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촌 농특산품 전시판매시설 디자인 소비자 의식 분석 및 디자인 개발 - 농촌관광마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Consumers' Awareness of a Rural Specialties Exhibition Shop and the Design Development : Focusing on Rural Tourism Village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0 no.4, 2014년, pp.253 - 262  

진혜련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서지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조록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n association research for design-improvement and model-development of exhibition shops at rural tourism communities, is to secure objective data by analyzing customers' awareness-tendency of and demand for agricultural-specialty exhibition shops. Survey-questions for finding out consumers' 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 Jung et al, 2011).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특성과 농업인과 소비자를 고려한 전시판매시설 디자인 개발을 위해 앞서 연구와 관련하여 농업인 의식을 참고하고 본 연구에서는 농특산품 구매 소비자 중심으로 소비자의 농특산품 구매 성향 및 요구 분석연구를 통해 의식을 파악하여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여 농촌관광 마을 전시판매시설 실용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제성, 전문성, 편리성을 제공하는 전시판매시설 실용화 모델을 제안하여 현재 낙후되어 있는 농촌지역의 전시판매시설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소비자 신뢰 확보 및 농특산품 판매 활성화를 통한 소득향상 효과에 목적을 둔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특성과 농업인과 소비자를 고려한 전시판매시설 디자인 개발을 위해 앞서 연구와 관련하여 농업인 의식을 참고하고 본 연구에서는 농특산품 구매 소비자 중심으로 소비자의 농특산품 구매 성향 및 요구 분석연구를 통해 의식을 파악하여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여 농촌관광 마을 전시판매시설 실용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제성, 전문성, 편리성을 제공하는 전시판매시설 실용화 모델을 제안하여 현재 낙후되어 있는 농촌지역의 전시판매시설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소비자 신뢰 확보 및 농특산품 판매 활성화를 통한 소득향상 효과에 목적을 둔다.
  • 본 연구는 농촌전통테마마을과 녹색농촌체험마을을 기준으로 전화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마을에서 운영하는 전시판매시설 有 / 無를 파악하였다. 연구조사 대상지는 전수 조사 결과를 통해 마을에서 전시판매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장조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소비자 설문이 가능한 마을 30곳을 Table 3과 같이 각 권역별로 6곳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 전시판매시설 디자인 개선 및 모델 개발을 위한 연계성 연구로 농특산품 전시판매 시설의 소비자 의식 성향 및 요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개발을 하여 객관적인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소비자 의식성향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항목을 추출하고 소비자 방문율이 높은 농촌마을 30곳을 선정하여 소비자 200명을 모집하였다.
  • 또한 농촌을 방문한 횟수나 현장직거래를 자주 이용하다보니 농촌에도 체계적인 전시판매시설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의 결과를 중심으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브레인스토밍과정을 거쳐 디자인 컨셉을 설정하고 및 솔루션을 정립하여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전시판매시설 디자인을 통해 어떤 대책이 나왔는가? 또한 농촌을 방문한 횟수나 현장직거래를 자주 이용하다보니 농촌에도 체계적인 전시판매시설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의 결과를 중심으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브레인스토밍과정을 거쳐 디자인 컨셉을 설정하고 및 솔루션을 정립하여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디자인 개발 과정은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전문가 협의를 통해 수정 및 보완 을 거쳐 최종 디자인 개발을 완성하였다. 개발 컨셉은 DIY형으로 방향성을 설정하고 테이블 부스형과 진열장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정립한 솔루션을 토대로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하여 브라운 계열의 톤온톤 배색 테크닉을 적용하고 확장, 이동, 접이식의 방식을 통하여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형태는 판매대 너비를 600, 1200mm으로 2가지 사이즈로 설정하여 높이와 폭을 300, 450, 600mm을 기준으로 형태 조절이 가능하도록 150마다 핀으로 고정하여 가변성을 주어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방안으로 디자인 하였다. 농촌의 전시판매대 디자인은 농업인과 소비자 양측의 이용편리성을 주의해야 하고 각 판매 하는 품목 특성, 지리적 특성 요소를 참고하여 인체척도, 설계치수, 공간지각, 인간행동 등을 체계적으로 설계 하여 디자인 되어야 하며 동시에 소비자의 주관적 관점도 고려하여 적용해야 한다. 또한 농촌에 방문하는 소비자의 연령층을 고려하여 판매되는 품목에 관한 정보와 부수적인 정보들을 POP (Point of Purchase Advertising)와 같은 요소들을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문맥 (context)효과나 학습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농촌을 방문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농촌 농특산품 전시판매시설에 대한 의식과 요구 성향을 정량적인 프로세스르 통해 객관적, 주관적인 의견과 실용화 가능한 디자인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농촌관광마을 농특산품 전시판매시설 디자인 개선 및 모델 개발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주효할 것으로 사료되며 진열장형, 테이블부스형이 외에도 농촌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유형의 전시판매시설디자인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도시와 농촌을 위한 융․복합적인 노력으로 무엇이 변화하는가? 정부에서도 지역권역 사업으로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추진해 오고 있다. 이처럼 융․복합적인 노력에 의해 도시·농촌 간의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소통이 자연스러워짐에 따라 농특산품 현장직거래를 원하는 소비자 구매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농촌관광마을의 전시판매시설은 농어촌 정비법 (Korea Ministry of Goverment Legislation, 2014)시행규칙 제 47조의 농어촌 관광휴양 사업의 규모 및 시설기준에 포함되어 있으며 지역특산물 판매시설로 칭하며 “지역 농수산물이나 특산물의 전시와 판매를 위한 시설로서 「식품위생법 시행규칙」에서 정한 해당 시설의 기준에 적합할 것”의 내용으로 시설기준이 법령으로 마련되어 있다.
전시판매시설의 만족도는 현장 직거래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그 결과 농촌관광마을에 방문하여 체험과 학습프로그램과 동시에 농특산품을 구매하려는 의지가 높으며 농촌 현장의 직거래에 대한 의견이 매우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현장 직거래의 농특산품 구매 만족도, 구매의 즐거움, 서비스 만족도, 재구매 의가 높게 나탔으며 이에 비해 농특산품을 판매하는 전시판매시설의 만족도는 반대로 매우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현장 직접 설문을 진행함으로써 소비자의 의견을 심층적으로 들을 수 있었으며 현대 생활의 스트레스를 풀고 힐링을 경험하기 위해 농촌을 방문하며 신선한 먹거리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고 믿고 신뢰하며 구매할 수 있다는 점과 농촌의 정을 느낄 수 있어서 방문 만족도가 높다고 응답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Yi, H. M., Y. B. Kim, and J. T. Ko, 2013, Analysis of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on Quality Certification Agricultural Product.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25(1), 66-67. 

  2. Jin, H. L., H. S. Chae, and K. H. Kang, L. H. Jo, 2013, Analysis of Design Status by Type at Display Store of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s, Korea Journal of Society of Rural Planning, 19(3), 21-23. 

  3. Kim, H., 2003, An Analysis on Purchasing Behavior for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Food Marketing Association, 20(3), 95-107. 

  4. Baek, S. W. and, S. H. Kim, 2013, Shopping Motiv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Local Food Store.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30(2), 51-52. 

  5. Gouk, S. Y, 2012, Tetralogy of local food and local agri-food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gricultural Outlook 2012(I), 453-456 . 

  6. Kim, J. K., 2010, A Study on Food-related Lifestyles and Food Consciousness of Jeju Island for Establishing Local Food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2), 117-161 

  7. Park, J. E., 2011, A Study on City household of agri-foo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nalysis. Korea Journal of Food Maketing Association, 2011(4), 69-104. 

  8. Jo, N. J., 2001, A Study on Folding Furniture through the Structure of Hinges. Journal of Korea Furniture society, 12(2), 86-87. 

  9. Cho, H. H., 2007, The Pesearch on Visual Presentation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A master's thesis, 27-36. 

  10. Lee, L. J., 2009, A Study on the Visual merchandising for application of Traditional market.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Science, 22(3), 205-206. 

  11. Park M. J. and, S. E. Lee, 2011, The Study on VMD Components and Store Image -Focusing on SPA Brands-, Jo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Culture, 17(3), 278-279. 

  12. Jung., E. J. and, J. H Chun, 2011, Status of VMD Elements of Stores of SPA Brands and User Evaluation. Jo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2(3), 464-465. 

  13. Shin, T. Y., 2007, Understanding of space and ergonomics, Kukje books, 453-456 

  14. www.law.go.kr(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