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분포모형의 불확실성 확인을 위한 앙상블모형 적용
Applying Ensemble Model for Identifying Uncertainty i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4, 2014년, pp.47 - 52  

권혁수 (국립환경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종분포모형은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기후변화 예측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나 공공이나 정책분야에서는 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모형의 불확실성을 저감하기 위하여 앙상블이나 합의모형 등의 다중모형을 적용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히어리를 대상으로 단일모형과 앙상블(다중) 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형은 AUC와 kappa, TSS를 이용하여 적합도를 평가하였으며, 이 중 모형 간의 비교가 용이하고 이항형 지도로 바로 변환할 수 있는 TSS가 효과적이었다. 단일모형과 앙상블 모형 모두 높은 모형적합도를 나타내었으며, 다중 모형 중에서는 RF, Maxent, GBM이 높게, GAM, SRE는 비교적 낮게 평가되었다. 예측지도에서는 단일모형에 비해 다중모형의 예측범위가 과대 추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여러 모형이 중첩된 결과로 현장전문가와 모형전문가들 간의 협력연구를 통하여 적절한 모형 선택과 가중치 부여 등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앙상블모형을 공간의사결정이나 보호지역계획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의 정도와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저감하려는 개선작업과 함께 결과의 불확실성이나 위험성을 인지하고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ies distribution models have been widely applied in order to assess biodiversity, design reserve, manage habitat and predict climate change. However, SDMs has been used restrictively to the public and policy sectors owing to model uncertainty. Recent studies on ensemble and consensus models ha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앙상블 모형의 결과는 개별모형의 단점들을 최소화하고 장점들을 최대화하는 방식을 통해 전체 모형을 대표하며, 이에 따른 개별모형의 불확실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히어리를 대상으로 단일 모형과 앙상블모형 같은 다중 모형과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불확실성 원인 파악과 저감방안을 통해 향후 환경계획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종분포모형이 가지는 다양한 불확실성의 원인들 중 통계모형이 가지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자 다중 모형인 앙상블 모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Buisson et al., 2010). 앙상블 모형의 결과는 개별모형의 단점들을 최소화하고 장점들을 최대화하는 방식을 통해 전체 모형을 대표하며, 이에 따른 개별모형의 불확실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히어리를 대상으로 단일모형과 앙상블 모형을 구현하고 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모형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원인을 파악하고 저감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최근에는 이러한 모형의 불확실성을 저감하기 위하여 앙상블모형이나 합의모형 등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히어리를 대상으로 단일모형과 앙상블 모형을 구현하고 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모형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원인을 파악하고 저감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히어리란? 히어리(Corylopsis coreana)는 Fig. 1과 같이 지리산 일대의 남부지역과 경기도 북부, 강원도 일부 지역에 고립되어 서식하는 특산식물로,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Ⅱ급으로 지정된 바 있다. 히어리와 같은 속인 Corylopsis pauciflora와 일본의 Corylopsis spicata도 IUCN과 일본의 적색목록에 등재될 정도로 보호가 필요한 식물이다.
종분포모형의 활용과 그 한게점은? 종분포모형은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기후변화 예측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나 공공이나 정책분야에서는 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모형의 불확실성을 저감하기 위하여 앙상블이나 합의모형 등의 다중모형을 적용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종분포모형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연구는? 종분포모형은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기후변화 예측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나 공공이나 정책분야에서는 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모형의 불확실성을 저감하기 위하여 앙상블이나 합의모형 등의 다중모형을 적용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히어리를 대상으로 단일모형과 앙상블(다중) 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louche, Omri, Asaf Tsoar, and Ronen Kadmon. 2006, Assessing the accurac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prevalence, kappa and the True Skill Statistic (TSS), Journal of Applied Ecology, Vol.43, No.6, pp.1223-1232. 

  2. Araujo, M.B., R.J. Whittaker, R.J. Ladle and M. Erhard, 2005, Reducing uncertainty in projections of extinction risk from climate change.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Vol. 14, pp.529-538. 

  3. Barbet-Massin, M., F. Jiguet, C.H. Albert, and W. Thuiller, 2012, Selecting Pseudo-absences for species distribution models: how, where and how many?, Methods in Ecology and Evolution, Vol.3, No.2, pp.327-338. 

  4. Braunisch, V., J. Coppes, R. Arlettaz, R. Suchant, H. Schmid and K. Bollmann, 2013, Selecting from correlated climate variables: a major source of uncertainty for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under climate change. Ecography, Vol.36, No.1, pp.1-13. 

  5. Buisson, L., W. Thuiller, N. Casajus, S. Lek and G. Grenouillet, 2010, Uncertainty in ensemble forecasting of species distribution. Global Change Biology, Vol.16, No.4, pp.1145-1157 

  6. Elith, J. and J.R. Leathwick, 2009,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ogical explanation and prediction across space and time,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Vol.40, No.1 pp.677-697. 

  7. Flather, C.H., K.R. Wilson, D.J. Dean and W.C. McComb, 1997, Identifying gaps in conservation networks : of indicators and uncertainty in geographic-based analyses. Ecological Applications, Vol.7, No.2, pp.531-542. 

  8.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1st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Jeon, S.W., J. Kim, H. Jung, W.K. Lee and J.S. Kim, 2014,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endangered mammals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focused on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 Korean Env. Res. Tech., Vol.17, No.1, pp.111-122. 

  10. Kim, H., 2012, (A) study on the method establishing protected areas for the prediction of habitat distribution changes of living species by climate change : focused on forest vegetations, birds and amphibian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Kim, J., C. Seo, H. Kwon, J.E. Ryu, and M. Kim, 2012,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21, No.4, pp.593-607. 

  12. Kwon, H., 2011,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bio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focused on Mt. Jiri, Mt. Deokyu and Mt. Gaya region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Kwon, H., C. Seo and C. Park, 2012c,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20, No.3, pp.11-18. 

  14. Kwon, H., J.E. Ryu, C. Seo, J. Kim, D.O. Lim and M.H. Suh, 2012a, A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coreana using SDM,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21, No.5, pp.735-743. 

  15. Kwon, H., J.E. Ryu, C. Seo, J. Kim, J. .Tho, M.H. Suh and C. Park, 2012b, Clima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distribution of narrow range plants, Vol.15, No.6, pp.17-27. 

  16. Latif, Q.S., V.A. Saab, J.G. Dudley and J.P. Hollenbeck, 2013, Ensemble modeling to predict habitat suitability for a large-scale disturbance specialist. Ecology and evolution, Vol.3 , No.13, pp.4348-4364. 

  17. Meller, L., M. Cabeza, S. Pironon, M. Barbet-Massin, L. Maiorano, D. Georges and W. Thuiller, 2014, Ensemble distribution models in conservation prioritization: from consensus predictions to consensus reserve network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Vol.20 pp.309-321. 

  18. Rodder, D., J. Kielgast, J. Bielby, S. Schmidtlein, J. Bosch, T.W.J. Garner, M. Veith, S. Walker, M.C. Fisher and S. Lotters, 2009, Global amphibian extinction risk assessment for the Panzootic Chytrid Fungus, Diversity, Vol.1, pp.52-66. 

  19. Seo, C., J.H. Thorne, L. Hannah and W. Thuiller, 2009, Scale Effects in species distribution model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planning under climate change, Biology Letters, Vol.5, No.1, pp.39-43. 

  20. Song, W. and E. Kim, 2012,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ethods for habitat analysis of the Kore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28, No.1, pp.171-180. 

  21. Thorn, J.S., V. Nijman, D. Smith and K.A.I. Nekaris, 2009, Ecological niche modelling as a technique for assessing threats and setting conservation priorities for Asian slow lorises (Primates: Nycticebu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Vol.15, No.2, pp.289-298. 

  22. Thuiller, W., B. Lafourcade, R. Engler and M.B. Araujo, 2009, BIOMOD - a platform for ensemble forecasting of species distributions, Ecography, Vol.32, No.3, pp.369-373. 

  23. Yun, J.H., K. Nakao, C.H. Park, B.Y. Lee and K.H. Oh, 2011, Change prediction for potential habitats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by climate change, Kor. J. Env. Eco., Vol. 25, No.4. pp.171-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