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관련 소비자용어와 중재자용어 추출과 권장용어 선정
Extraction of Hypertension-related Consumer Vocabulary and Mediator Vocabulary and Selection of Recommended Vocabulary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5, 2014년, pp.13 - 28  

김묘성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expressions used by consumers to talk and by mediator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hypertension in the internet and suggest more understandable vocabulary for consumers. Methods: A researcher collected archival postings associated 78 hypertension-re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혈압관련 용어 78개’를 검색어로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고혈압관련 소비자용어와 중재자용어를 추출하고, 권장용어를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고혈압 정보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실시되었다.
  • 그러나 소비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의학용어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말 의학용어체계가 정착된다면 상당한 정도로 전문가용어, 중재자용어, 소비자 용어가 모두 통일될 수 있는 효율성을 얻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건강정보 소비자와 중재자 사이에 용어상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고혈압관련 소비자용어와 중재자 용어를 추출하고 소비자와 중재자가 쉽게 이해하는 용어를 확인하여 권장용어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이 있으며,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인터넷 웹사이트로부터 고혈압관련 소비자 용어와 중재자용어를 추출하고 소비자용어와 중재자용어를 매핑하여 소비자들이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권장용어를 제시하고자 하는 조사연구이었다. 연구결과 고혈압관련 용어 78개 중 소비자용어는 67개, 그리고 중재자용어는 73개가 추출되었다.
  • 본 연구는 인터넷 웹사이트로부터 고혈압관련 소비자 용어와 중재자용어를 추출하고 이들을 매핑한 후 소비자들이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권장용어를 제시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수작업으로 용어를 추출하는 방법(Tse & Soergel, 2003) 외에 n-gram이라는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Messai et al., 2010)하거나 사람에 의한 검토 후 자동화된 방법(C value formula)을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검증하는 방법을 활용한 연구(Zeng et al., 2007) 등 용어추출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본 연구는 추출대상이 건강과 관련된 모든 용어가 아니라 고혈압이라는 특정 질환과 관련된 78개 용어로 한정되어 있고 고혈압관련 용어를 얼마나 정확히 추출하느냐에 더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사람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용어를 추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웹사이트로부터 소비자와 중재자가 사용하는 고혈압관련 용어를 추출하고 서로 매핑하여 소비자들이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권장용어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소비자와 중재자가 사용하는 용어 차이를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 건강 관련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는 경우의 문제점은? 메타분석에 의하면 인터넷을 이용한 중재는 신체활동개선, 불안감소, 삶의 질 향상 등에도 기여하고 있다(Kuhl, Sears, & Conti, 2006). 그런데, 선행연구에서 인터넷 건강정보의 질은 유용성이 높았으나 용어 및 문장의 이해용이성, 최신성 및 내용 충분성이 낮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Kim, Kim, & Ryu, 2010). 건강정보관련 용어나 문장의 이해수준인 건강정보 문해력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의 경우 100점에 67.5점(Son et al., 2012), 고혈압 환자의 경우 69.3점으로 낮았으며(Kim & Jeong, 2012) 인터넷 자료는 의학 지식의 복잡성과 기술적 전문용어(technical terms)의 사용으로 인해 건강정보 소비자들이 정보를 찾고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Messai, Simonet, Bricon-Souf, & Mousseau, 2012). 이와 같이 대상자의 이해 정도를 고려하지 않은 건강정보 제공은 대상자의 이해부족으로 적절한 건강관리가 이루어지기 어렵게 하고 결국 건강 결과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Berkman, Sheridan, Donahue, Halpern, & Crotty, 2011). 그러므로 건강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특히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고혈압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고혈압은 완치되지 않는 흔한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우리나라 고혈압의 관리 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고혈압을 진단받고도 반 이상이 제대로 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30-40대 성인에서의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과 조절률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모두 낮았다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1). 혈압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장질환, 말초혈관질환, 뇌졸중, 만성신부전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과 이로 인한 사망의 위험이 커짐에 따라 고혈압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Kim et al., 2013).
인터넷을 이용한 중재가 기여하는 바는? 최근 인터넷 매체의 발달로 의료인들이 건강정보를 인터넷 게시글로 유포하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건강 소비자 들도 의료인과 대면으로 정보를 얻기 보다는 인터넷 건강 관련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Rice, 2006; Suziedelyte, 2012). 메타분석에 의하면 인터넷을 이용한 중재는 신체활동개선, 불안감소, 삶의 질 향상 등에도 기여하고 있다(Kuhl, Sears, & Conti, 2006). 그런데, 선행연구에서 인터넷 건강정보의 질은 유용성이 높았으나 용어 및 문장의 이해용이성, 최신성 및 내용 충분성이 낮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Kim, Kim, & Ryu,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rkman, N. D., Sheridan, S. L., Donahue, K. E., Halpern, D. J., & Crotty, K. (2011). Systematic reviews: low health literacy & health outcome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5(2), 97-108. 

  2. Chae, S. C., Kim, G. I., Kim, G. H., Kim, Y. G., Kim, J. H., Park, J. B., et al. (2013). 2013 Hypertension guideline. Seoul: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3. Chobanian, A. V., Bakris, G. L., Black, H. R., Cushman, W. C., Green, L. A., Izzo, Jr. J. L., et al. (2003).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19), 2560-2572. 

  4. Eun H. C., Song, Y. B., & Jung, I. C. (2013). Create beautiful Korean Medical Terminology. Seoul: Communicationbooks 

  5. Kim, G. S., Kim, Y. R., & Ryu, S. W. (2010). Health behavior stage and usag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35(2), 177-193. 

  6. Kim, K. S., Choi, K. O., Hyun, K. S., Yoon, E. J., Kim, S. Y., Kim, O. S. et al. (2013). Medical surgical nursing (7th ed). Paju: Soomoonsa. 

  7. Kim, M. S. & Jeong, I. S. (2012). Health literacy level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7(2), 78-86. 

  8. Kim, M. T., Song, H. J., Han, H. R., Song, Y., Nam, S., Nguyen, T.H., et al.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igh blood pressure-focused health literacy scal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7, 165-170. http://dx.doi.org/10.1016/j.pec.2011.09.005 

  9. Kim, S. H. & Lee, E. J. (2008).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195-203. 

  10. Kim, S. Y., Park, Y. W., Shin, H. C., Kim, C. H., Sung, E. J., & Lee, S. H. (2007). Readability of patient information on hypertens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5), 346-351.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Retrieved March 9, 2013, from: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2. Kuhl, E., Sears, S., & Conti, J. (2006). Internet-based behavioral change and psychosocial care fo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 review of cardiac disease-specific applications. Heart & Lung, 35, 374-382. http://dx.doi.org/10.1016/j.hrtlng.2006.02.004 

  13. Kwan, B., Frankish, J., & Rootman, I. (2006).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health literacy" in different populations. Vancouver, British Columbia: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Health Promotion Research and University of Victoria center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Research. 

  14. Kwon, M. S., Noh, G. Y., & Jang, J. H. (2013).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complia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190-202.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190 

  15. Messai, R., Simonet, M., Bricon-Souf, N., & Mousseau, M. (2010). Characterizing consumer health terminology in the breast cancer field.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60(Pt 2), 991-994. http://dx.doi.org/10.3233/978-1-60750-588-4-991 

  16. Messai, R., Simonet, M., Bricon-Souf, N., & Mousseau, M. (2012). Analyzing health consumer terminology for query reformulation tasks. Advances in Knowledge Discovery and Management; Studies in Computational Intelligence, 398, 191-211. 

  17.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3). Standard Korean dictionary [Internet]. Seoul: Author. Retrieved October 1, 2013, from: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18. Park, D. J., Kwon, M. S., & Choi, J. H. (2013).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ttitud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on personal health behaviors. Korean Academic Society for Public Relations, 17(3), 379-413. 

  19. Park, L. W. (2009). Tomorrow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3(4), 76-84. 

  20. Rice, R. E. (2006). Influences, usage, and outcomes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arching: multivariate results from the Pew survey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on, 75(1), 8-28. http://dx.doi.org/10.1016/j.ijmedinf.2005.07.032 

  21. Shin, Y. J. & Kim, J. E. (2009). A study for building a system of consumer vocabulary for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5(1), 31-40. 

  22. Son, Y. J., Kim, S. D., Jang, H. J., Yun, Y. R., Kim, H. M., Park, J. I., et al. (2012).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in community-dwelling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12(2), 100-108. 

  23. Sung, N. J., Lee, D. U., & Park, K, H. (2004). Suitability assessment of patients' education materials made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5, 669-677. 

  24. Suziedelyte, A. (2012). How does searching for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ffect individuals' demand for health care services?. Social Science & Medicine, 75(10), 1828-1835.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12.07 

  25.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13). Glossary of telecommunication [Internet]. Seongnam: Author. Retrieved October 1, 2013, from: http://word.tta.or.kr/terms/terms.jsp. 

  26. Tse, A. Y. (2003). Identifying and characterizing a "consumer medical vocabula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College Park, Maryland, USA. 

  27. Tse, T. & Soergel, D. (2003). Exploring medical expressions used by consumers and the media: an emerging view of consumer health vocabularies. Annual Symposium Proceedings Archive, 2003, 674-678. 

  28. Zeng, Q. T. & Tse, T. (2004). Open source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consumer health vocabulary (DSG-TR 2004-002)[internet]. Retrieved March 16, 2013, from: http://www.consumerhealthvocab.org 

  29. Zeng, Q. T., Tse, T., Divita, G., Keselman, A., Crowell, J., Browne, A. C., et al. (2007). Term identification methods for consumer health vocabulary development.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9(1), e4. http://dx.doi.org/10.2196/jmir.9.1.e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