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인항공사진을 이용한 저수지 방재 모니터링
Reservoir Disaster Monitoring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4, 2014년, pp.143 - 149  

박홍기 (가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수지에 대한 방재계획은 저수지의 수위와 수면 면적에 대한 시계열적인 변화 상태를 직관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보다 신속하게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주기적인 무인항공사진측량을 통해 제작되는 정사영상을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아산시 성내저수지를 대상으로 총3회의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실시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하고, 각각의 성과를 비교하여 저수지의 시계열별 수위 변화와 수면 면적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강우에 따른 수위 상승과 수면 면적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관측할 수 있었다. 정사영상 성과는 지상측량에 의한 실측성과와 비교하여 최대오차가 X좌표는 7.5cm, Y좌표는 10.8cm, 높이는 14.1cm이내의 범위에 들었으므로 향후 무인항공사진측량 방법이 저수지의 방재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업무에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정사영상을 취득하는 데에는 촬영에 약 2시간, 그리고 영상처리에 약 4시간이 소요되어 촬영 당일 영상분석이 가능하므로 긴급을 요하는 방재 업무에 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aster planning for the reservoir should be more quickly and intuitively establish measures by means of the sequential monitoring of change status of the reservoir water level and water surface area.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using the orthophoto image produced by the periodic unmann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하여 저수지에 대한 고해상도 공간정보를 취득하여 정확도를 분석하고, 총 3회에 걸친 주기적 촬영성과를 바탕으로 영상의 시계열적 공간분석을 통해 재해, 환경 및 시설물관리 등을 위한 모니터링 업무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이와 같이 주기적 또는 긴급으로 무인항공사진을 촬영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하면 수위 및 수면면적의 변화를 직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방재대책을 적기에 수립할 수 있다. 그러나 담수면의 형태는 불규칙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강우에 따른 수위와 수면면적은 비선형적 증가추세를 보인다.

가설 설정

  • 또한 저수지 유역에 대한 지형공간자료를 바탕으로 강우의 유하시간 등에 관한 데이터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담수면과 유역의 지형자료가 구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무인항공사진 촬영을 통한 수위 모니터링의 적용성을 실험하는 수준으로 한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 인력에 의한 직접 조사를 할 경우 단점은? 수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인력에 의한 직접조사는 대상지를 일일이 답사하여야 하며 접근이 난해한 연안 지점은 데이터취득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위성이나 항공사진기술은 수위변화가 비주기적으로 발생되고 피해발생 시 신속한 현황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모니터링에는 어려움이 있다.
농촌용수종합정 보시스템은 저수지의 실시간 수위자료를 몇 시간 간격으로 제공하고 있는가? 현재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 중인 농촌용수종합정 보시스템(RAWRIS)는 농촌용수 물 관리 정보화사업의 메인 시스템으로서 자동수위계를 통해 얻어진 저수지의 실시간 수위자료를 1시간 간격으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실시간 강우자료와 자동수위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호우발생시 저수지로의 홍수유입량과 방류량을 자동으로 분석하거나, 예상되는 강우량을 직접 입력하여 홍수량을 파악하는 농촌홍수관리시스템이 개발되어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다.
수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 무인항공기를 이용시 장점은? 또한 위성이나 항공사진기술은 수위변화가 비주기적으로 발생되고 피해발생 시 신속한 현황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모니터링에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ircraft Vehicle)의 경우, 현장에 수시로 접근하여 비행고도에 따라 다양한 축척의 정사영상 취득이 가능하며 경사촬영 및 동영상 등 다양한 영상정보의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수지의 모니터링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할수 있다 (Kim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 Y. S., Lim, H. M., Choi, S. G. and Jung, S. H., 2014, High resolution spatial information acquisition using UAV photogrammetry, Korean Review of Crisis & Management, Vol.10, No.2, pp. 273-2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Jung, S. H., Lim, H. M. and Lee, J. K., 2010, Acquisi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UAV photogrammetric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28, No.1, pp. 161-1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im, D. I., Song, Y. S., Kim, G. H. and Kim, C. W.,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AV for Korean land monitor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32, No.1, pp. 29-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M. G., Jung, G. Y., Kim, J. B. and Yun, H. C., 2010, Applicability analysis of UAV for storm and flood monitor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28, No.6, pp. 655-6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Lee, I. S., Lee, J. O., Kim, S. J. and Hong, S. H., 2013, Orthophoto accuracy assessment of ultra-light fixed wing UAV photogrammetry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33, No.6, pp. 2593-26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Park, M. H., Kim, S. G. and Choi, S. Y., 2013, The study about building method of geospatial information at construction sites by unmanned aircraft system(UA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Vol.15, No.1, pp. 145-1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Yun, B. Y. and Lee, J. O., 2014,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UAV in Korea for integrated operation with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22, No.2, pp. 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Yun, H. S. and Cho, J. M., 2011, Hydroacoustic application of bathymetry and geological survey for efficient reservoir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29, No.2, pp. 209-2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ttp://www.kma.go.kr (last date accessed: 29 October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