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외선 체온의 진단 정확도 평가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Reliability and Accuracy of Infrared Temperature: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6, 2014년, pp.668 - 680  

박성희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infrared temperature measurements compared to axillary temperature in order to detect fever in patients. Methods: Studies published between 1946 and 2012 from periodicals indexed in Ovid Medline, Embase, CINAHL, Cochrane, KoreaMed, 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 정확도를 보고한 문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를 규명하기 위해 21편의 진단법 평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총 3,623명(3,954회 측정)의 연구대상자의 체온측정 방법을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한 후 메타분석을 통해 간호진단법으로서 적외선 체온의 진단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진단법 평가는 민감도, 특이도 등의 진단지표에 대한 수학적 절대기준이 존재하지만 현실적으로 체온 측정은 나이, 심박동, 대기온도, 운동이나 측정 부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3,7].
  • 진단법 평가는 민감도, 특이도 등의 진단지표에 대한 수학적 절대기준이 존재하지만 현실적으로 체온 측정은 나이, 심박동, 대기온도, 운동이나 측정 부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3,7]. 본 연구에서는 그간 체온측정에서 황금기준으로 여겨왔던 직장 체온을 참조표준기준으로 하고[7], 아동이나 성인에서 모두 사용가능하며 대기온도에 영향을 받는 적외선 고막 체온과 가장 유사한 조건에서 비교할 수 있는 액와 체온과의 비교 관점에서 적외선 체온측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는 중심 체온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운 현실적 한계와 참조표준기준에 따라 참값이 달라지는 판별의 문제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었다.
  • 최근 수은 체온계의 사용이 제한되면서 사용이 편리한 고막 체온이 임상실무에서 기본적인 체온측정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바 체온측정의 신뢰도 확보가 간호의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편의 진단법 평가연구결과에 근거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적외선 고막체온의 진단 정확도를 규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만, 응급실이나 고체온증의 경우 적외선 고막체온이 갖는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으로 발열상태를 재측정하여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요구된다.
  • 따라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 정확도를 확인하는 일은 중요한 간호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단법 평가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발열여부를 감별하는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 정확도에 대해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간호진단도구로서 그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온은 왜 중요한가? 체온은 인간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활력징후의 가장 대표적인 척도로, 질병의 유무와 진행정도를 반영하는 민감하고 신뢰할 만한 지표이며, 체온 측정과 발열 관리는 업무 비중이 큰 중요한 간호활동 중 하나이다[1]. 정확하게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상하부에 위치한 온도조절중추의 변화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중심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폐동맥, 식도, 방광 등을 이용한 중심 체온 측정은 특수 장치나 전문적 측정기술이 요구되고 침습적인 위험성 때문에 그간 임상에서는 수은(mercury-in-glass) 체온계를 이용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직장, 구강 및 액와 부위에서 말단 체온을 측정하여 왔다[2].
전통적인 체온 측정방법의 문제점은?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체온 측정방법에도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직장은 가장 신뢰성 있는 측정 부위로 간주되지만 대상자에게 불쾌감을 주며, 구강체온은 무의식이나 불안정한 환자 및 영유아에게는 안전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또한 액와 체온은 측정 부위의 접근이 용이하고 안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외부환경조건과 신체활동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체온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진다[3].
체온 측정 방법은? 체온은 인간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활력징후의 가장 대표적인 척도로, 질병의 유무와 진행정도를 반영하는 민감하고 신뢰할 만한 지표이며, 체온 측정과 발열 관리는 업무 비중이 큰 중요한 간호활동 중 하나이다[1]. 정확하게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상하부에 위치한 온도조절중추의 변화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중심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폐동맥, 식도, 방광 등을 이용한 중심 체온 측정은 특수 장치나 전문적 측정기술이 요구되고 침습적인 위험성 때문에 그간 임상에서는 수은(mercury-in-glass) 체온계를 이용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직장, 구강 및 액와 부위에서 말단 체온을 측정하여 왔다[2].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체온 측정방법에도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oran JL, Peter JV, Solomon PJ, Grealy B, Smith T, Ashforth W, et al. Tympanic measurements: are they reliable in the critically ill? A clinical study of measures of agreement. Critical Care Medicine. 2007;35(1):155-64. 

  2. Liu CC, Chang RE, Chang WE. Limitations of forehead infrared body temperature detection for fever screening for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04;25(12):1109-11. 

  3. Lee TJ, Kim DS. Fever.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7;50: 121-6. 

  4. Childs C, Harrison R, Hodkinson C. Tympanic membrane temperature as a measure of core temperature.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1999;80(3):262-6. http://dx.doi.org/10.1136/adc.80.3.262 

  5. Park CW, Park, SN. Development of standard and improvement of reliability in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07;24(9): 32-6. 

  6. Androkites AL, Werger AM, Young ML. Comparison of axillary and infrared tympanic membrane thermometry in a pediatric oncology outpatient setting.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1998;15:216-22. 

  7. Yun KW, Lim IS. A study for accuracy and usefulness of tympanic membrane and forehead thermometer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5;48(8):820-5. 

  8. Ministry of Food and Drugs Safety. Medical device regulations revision No. 2014-142.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s Safety; 2014. [cited 2014 August 11].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x30&searchkeytitle:contents&mid686&searchword&division&y12&pageNo6& seq8211&cmdv 

  9. Macaskill P, Gatsonis C, Deeks J, Harbord R, Takwoingi T.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diagnostic test accuracy version 1.0. [Internet].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0 [cited 2013 May 30]. Available from: http://www.cochrane-handbook.org 

  10.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Antes G, Atkins D, et al.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9;151(4):264-9. http://dx.doi.org/10.7326/0003-4819-151-4-200908180-00135 

  11. Whitting PF, Rutjes AW, Westwood ME, Mallett S, Deeks JJ, Reitsma JB, et al. QUADAS-2: a revised tool for the quality assessment of diagnostic accuracy studie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1;155(8):529-36. http://dx.doi.org/10.7326/0003-4819-155-8-201110180-00009 

  12. Greiner M, Pfeiffer D, Smith RD.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2000;45(1-2): 23-41. http://dx.doi.org/10.1016/S0167-5877(00)00115-X 

  13. Walter SD. Properties of the summar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SROC) curve for diagnostic test data. Statistics in Medicine. 2002;21(9):1237-56. 

  14. Higgins JP, Thompson SG. Quantifying heterogeneity in a meta-analysis. Statistics in Medicine. 2002;21(11):1539-58. http://dx.doi.org/10.1002/sim.1186 

  15. Fischer JE, Bachmann LM, Jaeschke R. A readers' guide to the interpretation of diagnostic test properties: clinical example of sepsis. Intensive Care Medicine. 2003;29(7):1043-51. 

  16. Zweig MH, Campbell G.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plots: a fundamental evaluation tool in clinical medicine. Clinical Chemistry. 1993;39(4):561-77. 

  17. Wells N, King J, Hedstrom C, Youngkins J. Does tympanic temperature measure up?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1995;20:95-100. 

  18. Edelu BO, Ojinnaka NC, Ikefuna AN. Fever detection in under 5 children in a tertiary health facility using the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 in the oral mode. Italian Journal of Pediatrics. 2011;37:8. http://dx.doi.org/10.1186/1824-7288-37-8 

  19. Dzarr AA, Kamal M, Baba AA. A comparison between infrared tympanic thermometry, oral and axilla with rectal thermometry in neutropenic adult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9;13(4):250-4. http://dx.doi.org/10.1016/j.ejon.2009.03.006 

  20. Smitz S, Van de Winckel A, Smitz MF. Reliability of infrared ear thermometry in the prediction of rectal temperature in older inpati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3):451-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565.x 

  21. Duberg T, Lundholm C, Holmberg H. Ear thermometer not an adequate alternative to rectal thermometer. Lakartidningen. 2007;104(19):1479-82. 

  22. Nordas TG, Leiren S, Hansen KS. Can ear temperature measurement be used in a hospital? Tidsskr Nor Laegeforen. 2005; 125(20):2763-5. 

  23. Jean-Mary MB, Dicanzio J, Shaw J, Bernstein HH. Limited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nfrared axillary and aural thermometers in a pediatric outpatient population. Journal of Pediatrics. 2002;141(5):671-6. 

  24. Varney SM, Manthey DE, Culpepper VE, Creedon JFJ. A comparison of oral, tympanic, and rectal temperature measurement in the elderly.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02;22(2):153-7. http://dx.doi.org/10.1016/S0736-4679(01)00457-7 

  25. Greenes DS, Fleisher GR. Accuracy of a noninvasive temporal artery thermometer for use in infa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2001;155(3):376-81. 

  26. Smitz S, Giagoultsis T, Dewe W, Albert A. Comparison of rectal and infrared ear temperatures in older hospital inpatient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2000;48(1):63-6. 

  27. Valle PC, Kildahl-Andersen O, Steinvoll K. A comparative study of infrared tympanic thermometry and rectal mercury thermometry. Scandinav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1999;31(1):105-6. 

  28. Lanham DM, Walker B, Klocke E, Jennings M. Accuracy of tympanic temperature readings in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Pediatric Nursing. 1999;25(1):39-42. 

  29. Wilshaw R, Beckstrand R, Waid D, Schaalje GB. A comparison of the use of tympanic, axillary and rectal thermometers in infant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999;14(2):88-93. 

  30. Sohng KY, Kang SS, Hwang JS, Kim MJ. Accuracy of temperature measurements, nursing time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the validity of fever dete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Korean Fundamentals of Nursing. 1998;5(1):33-45. 

  31. Brennan DF. Falk JL, Rothrock, SG. Kerr RB. Reliability of infrared T thermometry in the detection of R fever in children.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1995;25(1):21-30. http://dx.doi.org/10.1016/S0196-0644(95)70350-0 

  32. Christensen PM, Christensen VB, Matzen LE. Evaluation of ear temperature measurements in a geriatric department. Ugeskr Laeger. 1998;160(36):5175-7. 

  33. Hwang JS, Sohng KY. Comparison of rectal temperature with axillary and tympanic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Korean Fundamentals of Nursing. 1997;4(2):351-8. 

  34. Petersen MH, Hauge HN, Petersen MH, Hauge HN. Can training improve the results with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s?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1997;41(8):1066-70. 

  35. Lee WH, Jung SP. The validity of the tympanic membrane thermometer in detecting fever of the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5;16(8):531-6. 

  36. Yaron M, Lowenstein SR, Koziol-McLain J. Measuring the accuracy of the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 correlation does not signify agreement.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995;13(5):617-21. 

  37. Selfridge J, Shea SS. The accuracy of the T membrane thermometer in detecting fever in infants aged 3 months and younger in the emergency department sett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1993;19(2):127-30. 

  38. Chamberlain JM, Grandner J, Rubinoff JL, Klein BL, Waisman Y, Huey M, et al. Comparison of a tympanic thermometer to rectal and oral thermometers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Clinical Pediatrics. 1991;30(4 suppl):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