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 역할의 우선 순위 분석
Analysis of the priority of roles performed by health educators in charge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5, 2014년, pp.121 - 133  

최승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  김명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s of workforce required for effective execu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in Korea. Methods: Survey was undertaken on 92 people in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employed i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 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 역할의 구체화를 위하여 현재 보건소 건강증진 담당자가 인식하고 있는 보건교육사 역할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건강증진 전문 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 역할정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문제 요소를 나열하여 여러 단계의 계층으로 분류하고 문제를 구조화 및 체계화할 수 있어 비구조화 되어 있는 의사결정 문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이 가능하다(Saaty, 1980; Cho, 2003). 보건소의 건강증진 담당 보건교육사에 대한 구체적인 인재상이나 요구 기준이 없는 실정에서 보건교육사 역할의 우선순위에 대한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소 건강증진 담당자가 인식하고 있는 보건교육사 역할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건강증진 전문 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의 역할정립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 오타와 헌장의 5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유럽연합에서는 건강증진을 건강행태개선 뿐만 아니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조건들을 변화시키는 포괄적 사회·정치적 프로세스를 의미한다고 보고 건강증진 전문 인력의 활동 분야를 WHO 오타와 헌장의 5가지 요소인 건강한 공공정책의 수립, 지원환경의 조성,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 개인기술의 개발, 보건의료 서비스의 재정립으로 규정하고 있다(Dempsey et al., 2011).
AHP 분석이란 무엇인가? 보건소 재직자를 대상으로 보건교육사 역할의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통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에서 보건교육사의 특화된 필요 역량을 구체화 하고자 하였다. AHP 분석은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간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의 견해,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의사결정 연구방법이다. 문제 요소를 나열하여 여러 단계의 계층으로 분류하고 문제를 구조화 및 체계화할 수 있어 비구조화 되어 있는 의사결정 문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이 가능하다(Saaty, 1980; Cho, 2003).
AHP 분석의 장점은 무엇인가? AHP 분석은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간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의 견해,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의사결정 연구방법이다. 문제 요소를 나열하여 여러 단계의 계층으로 분류하고 문제를 구조화 및 체계화할 수 있어 비구조화 되어 있는 의사결정 문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이 가능하다(Saaty, 1980; Cho, 2003). 보건소의 건강증진 담당 보건교육사에 대한 구체적인 인재상이나 요구 기준이 없는 실정에서 보건교육사 역할의 우선순위에 대한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S. S. (2010). New approach to strengthening of local public health system.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2. Breslow, L. (1999). From disease prevention to health promo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11):1030-1033. 

  3. Cho, K. T. (2003).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Seoul, Korea: Donghyun. 

  4. Dempsey, C., Battel-Kirk B., Barry M. M., the CompHP Project Partners (2011). The CompHP Core Competencies Framework for Health Promotion. IUHPE, Paris. 

  5. Doh, S. R. (2012). Toward the improvements in health care utilization statistic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91. 38-48. 

  6. IUHPE (2013). Developing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 standards for health promotion capacity building in Europe (CompHP) Retrieved from http://www.iuhpe.org/index.html?page614&langen 

  7. Kim, M. (2009). Health Educator Job Analysis.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Fact about health centers. Retrieved from http://kosis.kr 

  9. Lee, C. H. (2000). Group Decision Making. Busan, Korea: Sejong. 

  10. Lee, E. O., L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L. & Lee, S. M.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Seoul: Soomoonsa. 

  11. Ministry of Health (2010). Guidance of the fifth community health plan. Retrieved from http://www.mw.go.kr 

  12. Ministry of Health (2011). Developing framework of the National Health Plan 2020 of Korea. 

  13. Ministry of Health (2014). Guidance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mw.go.kr 

  14. Na, B. J. (2012). Job Analysis and estimating optimal size of workforce of public health centers.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15. Na, B. J., et al. (2006). Job analysis of a staff who manage quit smoking policy on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4), 173-192. 

  16. Park, S. W., Lee, J. Y. (2009).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obacco control programs of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Journal of agri med and community health. 34(1), 87-100. 

  17. Reed, K., Cheadle, A., Thompson, B. (2000). Evaluating Prevention Programs. with the Results Mapping evaluation tool: a case study of a youth substance abuse prevention program., Health Education Research, 15(1):73-84. 

  18.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19. Shin, H. S. et al., (2009). Establishing an integrated health delivery system: for enhanced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health service.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 Taub, A., Allegrante, J.P., Barry, M.M. and Sakagami, K. (2009). Perspectives on Terminology and Conceptual and Professional Issues in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Credentialing.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36(3):439-450. 

  21.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201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 Health Educators. Retrieved from http://www.bls.gov/oco/ocos063.htm 

  22. World Health Organization(2012). Global Conferences on Health Promotion. Retrieved from http://www.who.int/healthpromotion/conferences 

  23. Yoo, S. H. (2012). Community Participation for Health Promotion: Definitions and Applic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4), 57-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