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아동센터 실내공간의 물리적 환경 특성 사례연구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Interior Space of Community Child Center - Focused on the Cases in Gwang-ju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6, 2014년, pp.93 - 100  

김미영 (조선대학교 실내디자인과) ,  문정민 (조선대학교 실내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munity child center is the facility of the highest number of children in child welfare facilities. But plan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is not considered importantly because of insufficient finance. However impa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growing children is very closely related in term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물리적 환경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현황파악을 위한 기준을 제안하고 사례분석을 통한 실태와 기본 접근 방향을 파악한 것에 의의를 두며, 최종 목적이 대상 공간을 신축하는 관점에서 계획요소를 제안하는 것이 아닌 만큼 좀 더 다양한 사례별 특성을 파악하고 특성별 개선안을 모색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물리적 환경이 이용아동의 신체 및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아동양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분석틀을 도출한다. 이를 광주광역시 소재의 지역아동센터 사례의 제반 물리적 환경 분석에 적용시킴으로써 지역아동센터의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물리적 환경이 이용아동의 신체 및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아동양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분석틀을 도출한다. 이를 광주광역시 소재의 지역아동센터 사례의 제반 물리적 환경 분석에 적용시킴으로써 지역아동센터의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 공간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원리를 분석하여 권장항목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실내공간의 물리적 환경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가설 설정

  • 16) 환경 지원성은 기능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다. 기능적으로는 특정 행위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집기의 배치, 기능적인 공간구성을 통한 효율적 동선의 확보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심리적으로는 안전함을 느끼도록 해 주는 것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 7) 인간의 발달은 변화하는 개인과 변화하는 환경사이의 계속적 교류나 교환에 해당한다.8) 따라서 발달상황에 적합한 환경의 구성은 인간과 환경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혼율의 증가와 핵가족화의 영향은? 8%를 차지하고 있다.1) 또한 이혼율의 증가와 핵가족화는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켜 건전한 자녀 양육이 어려워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양한 보육 정책을 간구하고 있으며, 정책 중 하나인 지역아동센터는 2011년 12월 말 기준 전국에 3,985개소, 이용아동은 104,982명으로 개소 숫자와 이용 아동수가 가장 많은 아동복지시설이다.
지역아동센터의 물리적 환경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특히 아동실의 물리적 환경 특성은 아동정서에 영향을 주는 것이 규명되었고(Hwang & Lee, 2003) 아동기의 정서적 경험은 아동이 자라면서 일상생활에서의 자신의 역할과 사회집단에서의 자기 위치를 파악하는데 영향을 주며(Lee et al., 1999) 일생을 통해 모든 행동에 기초가 되는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지역아동센터의 물리적 환경의 질을 개선하는 것은 필요하다.
지역아동센터의 역할은? 이에 따라 정부는 다양한 보육 정책을 간구하고 있으며, 정책 중 하나인 지역아동센터는 2011년 12월 말 기준 전국에 3,985개소, 이용아동은 104,982명으로 개소 숫자와 이용 아동수가 가장 많은 아동복지시설이다. 학령기 아동의 보육을 지원하여 길게는 하루 8시간 이상을 보내게 되는 보육시설이다. 그러나 지역아동센터는 부족한 재정적 상황으로 인해 법적 설치기준 충족에 그치는 협소하고 열악한 물리적 환경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경호. (1998). 아동발달과 주택보장. 주택보장과 주택정책, 3(1), 101. 

  2. 김영호. (1980). 住居地 環境에 따른 兒童의 人性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3. 문진영. (2004). Sure Start: 영국의 아동 서비스 및 교육프로그램. 복지동향, 68, 59-61. 

  4. Hwang, Y. S., & Lee, Y. S.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room on Children's Emotion. Journal of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14(5), 95-104. 

  5. Hwang, Y. S. (2004).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Environment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sonalit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3(2), 142-149. 

  6. Hwang, H. J. et al. (2003). Child & Environment. Seoul: Hakjisa. 

  7. Jeong, M. Y. (2009). Architectural Design and Human Behavior Interior Environment and Behavior. Seoul: Munundang. 

  8. Kang, J. S., & Ruy H. C. (2012).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psychological factors and spatial functions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domestic case study. Design forum, 37, 377-388. 

  9. Lawton. (2013). Elderly people and the Environment. New York: Springer Verlag. 

  10. Lee, H. S., Kim, S. Y., Choo, J. S., & Cho, S. H. (1999). Psychology of Child Development. Seoul: Hakjisa. 

  11. Lee, S. J. (2002).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Physical Environment Rating Scale for Interior Space of Child Care Facilit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33, 27-35. 

  12. Lee, Y. S. (1998). Interior Environment and Behavior.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13. Lee, Y. S., Ahn, K. I., & Yoon, H. G. (2001).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on Childre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8, 124-132. 

  14. Lee, Y. S., Lee, S. Y., Yeo, W. H., & Jang, M. S. (2007). Environmental Affordance of a Well Recognized Senior Center of Japan.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13(1), 27-35. 

  15. Moore, G.T., Lane, C. L., Hill, A. B., Cohen, U., & McGinty, T. (1998). Recommendations for Child Care Centers. Wisconsin: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16. Park, J. M. (2002). study on planning interior space for children's library.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7. http://kostat.go.kr 

  18. http://lisc.org 

  19. http://news.khan.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