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노인의 세대 간 사회적 지원교환과 자기효능감이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Exchange and Self-efficacy on Level of Depression among Elderly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4, 2014년, pp.277 - 286  

고정미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exchange (providing social support, receiving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elderly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47 elderly wo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의 세대 간 지원교환과 자기효능감이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여성노인의 우울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세대 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자기효능감이 여성 노인의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 연구이며, 이를 바탕으로 여성노인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과 세대 간 사회적 지원교환에 있어서 자녀에 대한 지원제공이 여성노인의 우울정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세대 간 사회적 지원교환과 자기효능감이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횡단적 상관성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세대 간 지원교환과 자기효능감이 우울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의 세대 간 사회적 지원교환이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지원제공과 지원수혜 차원에서 밝히고, 또한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이 여성노인의 세대 간 사회적 지원교환 및 자기효능감이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므로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여성으로서 결혼한 자녀가 있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설문지에 응답할 수 있는 정도의 언어 이해력과 인지기능이 있는 경우를 연구대상자로 포함하여 편의 표출하였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서의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연구들이 대 부분 노인이 지원을 받고 있는 측면만을 부각한데 반해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제공과 수혜의 양측면을 고려하여 그 결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노인이 지지를 제공하고 수혜받는 일차적 집단이 자녀이며 궁극적으로 노인에게 심리적으로 긍정적 ․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반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세대 간 사회적 지원교환(노인의 자녀에 대한 지원제공과 자녀로부터의 지원수혜)이 여성노인의 우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우울 예방중재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란 무엇인가? 또한 사회적 지지는 노년기의 심리적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잘 알려져 있다[9]. 사회적 지지는 지속적 상호 작용을 하는 사회적 집합체(가족, 친지, 친구 그리고 지역사회 내 다양한 구성원들과 단체)로부터 제공받는 것으로서 필요 시 심리적 자원을 통해 정서적 문제를 완화하고 개인에게 정보와 조언을 제공하고, 일을 대신해 주거나, 물질적 ‧ 경제적 부조 등을 제공하는 대인관계의 교환범위이다[12]. 노년기에는 사회적 지원망이 일반적으로 축소되고, 평균수명의 연장으 로 인해서 부모-자녀간의 관계수명(relationship life expectancy)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의 삶에 있어서 세대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13].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더 우울에 취약한 경향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여성은 노년기에 들어서면서 우울을 경험할 요소를 남성보다 많이 가지고 있다. 여성이 남성보다 긴 평균수명을 가지고 있어 배우자 없이 홀로 생활하는 고령기가 훨씬 길기때문에 노년기에 신체적 질병, 경제적 사정의 악화, 사회와 가족들로부터의 소외와 고립 등으로 우울에 더 취약한 경향이다[7,8]. 보건복지부 통계에 의하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인구에서는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1.
우울의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인구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노인과 관련된 문제들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우울은 노년기에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심각한 정신건강문제로서 주요 증상으로는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 일상생활에 대한 의욕이나 즐거움의 감퇴, 체중의 갑작스러운 증가나 감소, 불면이나 수면, 안절부절 못하는 행동이나 느린 행동, 피로감 또는 활력 감퇴, 무가치감 또는 죄책감, 주의집중력 및 판단력 저하,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1]. 이러한 증상을 동반하는 우울은 방치되면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장애가 유발되거나, 질병으로부터의 회복지연, 병원이용 빈도의 증가, 삶의 질 저하 및 노인자살의 주요인으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2], 노년기에 보다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이 필요한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DSM-I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2. Chung MJ, Moon H, Sun CJ, Li DM, Park YR. A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piritual well-being in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client: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3;33(4):865-879. 

  3. Song MR, Kim EK, Yu SJ. A study of ADL, social support, self-efficacy between the aged groups with and without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0;24:61-80. 

  4. Kim KJ, Pyo KS. An exploration of the arousing factors and the relaxing factors on depression among the old peopl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8;39:111-144. 

  5.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1 national survey data of the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Internet]. Seoul: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2 [cited 2014 September 2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71_2011N043&vw_cdMT_OTITLE&list_id117_11771_002_F&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K2 

  6. Kim H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pression in low income women elders in urban community.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2014;10(1):163-177. 

  7. Oh IG, Oh YS, Kim MI.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females in Korea: Analysis of the inter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09;14(1):113-136. 

  8. Yi ES. The mediative effect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calisthenics participa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rural area.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9;38(1):683-697. 

  9. Paik J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health for old women and old 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0;15(3):425-445. 

  10. Choi HJ, Yoo JH.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1;17(2):149-155. 

  11. Kim YJ.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9;46:77-104. 

  12. Whittaker JK, Garbarino J. Social support networks: Informal helping in the human services. New York: Aldine de Gruyter; 1983. 

  13. Han MA, Han GH.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04;9(1):135-152. 

  14. Han GH, Hong JK.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exchan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Family & Culture. 2000;12(2):55-80. 

  15. Lee HS.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exchang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rural elderly: Sex and age group differenc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3;41(4):57-69. 

  16. Silverstein M, Xuan C, Kenneth H. Too much of a good thing?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996;58(4):970-982. 

  17. Lee GR, Netzer JK, Coward RT.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nd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assista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994;56(3):559-565. 

  18. Blazer DG.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later life: A primary prevention proposal. Aging and Mental Health. 2002;6(4):315-324. 

  19. Kim HN, Seo HL.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depression of lonely frail elde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0;48:59-82. 

  20. Sheikh JI, Yesavage JA.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2. 

  21. Song MS.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on model for the elderl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1. 

  22. Kim SH. A study into 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social activities and successful lives of the elderly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2. 

  23. Sherer M, Maddux JE.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663-667. 

  24. Seo HM.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odel in elderly[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25. Song MS, Kim NC. Spiritual well-being, spiritual needs and depression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1;13(1):29-36. 

  26. Kang SK.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2):629-643. 

  27. Kim HJ, Ju KH.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n old age: Applying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8;41:125-158. 

  28. Hur JS. A study on self-efficacy among elderly persons: National senior public work (NSPW) and senior volunteer activities.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2;14:89-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