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권역단위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주민역량 측정을 위한 설문도구개발
Development of a Survey Table for Measurement Regional Community Capacity on Rural Development Project of Region Unit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0 no.4, 2014년, pp.165 - 182  

리신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민흥기 (한국농어촌공사 옥천영동지사) ,  윤성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정남수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 ,  장우석 (충북농촌활성화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urvey tools for diagnosis of capacity levels in business promotion of rural residents when performing a rural development project of a regional unit. The cases of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select community capacity indicators related to a rural de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주민들에게 존재하는 ‘사회자본’, ‘공동체 의식’, ‘참여의식’, ‘리더십’, ‘갈등’은 농촌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주민들에게 필요한 무형적인 자원이며 농촌지역역량으로 판단하였다.
  • 상향식 농촌지역개발사업은 마을을 중심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사업 특성상 공동체의식에 기초한 일정수준의 주민역량이 요구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권역단위 농촌지역개발사업 추진시 활용하기 위한 주민역량측정 설문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권역단위 농촌지역개발사업과 관련되는 주민역량인 사회자본, 공동체 의식, 참여의식, 리더십과 갈등수준을 측정 할 수 있는 설문도구를 개발하여 지역사회 역량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개발사업 시행과정에서 주민역량 수준을 부문별로 정확히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역량강화사업이 설계 및 시행되면 사업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의 내부적 갈등해소와 아울러 성공적 사업수행, 나아가 농어촌지역사회 주민의 전반적인 역량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개발사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역량 요소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있는데 선행 연구결과를 보면 개별요소 중심으로 연구결과가 이루어졌다(Min,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적 접근과 분석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개발에서 지역역량개념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역량’이란 사전적 의미로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을 뜻한다. 농촌개발에서 지역역량개념은 ‘농촌 지역사회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뜻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역량강화’란 ‘그러한 힘을 축적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특정 농촌개발정책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과 농촌지역사회의 역량을 구분하여 접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따라서 농촌개발에서 지역역량은 참여주체의 주민역량을 포함하여 농촌마을 전체의 지역사회역량을 의미한다. Shaffer and Sumers(1989)는 ‘지역사회의 발전(development of the community)’과 ‘지역사회 내 발전(development in the community)'의 개념을 구분하여 정리하였는데, 두 개념을 구분하여 역량강화의 문제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 내 발전’이라는 입장에서 본다면 개별정책사업의 계획, 실행, 평가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사회의 발전’이라는 입장에서는 전체로서의 지역사회가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이끄는 내적 동력인 사회적 관계를 확충하는 것이 더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특정 농촌개발정책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과 농촌지역사회의 역량을 구분하여 접근 할 필요가 있다(Kim and Kwon, 2009).
역량이란? ‘역량’이란 사전적 의미로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을 뜻한다. 농촌개발에서 지역역량개념은 ‘농촌 지역사회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뜻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askin, R. J., 1999, Defining Community Aapacity : A framework and implications from a 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tive, The Chapin Hall Center for Children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2. Cho, R. H., 2003,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f green tourism project areas on community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in rural Korea, Seou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3. Heo, J., Jung, K. H., 2003, A Research on the Roles and Structure of Rural Village Leadership, Journal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Vol.13 No.1, 51-83. 

  4. Jung, K. H., Sim, J. M., Choi, K. E.,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Rural Development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5. Jung, K. H., Sim, J. M., Choi, K. E., 2006,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rural development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6. Kang, Y. B., 2004, 농촌마을공동체의 역량강화 사례연구,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s, Vol.8 No.4, 5-26. 

  7. Kim, I. H., 2009, The Influence on the rural residents of the partnership and the associated discord caused by Rural Tourism Project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8. Kim, J. S., Kwon, I. H., 2009, Strategies and Measures for Capacity Building in Rural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Vol.17 No.3, 386-419. 

  9. Kim, S. S., Kim, K. J., 1998, A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in Korea, COMMUNITY DEVELOPMENT REVIEW, Vol.23 No.2, 211-232. 

  10. Min, H. K., 2014, Social Networks Analysis of Rural Community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n Rural Development Project of Region Uni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11. Lee, C. B., Jung, N. S., Chang, W. S.,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Survey Table of Rural Residents Satisfaction for the Application of Rural Foru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20 No.2, 45-56. 

  12. Lee, S. C., Heo, J. U., The Building of Social Capital and Traditional Festivals in Fishing Villages: The Case of Village Ceremonie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13. Lee, S. H., Park, J. D., 2009, Participation Decision for Rural Development as a Two-Step Process,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Vol.5 No.2, 77-89. 

  14. Park, B. D., 2003, The development strategics of traditional knowledge as an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in Korea,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Vol.13 No.2, 161-205. 

  15. Park, E. S., Ko, J. S., Cho, Y. S., Hwang, D. Y., 2004, The Trends of Rural Leadership Research,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ol.11 No.2, 321-341. 

  16. Park, E. S., Lee, C. S., Park, D. B., Ko, J. S., 2006,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n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Rural Community Lead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12 No.1, 59-66. 

  17. Park, H. S., 2008, Development of Leader's Competency Model,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18. Park, H. S., Kim, N. J., 2008, Analysis and Development of Leader's Competency Model at Rural Tourism Villag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Vol.23 No.3, 239-256. 

  19. Park, S. H., Song, M. R., Sung, J. I., Kim, H. B., Park, Y. S., Park, B. O., 2000, A systemic Approach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Rural Villag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 Schultz Theodore, 1976, Tranceforming Traditional Agriculture. Aron Press, New York.. 

  21. Shaffer, R., Sumers, G., 1989,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In Community Development in Perspective, Iwoa State University Press.. 

  22. Shin, Y. S., 2012, A Study on Sense of Community for Rural Village Residents - focused on deduction of sense of community index and analysis of formation factor sense of community -, Seou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23. Song, D. B., Kim, N. S., 1991, 농촌지역사회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주민참여모형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연구, Vol 10, 109 -131. 

  24. Song, M. R., Sung, J. I., 2004, Evaluation of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grams and Suggestions for Participatory Village Development Mode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5. Sung, H. J., Jeon, B. K., 2006, A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in Rural Areas, Social Welfare Policy, Vol.27, 149-170. 

  26. Yang, D. S., Kang, K. S., 2008, Resident participation raises local community consciousness, which is vital,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20 No.1, 71-89. 

  27. Yoo, J. W., 2003, 시민참여의 확대방안 : 참여민주주의의 시작에서,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 Inistration, Vol.2003, 237-254. 

  28. Yoo, K. M., 2006, Social Capital and Leadership on the rural tourism community, The Journal of tourism studies, Vol.18, 177-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