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내성천 유역의 강우-유출-토양침식-유사이송 모의를 위한 분포형 모형의 민감도 분석 및 매개변수 평가
Sensitivity Analysis and Parameter Evaluation of a Distributed Model for Rainfall-Runoff-Soil Erosion-Sediment Transport Modeling in the Naesung Stream Watershe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12, 2014년, pp.1121 - 1134  

정원준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수공학연구실) ,  지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하천해안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사발생 잠재성 및 토양침식으로 인한 유사발생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내성천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토양침식-유사이송으로 이어지는 유역단위의 분포형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유출과 유사농도 모의 결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도계수투수계수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의결과, 내성천유역의 토지 피복이 숲인 지역의 조도계수를 0.4에서 0.45로 변경하여 지표수 유출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향석 지점에서의 유출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나 유출수문곡선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유사농도 값과 유사농도의 범위에 있어서도 모의 결과가 근소하게 증가하나 유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수계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투수계수 값을 저감 시킬수록 총 유출량 및 첨두 유출량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농도 모의의 경우에도 투수계수를 저감시킬수록 모든 지점에서 평균 유사농도 및 유량에 따른 유사농도 범위가 증가하였으며, 향석 지점의 경우 투수계수를 50% 저감하였을 때 유사 농도 모의 값이 유량-유사량 관계식에 의해 계산된 값과 가장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ributed watershed model of rainfall-runoff-soil erosion-sedimen transport was constructed for the Naesung Stream Watershed with high potentiality and risk of sediments produced by soil erosion. The sensitivity analyses of roughness coefficient and hydraulic conductivity which affected the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의 목표는 유사발생 위험성이 높은 내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모형인 TREX 모형을 이용하여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매개변수들 중 수치모의 결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들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보정 및 검증된 주요 매개변수들을 다양한 크기의 단기호우사상에 적용하여 모의를 수행하고 주요 지점별 유출 및 유사이송의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들은 분포형 모형 활용의 최종 목표인 유출량 및 유사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 유사 공급원 분석, 극한호우 사상 발생 후 최종 지표고 변화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모형에서 도출되는 결과 값의 예측 정확도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유역단위의 유출-토양침식-유사이송 수치모의를 위해 현재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는 모형으로는 대표적으로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GNPS (Agricultural Non-Point-Source Pollution Model), ANSWERS (Areal Nonpoint Source Watershed Environment Response Simulation), DWSM(Dynamic Watershed Simulation Model), KINEROS (KINematic Runoff and EROSion Model), MIKE SHE (Systeme Hydrologuque Européen), TREX (Two-dimensional, Runoff, Erosion, and Export) 모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에 맞게 단기호우 사상에 대한 모의를 위해서 준분포형 모형 보다는 분포형 모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분포형 모형인 AGNPS 모형은 단기호우사상에 대해 동일한 모의 시간간격(time step)만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모의 시간간격 (time step)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 단기호우 사상에 대해서는 모형을 안정적으로 구동하는데 있어 활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 앞서 설명한 조도계수 민감도 분석에서 언급하였듯이 향석 지점에서의 전체 유출량과 첨두 유출량이 과소 산정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투수계수 값을 감소시켜 침투량을 감소시키고 유출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 호우 사상에 대해 조도계수 민감도 분석시 적용한 투수계수 값을 내성천유역을 구성하는 모든 토양에 대해 값을 감소시켜 반복적인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뚜렷한 변화를 검토할 수 있는 50% 및 80% 저감하였을 경우의 수치모의 결과만 제시하였다. 투수계수 변경에 따른 모든 모의결과를 실제 관측된 값과 비교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표는 유사발생 위험성이 높은 내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모형인 TREX 모형을 이용하여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매개변수들 중 수치모의 결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들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보정 및 검증된 주요 매개변수들을 다양한 크기의 단기호우사상에 적용하여 모의를 수행하고 주요 지점별 유출 및 유사이송의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토양과 유사의 입자특성은 굵은 자갈 이상, 굵은 자갈에서 가는 자갈, 가는 자갈에서 굵은 모래, 가는 모래 이하로 총 4가지 입자크기를 분류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토양과 유사의 입자 침강속도는 유효입경에 해당하는 물의 온도가 10℃일 경우로 가정하여 Julien (1998)에 의해 표로 제시된 값을 활용하였으며 한계전단응력은 각각의 유효입경에 해당되는 값(Julien, 1998)들을 활용하였다. 지표면에서의 한계유속은 각각의 토양특성에 따라 정의되었으며 Moore and Burch (1986)의 관계식에 기초한 값을 활용하였고, 하천의 유사와 관련된 한계유속은 유사가 이동하는 동안 비점착성 유사라는 가정을 기초로 각각의 입자특성에 Yang (1996)에 의해 제시된 관계식에 기초한 값을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성천유역과 같은 중대규모의 유역의 경우 강우 발생 시 유역반응 예측과 이에 따른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무엇이 반드시 필요한가? , 2012)에서 토양침식으로 인한 유사발생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된 유역이다. 이러한 중대규모 유역의 경우 강우 발생 시 유역반응 예측과 이에 따른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강우-유출-토양침식-유사이송으로 이어지는 유역 단위의 시·공간적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토지이용이 변화하면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규모 증가와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으로 토지이용이 변화하면서 유역 내 돌발홍수, 토양침식, 유사이송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유역인 내성천유역은 기존 연구에서 실시한 현장조사와 유사발생 잠재성 평가(Ji et al.
토지이용은 왜 변화하였는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규모 증가와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으로 토지이용이 변화하면서 유역 내 돌발홍수, 토양침식, 유사이송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유역인 내성천유역은 기존 연구에서 실시한 현장조사와 유사발생 잠재성 평가(J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orah, D.K., and Bera, M. (2003). "Watershed-scale hydrologic and nonpoint-source pollution models: review of mathematical bas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46, No. 6, pp. 1553-1566. 

  2. Borah, D.K., Xia, R., and Bera, M. (2001). "Hydrologic and Sediment Transport Modeling of Agricultural Watersheds." Proceedings of World Water and Environmental Resources Congress 2001,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Orlando, Florida. 

  3. Bras, R.L. (1990). Hydrology: An Introduction to Hydrologic Science.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Reading, Massachusetts. 

  4. Chow, V.T. (1959). Open-Channel Hydraulics. Reissued in 1988, McGraw-Hill, New York. 

  5. Colleen O.D., Laura C.B., Jordan S.L., and Edwin P.M. (2006). "A spatially distributed model for the dynamic prediction of sediment erosion and transport in mountainous forested watersheds." Water Resource Research, Vol. 42, W04417. 

  6. He, Z., Wu, W., Yuan, Y., and Wang, S.Y. (2007). "Simulation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Using a Physically-based Integrated Surface-Subsurface Model." Proceedings of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 Congress 2007,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Tampa, Florida. 

  7. Jang, P., Matt F., William S., and Paul, E. (2008).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Modeling with the Hydrologic Modeling System(HEC-HMS)." Proceedings of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 Congress 2008,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Honolulu, Hawaii. 

  8. Jeong, W.J. (2014). Rainfall-Runoff-Erosion-Sediment Transport Modeling of Naesung Stream Watershed after Dam Construction using a Distributed Watershed Model. M.S.. Thesis, Myongji University, Yongin-si, Korea. 

  9. Ji, U., Hwang, M.H., Yeo, W.K., and Lim, K.S. (2012). "Risk Assessment and Potentiality Analysis of Soil Loss at the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the Land Use Map,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nd Landslide Risk Map."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6, pp. 617-629. 

  10. Ji, U., Julien, P.Y., and Hwang, M.H. (2014). "Risk assessment of watershed erosion at Naesung Stream,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36, pp. 16-26. 

  11. Jia, Y., Kinouchi, T., and Yoshitani, J. (2005).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in a partially urbanized agricultural watershed using water and energy transfer process model."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0, No. 4, pp. 253-263. 

  12. Joris, V., Jean, P., Gert, V., Anton, V.R., and Gerard, G. (2008). "Spatially distributed modeling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at regional scales in Spain." Global and Planetary Change, Vol. 60, No. 3-4, pp. 393-415. 

  13. Julien, P.Y. (1998). Erosion and Sedimentation (First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4. Kim, B.S., Kim, B.K., and Kim, H,S. (2009). "Parameter Sensitivity Anaysis of VfloTM Model in Jungnang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9, No. 6, pp. 503-512. 

  15. Kim, J., Son, K., Noh, J., and Lee, S. (2008). "Estimation of Suspended Sediment Load in Imha-Andong Watershed using SWAT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0, No. 12, pp. 1209-1217. 

  16. Koo, B.K., and Cho, J.H. (2007). "Estimating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ediment Transport Processes using a Distributed Catchment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3, No. 6, pp. 872-880. 

  17. KOWACO (2011). Long and Short Terms Watershed Sediment Model Development and Sediment Discharge Analysis at the Main Points (1st year). Report 2011 (in Korean),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Daejeon-si, Korea. 

  18. KOWACO (2012). Long and Short Terms Watershed Sediment Model Development and Sediment Discharge Analysis at the Main Points (2nd year). Report 2012 (in Korean),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Daejeon-si, Korea. 

  19. Linsley, R.K., Kohler, M.A., and Paulhus, J.L.H. (1982). Hydrology for Engineers (Third Edition). McGraw-Hill, New York. 

  20. MLTMA (2013). River Maintenance Planning ofNaesung Stream Section (Downstream Part). Report 2013 (in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21. Moore, I., and Burch, G. (1986). "Sediment transport capacity of sheet and rill flow: application of unit stream power theor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2, No. 8, pp. 1350-1360. 

  22. Park, S.S., Park, W.H., and Lee, J.T. (2008). "An Assessment of Optimized Parameter and Grid Size for Landuse of the Grid Based Model." Proceedings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08,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youngju, Korea. 

  23. Rawls,W.J., Ahuja, L.R., Brakensiek, D.L., and Shirmohammadi, A. (1993). "Infiltration and Soil Water Movement." In Handbook of Hydrology ed. D.R. Maidment. McGraw-Hill, Inc., New York, pp. 5.1-5.51. 

  24. Rojas, R., Velleux, M., Julien, P., and Johnson, B. (2008). "Grid Scale Effects on Watershed Soil Erosion Model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3, No. 9, pp. 793-802. 

  25. Tarboton, D. (1997).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s and upslope areas in grid digital elevation models."Water Resources Reseatch, Vol. 33, No. 2, pp. 309-319. 

  26. USACE (1998). HEC-1 Flood Hydrograph Package User's Manual. Report: CPD-1A,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aulic Engineering Center, Davis, California. 

  27. Velleux, M., Julien, P., Rojas-Sanchez, R., Clements, W., and England, J. (2006). "Simulation of metals transport and toxicity at a mine-impacted watershed: California Gulch, Colorado."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0, No. 22, pp. 6996-7004. 

  28.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78). Predicting Soil Erosion Losse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Agricultural Handbook No. 537,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29. Woolhiser, D.A., Smith, R.E., and Goodrich, D.C. (1990). KINEROS, A Kinematic Runoff and Erosion Model: Documentation and User Manual.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e Research Service, ARS-77. 

  30. Yang, C.T. (1996). Sediment Transport: Theory and Practice. McGraw-Hill, New York. 

  31. Zeinivand, H., and Smedt F.D. (2009). "Spatially distributed modeling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at watershed scale." Proceedings of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 Congress 2009,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ansas City, Missouri.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