 지지, 사회 연계망이 노인의 정신건강의 주요 예측요인인 연구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건강에 대한 고전적 정의는 무엇인가? 정신건강(mental health)에 대한 고전적 정의는 ‘정신질환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우울증, 불안장애, 알코올 남용 등 다양한 정신장애(mental illness)를 경험 하면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사람이며 반면 정신장애로 이환(罹患)되지 않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는 것이 정신건강에 대한 전통적 견해이다.
사회적 자본을 논의하는데 있어, 관계망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적 자본을 논의하는데 있어, 관계망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신뢰와 상호부조가 속해 있는 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성격이 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범위, 사회적 연계 밀도 및 사회적 관계의 다양성 등을 포함한다[13].
사회적 자본이 자본일 수 있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 그것이 생산적이라는 점에서 자본으로 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하지만, 사회적 자본이 자본일 수 있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 그것이 생산적이라는 점에서는 자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테면 사회적 자본이 없을 때 하지 못했던 새로운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새로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3]. 마찬가지로 구성원들이상호 신뢰하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많은 것을 성취해 낼 수 있으며 나아가 구성원의 삶의 질 역시 높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World Health Report, Geneva, 2002. 

  2.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서울: 통계청, 2012. 

  3. J. S. Coleman,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 Vol.4, No.13, 1993. 

  5. Bourdieu, Pierre, and Loic J. D. Wacquant, An Invitation to Reflexive Sociolog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6.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in P. Dasgupta & I. Serageldin(eds.),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Washington, D.C. : The World Bank, 2000. 

  7. M. Woolcock,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Theory and Society, Vol.27, No.2, pp.151-208, 1998. 

  8. F. Fukuyama,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Y: Free Press, 1995. 

  9. Putnam, Mar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10.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Supplement) Vol.94, pp.95-120, 1988. 

  11. M. W. Foley and B. Edwards, "Is It Time to Disinvest in Social Capital?," Journal of Public Policy, Vol.19, pp.141-173, 1999. 

  12. Stolle and Dietlind, Public Life,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A Comparative Study of Swede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manuscrip, 2000. 

  13. 안성호, 지방정체성과 사회적 자본(I): 대전, 충청지역 연구, 도서출판 다운샘, 2004. 

  14. J. Hughes and W. Stone, Families, social capita l and citizenship projects: fieldwork report, Melbourne: Australian Inst. of Family Studies, Avail able at: http://www.aifs.gov.au/institute/research/soccapfieldwork.pdf, 2002. 

  15. R. D. Putnam,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ston, Prinston University Press, 1993. 

  16. R. J. Gittell and A. Vidal, Community organizing: building social capital as a development strateg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998. 

  17. Tocqueville, Alexis de, Democracy in America, London: Fontana, 1968. 

  18.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 서울의대 정신과, 2012. 

  19. 김영미,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이웃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0호, pp.235-261, 2013. 

  20. 김석민,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21. C. E. Pollack, O. von dem Knesebeck, and J. Siegrist, "Housing and health in Germany," Journal of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58, pp.216-222, 2004. 

  22. Kristian Bolin, Bjorn Lindgren, Martin Lindstrom, and Paul Nystedt, "Investments in social capital implications of social interactions for the production of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6, No.12, pp.2379-2390, 2003. 

  23. 이성대, 염동문, "청소년의 게임중독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229-239, 2013. 

  24. R. S. Burt, "The gender of social capital," Rationality and Society, Vol.10, pp.5-46, 1998. 

  25. 양심영, 박수경, 김미숙,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특성 및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70-28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