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의 담석 유병률과 위험인자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stones in Adult Health Screening Population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4, 2014년, pp.287 - 294  

이미화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권덕문 (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조평곤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담석은 담도계의 가장 흔한 질환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콜레스테롤 담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위험인자로는 연령, 여성, 비만 등이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최근 3년간의 담석의 유병률 및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월에서 2013년 12월까지 대구지역 종합검진전문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4,696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별 분표를 조사하고 키와 몸무게, 공복혈당과 간기능 및 기본 지질 검사를 하였고, 초음파 검사를 통해 담낭의 담석을 진단하였다. 체질량 지수에 따라 저체중, 정상체중, 과다체중, 비만 집단으로 나누었고, 공복혈당 수치는 미국 당뇨 협회에서 제시한 당뇨병의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간기능 수치는 본원에서 사용하는 간기능 정상치를 참조하여 대상군을 나누고 지질 수치는 NCEP APTIII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담석이 발견된 경우는 148명(3.15%)으로 남자 84명(1.79%), 여자 64명(1.36%)으로 남자에서 더 높았으나 성별 간 유병률은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 유병률은 40대 이하 1.84%, 40대 3.38%, 50대 이상 4.66%로 담석이 없는 집단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3). 또한 담낭 담석으로 판명된 대상자의 신체검사 상 고지혈분류 항목에서 비정상군은 Total-cholesterol 52명으로 가장 많았고, LDL-cholesterol 39명, Triglyceride가 36명, HDL-cholesterol 19명이였다.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연령, 공복혈당, 체질량지수는 담석의 유병률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도 연령, 체질량지수가 담석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선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비록 담석이 대사증후군과의 관계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건강검진 대상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llstone is the most common disease of the biliary system. Korean has experienced an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cholesterol gallstones. The major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olesterol gallstones are age, gender as well as obes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galls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 발표한 복부초음파 검사에서 담석의 유병률과 위험인자15)에서 보다 많은 케이스에서 3년간 건강한 성인에서 건강검진 대상으로 복부 초음파검사를 통해 담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대상자들의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공복혈당, 지질검사 및 기타 여러 생화학적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유병률과의 상관관계 및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석의 유병률이 최근 10년 사이 현격한 증가를 보인 이유는 무엇인가? 4%로 10년 사이에 현격한 증가를 보였다3).이러한 현상은 이는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풍부한 식생활과 아파트 문화 등 생활환경의 서구화 등으로 비만 인구의 증가, 의료진단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다른 연구에서도 3.
담석이란? 담석은 담도계의 가장 흔한 질환1)으로 급성복통, 황달등을 유발하고 합병증으로 담낭염, 담낭암 등을 일으키기도 하며 반복적인 통증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담석증과 관련된 인자로는 인종, 성별, 연령, 사회·경제적 수준, 식이 습관 등이 밝혀져 있다.
담석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는? 담석증과 관련된 인자로는 인종, 성별, 연령, 사회·경제적 수준, 식이 습관 등이 밝혀져 있다. 담석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로는 연령, 성별 및 비만을 들 수 있다2-9). 연령이 증가하면 cholesterol 7a-hydroxylase의 활성이 감소하여 담즙산의 생산이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콜레스테롤의 과포화가 조장될 뿐 아니라, 다른 위험인자에 오랜 기간 노출되기 때문에 담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Yeong-myeong Moon; Status of Koreans in cholelithiasis.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9:1-5, 1987 

  2. Se-jong Kim, Myeong-hee Lee et al: Ultrasoud ex -amination of the incidence of asymptomatic gallstones in health examine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ltrasound in Medicine 7:11-13, 1988 

  3. Jong Kyun Lee, Poong Lyul Rhee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stone in Health Screening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9:85-92, 1997 

  4. The Rome Group for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Cholelithiasis(GREPCO). The epidemiology of gallstone disease in Rome, Italy: part II.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sease. Hepatology 8:907-913, 1998 

  5. Maura KR, Everhart JE, Ezzati TM et al: Prevalence of gallstone disease in Hispanic populationsin the United States Gastroenteroloty 96:487-492, 1989 

  6. Maura KR, Everhart JE, Ezzati TM et al: Prevalence of gallstone disease in Hispanic pop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Gastroenteroloty 96:487-492, 1989 

  7. Seung-uk Hwang: Associated factor of prevalence of asymptomatic gallstone.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2:1596-1602, 2001 

  8. Trotman BW, Soloway RD: Pigment vs cholesterol cholelithiasis: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aspects Am J Dis 20:735-740, 1975 

  9. Sampliner RE, Bennertt PH, Comesss LJ, Rose FA, Burch TA: Gallbladder disease in pima indians: demonstration of high prevalence and early onset by cholecystography. N Eng J Med 283;595-602, 1998 

  10. Hye-won jeong, Keong-su Cheon et al: The prevalence of gallstone Korea.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3:581-591, 1992 

  11. Angelico F, del Ben M. Barbato A, Conti R, Urbinati G: Ten year incidence and natural history of gallstone disease in a rural population of women in central Italy J Gastroenterol Hepatol 29: 249-254, 1997 

  12. Barbara L, Sama C, Morselli Labate AM et al: population study on the prevalence of gallstone disease: The Sirmione Study. Hepatology 7:913-917, 1987 

  13. Berger MY, van der Velden JJ, Lijmer JG, de Kort H, Prins A, Bohnen AM. Abdominal symptoms: do they predict gallstones: a systematic review. Scand J Gastroenterol 35:70, 2000 

  14. Yun-jin Chung, M.D., Young-Dae Park, M.D, et al: Prevalenc and risk factors of gallstoens a general health screened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480-487, 2007 

  15. Mi-hwa Lee, Duck-Moon Kwon: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stones on the abdominal son -ography.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Sonographers Vol.2:51, 2011 

  16. Tao LY, Wu Q et Prevalences of and risk factors for billiary stones and gallbladder polyps in a large Chinese population.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Hepato Pancreato Billiary Association Jun:Vol.14(6), pp.373-81, 2012 

  17. Myeong-hwan Kim, The Pathogenesis and Symptoms of Gallstone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36, 401-407, 1993 

  18. WHO West Pacific Reg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OTF Feb. 2000 

  19. Yong-hyeon Park, Seon-hee Kim, To evaluate Some epidemiological and dinical characteristics of gallstones diseas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35:29-35 1993 

  20.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f the diagnosis and claa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6(Suppl) S5-S20, 1993 

  21.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committee on the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II).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Reducing Risks - Promoting Healthy Life. World Health Report; 2002 

  23. Attili AF, Carulli N, Roda E et al: Epidenmiology of gallstone disease in Italy: prevalence data fo the Multicenter Italian Study on Cholelithiasis(M.I.COL.) Am J Epidemiol 141:158-165, 1995 

  24. Nomura H, Kashiwagi S, Hayashi J et al: Prevalence of gallstone disease in a general population of Okinawa, Japan. Am J Epidemiol 128:598-605, 1988 

  25. Chen CY, Lu CL, Huang YS, Tam TN, Chao Y, Lee SD: Age is one of the risk factors in developing gallstone disease in Taiwan. Age Ageing 27:437-441, 1998 

  26. Yi, Sun Young, Lee, Sung Kyu, et al: Clinical Study on Gallstone Prevalence in General Health Screening Peopl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47:352-358, 1994 

  27. Ho geun Ryu, Yeon Nam, Ho Soon Song, et al: Research on gallstone-related factors.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6:767-776, 1995 

  28. Sama C, Labate AM, Taroni F, Barbara L: Epidemiology an natural history of gallstone disease. Semin Liver Dis 10 149-158, 1990 

  29. Tsunoda K, Shirai Y, Hatakeyama K. Prevalence of cholesterol gallstone positivel correlates with per capita daily calorie intake. Hepatogastroenterology 51:1271-1274, 2004 

  30. Kyung Bal Hur, Sung Won Cho, et al: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Ultrasonic Pattern and the Chemical Analysis of Composition of the Gallstones.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4:119-1127, 1992 

  31. Kameda H. Gallstone disease in Japan: a report of 812 cases. Gastroenterology 46:109-14, 1964 

  32. Daniel S, Ben-Menachem T, Vasudevan G, Ma CK, Blumenkehl M, Prospetive evaluation of unexplained chronic liver transminase abnormalities in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patients. Am J Gastroenterol 94:3010-3014, 1999 

  33. Mathiesen UL, Franen LE, Fryden A, Fobergn U, Bodemar G.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lightly to moderately increased liver transminase values in asymptomatic patients. Scand J Gastroenterol 34:85-91, 1999 

  34. Mendez-Sanchez N, Chavez-Tapia NC, Motola-Kuba D, Sanchez Lara K, Ponciano-Rodriquerz G, Baptista H, Ramos MH, Uribe M, Metabolic syndrome as a risk factor for gallstone disease. World J Gastroenterol 11:1653-1657, 2005 

  35. National Cholesterol Evalu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II).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Circulation 106:3143-342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