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살균제 나무주사를 이용한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Fungicide Injection on Oak Wilt in the Field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0 no.4, 2014년, pp.295 - 298  

손수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서상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박지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참나무 시들음병(병원균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은 2004년 국내에 처음 발견되어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를 위한 나무주사용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해 실내시험과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검정에서는 10종의 살균제와 1종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국내균주 R. quercus-mongolicae와 일본균주 R. quercivora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균주에 대해서는 chlorothalonil, benomyl, propiconazole 순으로 생육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균주에 대해서는 propiconazole, benomyl, bitertanol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균주와 일본균주에 대하여 실내 항균효과가 우수하였던 약제 중 침투이행성이 우수한 propiconazole을 이용하여 약제방제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무주사 처리 당해 연도 방제효과는 87.5%, 처리 다음 연도 방제효과는 66.7%까지 나타나 약제처리 효과는 적어도 1년 이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ak wilt caused by Raffaelea quercus-mongolicae was first noticed in South Korea in 2004 and, ever since, its distribution and damage have been increasing. To screen a fungicide effective for oak wilt control by tree injection,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en fungicides and o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참나무 시들음병을 방제할 수 있는 살균제 시험에 관한 첫 보고로 나무주사에 의한 방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보다 정확한 약량, 처리시기, 약효지속 기간, 방제효율 등을 밝히기 위해 보다 많은 반복시험과 추가시험이 필요하며 일부 시험은 현재 진행 중에 있다.
  • 일본의 경우 나무 주사용으로 benomyl 수화제, triforine 유제가 등록되어 있으며(Kawashima 등, 2009), 미국의 경우 나무주사용으로 propiconazole 유제가 등록되어 이용되고 있으나(Blaedow 등, 2010), 우리나라에는 나무주사용으로 등록된 약제가 없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를 위한 나무주사용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한 실내시험과 포장시험 결과를 보고한다.
  • 참나무 시들음병(병원균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은 2004년 국내에 처음 발견되어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를 위한 나무주사용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해 실내시험과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검정에서는 10종의 살균제와 1종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국내균주 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나무류의 장점은? 우리강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는 소나무와 더불어 참나무류(Quercus sp.)로서, 참나무류는 목재뿐만 아니라 버섯재배, 숯, 칩, 목초액 등 활용도가 높은 나무이다. 이런 참나무류가 한여름에 급속히 고사하는 증상이 2004년 경기도 성남시에서 처음 발견되었는데, 그 원인은 참나무 시들음병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법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법으로는 소구역 선택베기, 피해목 제거, 끈끈이롤트랩 설치, 유인목 설치, 전기충격기 활용, 지상 약제살포, 대량포획 장치법, 약제줄기 분사법 등이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4). 일본의 경우 나무 주사용으로 benomyl 수화제, triforine 유제가 등록되어 있으며 (Kawashima 등, 2009), 미국의 경우 나무주사용으로 propiconazole 유제가 등록되어 이용되고 있으나(Blaedow 등, 2010), 우리나라에는 나무주사용으로 등록된 약제가 없는 실정이다.
참나무 시들 음병의 주 피해 수종은? 산림청 통계(Korea Forest Service, 2014)에 의하면 참나무 시들 음병 피해목은 2013년 309천본으로 2012년 268천본에 비해 15% 증가하였으며, 주 피해 지역은 서울과 경기도이다. 주 피해 수종은 신갈나무이며 졸참나무, 갈참나무에서도 피해가 크다 (Suh 등, 2012). 가까운 일본에서도 참나무 시들음병 피해가 심 각한 수준으로 매개충은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ppel, D. N. and Kurdyla, T. 1992. Intravascular injection with propiconazole in live oak for oak wilt control. Plant Dis. 76: 1121-1124. 

  2. Armstrong, S. D. 1999.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for the isolation of trace systemic fungicides from woody plant material. Ph.D. thesis. Dept. Chemistry.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3. Blaedow, R. A., Juzwik, J. and Barber, B. 2010. Propiconazole distribution and effects on Ceratocystis fagacearum survival in roots of treated red oaks. Phytopathology 100: 979-985. 

  4. Davies, C. S. 1992. Environmental management of oak wilt disease in central texas. Environ. Manage. 16: 323-333. 

  5. Kawashima, D., Kinuura, H. and Saito, S. 2009. A control example of Japanese oak wilt by fungicide injection. J. Tree Health 13: 162-163. 

  6. Kim, K. H., Choi, Y. J., Seo, S. T. and Shin, H. D. 2009. Raffaelea quercusmongolicae sp. nov. associated with Platypus koryoensis on oak in Korea. Mycotaxon 110: 189-197. 

  7. Korea Forest Service. 2014. Forest pest surveillance and control plan. 

  8. Kubono, T. and Ito, S. 2002. Raffaelea quercivora sp. nov. associated with mass mortality of Japanese oak, and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quercivorus). Mycoscience 43: 255-260. 

  9. Suh, D. Y., Son, S. Y., Kim, S. H., Seo, S. T., Kim, K. H. and Ko, H. K. 2012. Investigation of fungi in pesticide fumigated oak wilt-diseased logs. Korean J. Mycol. 40: 288-2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