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센인의 삶: 소록도병원을 중심으로
Life Experiences of Korean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in Sorok Island Hospita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6, 2014년, pp.639 - 648  

양야기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ife experiences of Korean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leprosy). Methods: For this study, 5 participants from Sorok Island Hospital were purposively chos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from June to July 2014. Data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일반적으로 누구를 한센인으로 칭하는가? 만성 감염 질환으로 분류되는 한센병은 나균(Mycobacterium leprae) 이 발병원이므로[1] 나병(癩病)이라고 명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2000년 10월 5일 「전염병예방법」이 개정되면서 한센병이 공식적인 용어가 되었다. 이후 나환자는 ‘한센병력자’ 혹은 ‘한센병환자’로 명명되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과거 한센병을 앓았거나 환자인 사람을 한센인이라 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 한국에서는 1916년부터 한센인을 일반인과 격리하는 정책을 실시해 왔는데, 강제 수용 과정에서 감금, 폭행, 단종 등의 인권침해가 행해지기도 했다[3].
한센인의 총체적 전인간호를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한센병과 관련된 삶의 경험과 한센인에게 있어서 한센병의 의미에 대한 이해와 고찰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센인의 총체적 전인간호를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도출하려면 한센병과 관련된 삶의 경험과 한센인에게 있어서 한센병의 의미에 대한 이해와 고찰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한센인의 질병 관리는 주로 일반인들과 격리된 특별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질병에 적응하고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이들의 노력은 타 질환과 달리 체계화된 치료 시스템을 갖춘 의료 공간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공간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한센병 유병률은 어떠한가? 재가 한센인은 6,850명, 정착촌(91개) 거주 한센인은 3,945명, 소록도병원을 포함한 국립병원에서 입원 보호 중인 한센인은 1,020명이다[5]. 우리나라 신환자 발생은 매년 30명 내외로 WHO (World Health Orgarnization)에서 제시하는 한센병 퇴치 사업의 목표인 인구 10,000명 당 1명 이하의 유병률에 도달하여 한센병은 사실상 퇴치된 상태다. 더욱이 1982년 MDT (Multi drug therapy)가 보급되면서 완치가 가능하고, 감염 가능성이 낮은 질병으로 재규정되어[3], 사회적 인지도도 점차 긍정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ae GT. Review of history of institute of Hansen's disease in the Catholic Medical College: (1961.4.1-2011.4.1). Seoul: Institute of Hansen's Disease; 2011. 

  2. Jung KS. Dissolution of settlement village and network of migration in Hansen's disease ex-patient communities. Society and History. 2006;69:43-81. 

  3.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Survey on the human rights of Hansen's. Seoul: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05. 

  4. Kim JH. The lived experience of leprosy patient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04. 

  5. Korean Hansen Welfare Association. Cases under of service in 2013 [Internet]. Uiwang: Korean Hansen Welfare Association; 2013 [cited 2014 July 3]. Available from: http://www.khwa.or.kr/sub.asp?maincode482&sub_sequence529&sub_sub_sequence&strBoardIDkui_529&execVIEW&intPage&intCategory0&strSearchCategory $\|$ s_name $\|$ s_subject $\|$ &strSearchWord&intSeq548. 

  6. Cross H, Choudhary R. STEP: An intervention to address the issue of stigma related to leprosy in Southern Nepal. Leprosy Review. 2005;76(4):316-324. 

  7. Shin SY. Social distance towards people affected by Hansen' disease.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2012;7:177-200. 

  8. Kim KH, Chung IY, Seo SW. The effect of augmented lateral tarsal strip for paralytic ectropion in lepros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9;50(4):497-504. http://dx.doi.org/10.3341/jkos.2009.50.4.497 

  9. Kim SS, Kang YS. A study on spirituality and death attitudes of terminal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07;25:41-73. 

  10. Choi BT. Son Yang-Won and leprosy relief activities centered around the Aeyangwon church. Christianity and History in Korea. 2011;34:191-215. 

  11. Jung KS. The start and change of the modern leprosy control in colonial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1997;1(1):1-30. 

  12. Jung KS. Historical development and social structure of disease community: A case of Iksan farm. Journal of Modern Social Science. 1998;9:157-191. 

  13. Joo YJ. Social works for the Hansen's disease patients in post-liberation Korea: Focusing on the works of Catholic organizations.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2007;29:221-252. 

  14. Park KD. Change of meaning in Sorok Island and actions taken in the Hansen community. Korean Regional Sociology. 2010;11(2):91-130. 

  15. Kang TK. A study on the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who experienced suicidal urge and overcame suicide [master's thesis]. Daegu: Daegu University; 2013. 

  16. Colaizzi PF.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17. Lee HK, Yang YH, Gu MO, Eun Y. Introduction of nursing research. 4th ed. Seoul: Hyunmoon; 2009. 

  18. van Manen M. Writing qualitatively, or the demands of writing.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6;16(5):713-722. http://dx.doi.org/10.1177/1049732306286911 

  19. Morse JM, Hutchinson SA, Penrod J. From theory to practice: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guides from qualitatively derived theory.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998;8(3):329-340. http://dx.doi.org/10.1177/104973239800800304 

  20. Heijnders ML. An exploration of the views of people with leprosy in Nepal concerning the quality of leprosy services and their impact on adherence behaviour. Leprosy Review. 2004;75(4):338-347. 

  21. Yoo YS, Kim BR, Cho OH. Stigma,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Hansen's diseas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2;19(3):272-281. http://dx.doi.org/10.5953/JMJH.2012.19.3.272 

  22. Oh SK. A study on improvement of management skill for persons affected by leprosy living with their famil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master's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2009. 

  23. Cho YS. Depression, loneliness and coping in client with Hansen's disease. Korean Leprosy Bulletin. 2009;42(1):99-114. 

  24. Jung KS, editor. Another home, our landscape. Jeollanam-do: Sorokdo National Hospital; 2011. 

  25. Chang SJ. Lived experiences of nursing home residents in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2013;7(2):83-90. 

  26. Lee JS.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igma and social avoidance & distress of individuals with lepros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11;15(3):107-130. 

  27. Kim SL. Hansen's oral life histories and healing.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13;22(2):389-420. 

  28. Kim HY, Eom CH. Search for humanities therapy utilizing oral history: Memory, trauma and history therapy. Studies in Humanities. 2010;24:361-3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