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도에 따른 난지형 마늘 출현 모형
A Simple Emergence Model of Southern Type Garlic Based on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6 no.4, 2014년, pp.343 - 348  

문경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최경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손인창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송은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오순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 평균기온을 이용하여 난지형 마늘의 출현시기와 출현율을 일별로 예측하는 동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난지형 마늘은 최적온도인 $12.7^{\circ}C$보다 증가하면서 출현율과 출현속도가 감소하였다. 일 평균기온을 입력하여 난지형 마늘의 일별 출현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베타함수와, 출현속도를 누적하여 마늘 출현율의 변화를 예측하는 비선형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으로 생장상의 실험결과를 잘 설명할 수 있었다. 모형을 재배기간 온도조건이 다른 온도구배터널에 적용해본 결과 온도구배터널 재배 마늘의 출현시기와 출현율을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노지 포장에서는 모형에서는 출현시기가 실제 관측된 것보다 5일 정도 빠를 것으로 예측되어 토양수분 등 온도이외의 다른 요인을 반영할 수 있도록 모형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veloped a simple model to predict emergence time and emergence rate of southern type garlic using the daily mean temperature. Emergence rate of garlic was decreased and emergence time was delayed on higher temperature than optimum temperature of $12.7^{\circ}C$. In the model, first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온도구배터널에서 마늘을 재배하며 출현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도구배터널은 투명한 불소필름으로 피복된 긴 터널 모양의 하우스로 외부와 입구가 폐쇄된 터널 가장 내부 시험구의 온도차가 24시간 일정하게 편차를 유지할 수 있는 시설이다(Fig.
  •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기후변화가 진행되었을 때 기온 상승이 마늘 출현율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난지형 마늘을 대상으로 온도가 마늘의 출현에 대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파종 후 일수에 따른 마늘 출현율을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이 포장조건에서 적용할 수 있을 지를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또 이 함수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출현이 가능한 최저온도, 최고온도에 대하여 사전에 정보가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논문 등을 참고하여 난지형 마늘이 출현이 가능한 최저온도를 4℃, 최고온도를 37℃로 가정하여 최적함수를 구하였다(Hwang and Lee, 1990). 난지형 마늘이 출현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는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을 인편이나 주아를 이용한 영양번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마늘(Allium sativum L.)은 꽃은 피지만 감수분열 시 이상으로 종자가 맺히지 않기 때문에 인편(마늘쪽)이나 주아를 이용한 영양번식을 한다(Kamenetsky et al., 2004).
마늘 인편을 이용한 재배방법에서 마늘 인편을 가을철에 파종하여 발근 후 노지에서 월동을 시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9). 마늘 인편을 가을철에 파종하여 발근 후 노지에서 월동을 시키는데 이는 마늘의 분구와 인편형성에 저온요구도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Bandara et al., 2000).
고온인 20oC 보다 저온인 5oC 또는 15oC에서4~6주 저장한 후 파종했을 때 엽초의 출현이 빨라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반면 고온인 20oC 보다 저온인 5oC 또는 15oC에서4~6주 저장한 후 파종했을 때 엽초의 출현이 빨라졌다. 이는 수확기의 마늘은 이미 휴면 상태에 있고, 마늘 구의 휴면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저온처리나 장기간의 보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수확 직후 휴면 때문에 쉽게 발아하지 않는 현상은, 휴면해제를 위한 휴면 기간이나 적온 범위는 다르지만, 양파나 감자 같은 식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고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다(Mann and Lewis, 19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ndara, M. S., K. Krieger, A. E. Slinkard and K. K. Tanino, 2000: Pre-plant chilling requirements for cloving of spring-planted garlic.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80, 379-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radford, K. J., 2002: Applications of hydrothermal time to quantifying and modeling seed germination and dormancy. Weed Science 50, 248-260. 

  3. Brewster, J. L., 2008: Onions and other vegetable Alliums (2nd ed.). CABI, 85-169. 

  4. Choi, H. S., W. B. Chae, Y. B. Kwack, H. L. Kim and E. Y. Yang, 2009: Effect of Soil Temperature, Seedtime, and Fertilization Rate on the Secondary Growth in the Cultivation of the Big Bulbils of Namdo Garlic (Allium sativum L.).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8, 454-4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ahal, P. and K. J. Bradford, 1994: Hydrothermal time analysis of tomato seed germination at suboptimal temperature and reduced water potential. Seed Science Research 4, 71-80. 

  6. Hwang, J. M. and B. Y. Lee, 1990: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n rooting and sprouting of garlic.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31, 15-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ung, Y., M. Park, I. Jo, Y. Jo, C. Park, D. Noh, 2000: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South Korea. 

  8. Kamenetsky, R., I. L. Shafir, H. Zemah, A. Barzilay and H. Rabinowitch, 2004: Environmental control of garlic growth and florogene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29, 144-151. 

  9. Kim, C. H., K. C. Seong, J. S. Lee, K. H. Kang, Y. C. Um and H. D. Suh, 2009: Production of seed garlic by sawing bulblis of southern type garlic in Jeju Island.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8, 74-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I. J., G. W. Park, C. K. Yun, J. S. Lee, K. -H. Kim, K. S. Ahn, 2013: Effects of The Time Sowing on Growth and Yield of Northern Type Garlic.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5, 260-2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S. W., 2014: Trend of global garlic industry. World agriculture 166, 93-107. (In Korean) 

  12. Kwon, W. T., 2005: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Climate Change Science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1, 325-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W., 1974: Studies on dormancy of Korean local garlic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ence 15, 119-1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Mann, L. K. and D. A. Lewis, 1956: Rest and dormancy in garlis. hilgardia 26, 161-189. 

  15. McMaster, G. S. and W. Wilhelm, 1997: Growing degreedays: one equation, two interpretation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7, 291-300. 

  16. Park, Y. and B. Lee. 1990: The effect of planting date on growth and bulb formation of northern and southern garlic ecotypes in Che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31, 7-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Rowse, H., J. McKee and E. Higgs, 1999: A model of the effects of water stress on seed advancement and germination. New phytologist 143, 273-279. 

  18. Trudgill, D., A. Honek, D. Li and N. Straalen, 2005: Thermal time-concepts and utility. Annals of Applied Biology 146, 1-14. 

  19. Yin, X., M. J. Kropff, G. McLaren and R.M. Visperas, 1995: A nonlinear model for crop development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7,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