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르 꼬르뷔제의 재료 질감 사용 및 색채 표현 - 롱샹성당의 입면과 디테일을 중심으로 -
The Expression of Color and Texture Usage of Finish Material from the Le Corbuisier's Work - Focused on the Elevation and Detail in the Chapel Ronchamp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3 no.6 = no.107, 2014년, pp.70 - 77  

김소희 (영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a usage of exterior, interior finish materials and color scheme for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actual texture and pattern plans of finish materials from Le Corbuisier's work, Chapel Ronchamp. Chapel Ronchamp was analyzed to support the study for the inter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물치장 콘크리트와 흰 도료의 물성과 빛과 색채의 표현 과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건축 설계 시 마감 재료의 색채 선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된 마감 재료의 진감을 분류하고 사용 위치에 따라 재료색과 재료 패턴을 고찰하고자 한다.
  • 르 꼬르뷔제는 내력 부재를 제물치장 콘크리트로, 비내력 부재를 흰 도료로서 표현하였고 실내의 조도와 청결이 보장되는 표면을 만들기 위해 제물치장 콘크리트의 내벽에 흰 도료를 칠하였다. 또한, 흰 도료는 그 자체로 시선을 분산시키는 벽돌 등의 매끄럽지 못한 재료를 덮어 이상적 볼륨의 모습을 보이기 위해 선택되었다. 그러나 제물 치장 콘크리트는 자체로 벽을 구성하며4) 특히, 가소성을 지닌 재료로서 흰 도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볼륨을 의도에 맞도록 표현해낼 수 있다.
  • 본 연구는 재료의 물성을 건축물에 적극적인 방식으로 드러낸 르 꼬르뷔제의 롱샹 성당을 중심으로 마감 재료의 사용에 따른 입면의 주제를 살펴보았다. 롱샹 성당의 입면들은 표면과 디테일 처리 등에 의해 서로 다른 주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사용된 마감 재료의 종류와 적용 방법, 질감과 색채 도출의 과정은 상당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건축물의 마감재료 사용에 적용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재료의 물성을 건축물의 내 외부 공간에 적극적으로 반영한 르 꼬르뷔제의 작품을 통해 건축 설계 시 색채와 질감 표현의 중요성이 드러나고 있음을 롱샹 성당의 입면과 디테일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대상은 르 꼬르뷔제가 콘트리트의 물성을 건축물에 드러낸 대표작인 롱샹 성당을 중심으로 하며, 실제로 사용된 마감 재료의 종류와 적용 방법, 질감과 색채 도출의 과정을 알아내어 르 꼬르뷔제가 건축물의 재료 질감과 색채를 어떠한 방법으로 건축 공간속에 구체적으로 구현해 내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 특히, 롱샹 성당의 입면에 사용된 디테일에 따른 재료 질감, 색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제물치장 콘크리트와 흰 도료의 물성과 빛과 색채의 표현 과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건축 설계 시 마감 재료의 색채 선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된 마감 재료의 진감을 분류하고 사용 위치에 따라 재료색과 재료 패턴을 고찰하고자 한다.
  • 특히, 롱샹 성당의 입면에 사용된 디테일에 따른 재료 질감, 색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제물치장 콘크리트와 흰 도료의 물성과 빛과 색채의 표현 과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건축 설계 시 마감 재료의 색채 선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빛이 건축 마감 재료의 질감에 따라 변화한다면 시간을 통해 3차원 공간은 4차원의 성격을 드러내게 된다.12) 빛에 의한 명암의 차이는 사물의 공간을 더 강화시켜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감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질감은 시각적으로 규칙적이기도 불규칙적이기도 하며, 따뜻하거나 차게, 크거나 작게, 거칠거나 부드럽게 느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질감의 종류는 거칠고 광택 있는 것, 거칠고 광택 없는 것, 매끈하고 광택 있는 것, 매끈하고 광택이 없는 것으로 분류 될 수 있다.5) 또한, 질감은 음영효과라고 하는 시각적 사실과 촉각적 느낌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인데 시각이 작용할 때는 시각적 질감으로 이해되며, 촉감의 수단으로 경험할 때는 촉각적질감으로 이해된다.
롱샹 성당의 공간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롱샹 성당의 공간 구성은 크게 200명을 수용하는 교회 중앙의 신도석과 작은 예배당 세 개, 일 년에 두 번 10,000명 정도가 야외 미사를 드릴 수 있는 야외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1) 롱샹 성당 중앙부의 신도석은 13m× 25m 규모로 되어있고, 3개의 작은 예배당은 신도석과 완전하게 분리되어 위치해 있다.
롱샹 성당에서 콘크리트로 가능한 표현성은 무엇인가? 건축디자인 구성 요소로서의 마감 재료는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롱샹 성당에서 콘크리트는 두 가지 측면의 표현성이 가능하다. 과감한 질감과 조형성으로 브르탈리즘적인 표현성을 가진 모습과 순수하고 절제된 재료의 모습이다. 콘크리트가 가지고 있는 표현성을 강조하는 요소 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빛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eorrfrey H. Baker 저, 이승호 역, 르 꼬르뷔제 건축의 형태 분석, 건축시대, 1998 

  2. Lucy Nussbaum, Le Corbusier, Gustavo Gili, 1995 

  3. Nicholas Fan, 허유영 역, 언덕위의 수도원, 컬처북스, 2013 

  4. Obras y proyectos, Le corbusier, Editorial GustavoGili, S.A. Barcelona, 1995 

  5. Stanislaus von Moos 저, 최창길 예명혜 역, 르꼬르뷔제의 생애, Le Corbusier-Elemente einer Syntheses, 2007 

  6. 박한규, 건축의장론, 기문당, 1996, p.230 

  7. 유희준, 건축디자인 이야기, 문운당, 1999 

  8. 이관석 저, 르 코르뷔지에-근대건축의 거장, 살림출판사, 2006 

  9. 전영미, 르 꼬르뷔제 공간디자인에 표현된 회화의식 연구, 동아대 박사논문, 2011 

  10. 정진국, 르 꼬르뷔지에가 선택한 최초의 색채들, 공간사, 2001 

  11. Isha Anand, Notre dame du haut. AA school of Architecture Dissertation project, 2010 

  12. 김기환, 건축 외장재료 변화에 따른 건축색채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부경대 석사논문, 2004 

  13. 김소희, 르꼬르뷔제의 공간구성요소로서 가구사용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0 

  14. 김소희, 빌라 사보아의 재료패턴과 색채사용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0 

  15. 김영희, 롱샹 성당에서 음악의 생명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2 

  16. 김정신 외, 건축디자인의 시각적 질량감을 구성하는 재료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999 

  17. 김종화, Le Corbusier 성당 건축에 관한 연구 : 롱샹성당과 라 뚜레뜨 수도원의 공간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경기대 석사논문, 2007 

  18. 김창성, 르 꼬르뷔제 건축에 나타난 빛의 건축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2012 

  19. 김홍일, 르 꼬르뷰제 건축공간에서 빛의 연출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6 

  20. 민치윤 외, 르 코르뷔지에의 '흰 벽'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9 

  21. 이정규, Ronchamp 성당의 건축해석, 한국건축역사학회지, 1997 

  22. 최정진, 빛과 그림자의 시간성 관점에서의 성당건축 실내공간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0 

  23. 하성경, 롱샹성당의 가구 요소와 형태 구성의 상관관계, 한남대 석사논문, 2002 

  24. 한성훈, 건축 외장재료 변화에 따른 건축 색채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부경대 석사논문, 2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