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 분석
An Analysis of Open Source GIS Software Ecosystem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2 no.6, 2014년, pp.67 - 79  

강영옥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강애띠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권회윤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도입 및 활용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 활성화정도를 확인하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주요 역할자는 정부, 기업, 학계 및 연구계, 비영리재단 등이다. 정부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에 대한 R&D 투자나 지원에 대한 정책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기업은 그 숫적인 측면에서도 작을 뿐만 아니라 수익을 창출하는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지 않았다. 학계 및 연구계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의 활용이 매우 낮으며, 이는 생태계 내에 핵심인력을 제공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영리재단은 2009년 설립된 OSGeo 한국어지부가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나 활성화 측면에서는 아직 미약한 수준이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참여하는 각 주체별 노력이 필요하다. 그 가운데에서도 정부는 이 생태계의 활성화에 가장 큰 시발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에서 추진되어야 할 과제와 관련하여 첫째,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에 대한 R&D투자 둘째, 공공부문에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시범구축사업, 셋째, 관련 인력양성, 넷째,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국제협력, 홍보마케팅과 관련된 노력 등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se days open source softwares are being introduced and applied in many countries in the world. Especially, both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tend to become an spearhead in vitalizing the open source software. In this paper we try to check the degree of vitalizations in open source GIS softw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 활성화 정도를 진단해보기 위해 Schweik[32]이제안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 관점을 적용하고자 한다. Schweik이 기술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모델은 참여기관 및 그 기관이 왜 참여하는지에 대한 동기를 설명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본 연구는 그에 기반을 두어 참여 동기와 역할을 규명하고, 그 기준에 맞춰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현주소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각 기업들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정리했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을 국내 관련 기업의 사업 분야와 매칭시켜 보았다. 관련기업은 대부분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스템 통합(SI)을 수행하는 유지보수 모델 관련 비즈니스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그리고 각 구성원 혹은 참여자가 활발히 활동하는지가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 활성화 정도를 진단해보기 위해 Schweik[32]이제안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 관점을 적용하고자 한다. Schweik이 기술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모델은 참여기관 및 그 기관이 왜 참여하는지에 대한 동기를 설명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본 연구는 그에 기반을 두어 참여 동기와 역할을 규명하고, 그 기준에 맞춰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현주소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주요 역할자는 정부,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 학계 및 연구계, 비영리재단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우리나라의 경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빠른 성장과 다양한 가능성이 인지되면서, 국가차원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활성화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 및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공간정보 분야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부지원이나 정책, 관련 비즈니스 모델, 학계의 활용, 관련 기술 인력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의 생태계 관점에서 활성화정도를 확인하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보는 관점은 앞선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생태계의 참여자를 규정하고, 해당 참여자들이 왜 참여하게 되는지, 그 들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설 설정

  • 이와 함께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활용가이드라인,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로의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라인, 활용 지원 센터 등을 통해 홍보 및 안정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 셋째, 인력양성에 관한 것이다. 물론 인력양성의 핵심은 대학교와 대학원, 중고등학교가 해야 할 몫이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란 무엇인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는 사용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하지만[9,14],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저작권자가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를 공개 하여, 누구나 해당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에 따라 특별한 제한 없이 소프트웨어와 소스 코드를 사용・복제・배포・수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라 할 수 있다[6].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대비되는 개념을 ‘상업용 소프트웨어’라고 보는 경우가 많으나 ‘독점 소프트웨어’또는 ‘폐쇄소스 소프트웨어’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적정하다[9].
생태계 내에서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가 활성화 되어있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2가지 측면은 무엇인가? 생태계 내에서 이 분야가 활성화되어 있는가는 2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국내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시장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인가 하는 것과 둘째는 오픈 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의 수와 그들의 비즈니스 모델이 얼마나 잘 발달해 있는가이다. 국토교통부는 2012년 공간정보산업의 체계적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공간정보산업조사를 실시하고 2013년에 그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17].
상업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란 무엇인가? 이러한 커뮤니티 기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이 ‘핵심소프트웨어’개발에 집중하고, 최종 사용자의 필요와 이용성에 소홀하여 수익창출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상업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상업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란 영리 목적을 가진 회사나 기관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저작권을 보유하고,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향과 개발자체를 주도하는 방식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상업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완비제품’을 개발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2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I. 2005, Economic Effects of Government's Supports for Open Source Software,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16(3):51-76. 

  2. Altehage, O; Boge, K; Kreyss, J. 2013, Legal aspects of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in procurement: the example of the City of Munich, Legal aspects of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Workshop 2013, 89-100. 

  3. Androutsellis-Theotokis, S. 2014, Open source software, Hantee Media. 

  4.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0, Government Open Source Policies. 

  5. Chand, J. 2009,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s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6. Choi, B. N; Shin, S. H; Nam, K. W. 2011, Strategies on Building the Platform for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Based on Open Source Thinking, KRIHS. 

  7. Franch Gutierrez, J; Susi, A; Annosi, M. C; Ayala Martinez, C. P; Glott, R; Gross, D; Thomas, C. 2013, Managing risk in open source software adoption. 

  8. Ghosh, R. 2013, Legal aspects of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in procurement: guidelines developed at the EU level, Legal aspects of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Workshop 2013, 50-67. 

  9. Jaeger, T; Metzger, A. 2002, Open-source-Software: Beck. 

  10. Jang, S. K; Park, B. S; Seo, J. K. 2005, Business model and value creating process of Open source S/W,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6(1):48-53. 

  11. Kang, Y, O. 2013, Analysis of demand on GIS software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Level, Unpublished. 

  12. Kilamo, T; Hammouda, I; Mikkonen, T; Aaltonen, T. 2012, From proprietary to open source-Growing an open source ecosystem,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85(7):1467-1478. 

  13.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2013, Preliminary Research on Development of Open Source GIS Processing Technique. 

  14. Krishnamurthy, S. 2005, An analysis of open source business models, Perspectives on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279-296. 

  15. Kuehnel, A. K. 2008, Microsoft, Open Source and the software ecosystem: of predators and prey-the leopard can change its spots.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Law, 17(2):107-124. 

  16. Laurent, P. 2013, Legal aspects of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in procurement: national case studies, Legal aspects of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Workshop 2013, 68-88.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Report on GIS industry in 2013. 

  18. Nakakoji, K; Yamamoto, Y; Nishinaka, Y; Kishida, K; Ye, Y. 2002, Evolution pattern of open-source software systems and communities. In: IWPSE '02: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Principles of Software Evolution 2002. ACM Press, 76-85. 

  19.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06, Research on Foreign Policies for Open Source Software and Application Examples. 

  20.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09, Report of Trends in Foreign Open Source Software Policies. 

  21.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11, Software Industry Analysis Report. 

  22.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Agency. 2012, Software Industry Analysis Report. 

  23. Noda, T; Tansho, T; Coughlan, S. 2012, The Effect of Open Source Licensing on the Evolution of Business Strategy Open Source Systems: Long-Term Sustainability, Springer. 

  24. Onetti, A; Capobianco, F. 2005, Open source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the funambol case.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en source Systems. 

  25. Open Source software usage by European Public Administrations. 2012, Good Practice Guide covering various aspects of FOSS usage by European Public Administrations. 

  26. Ramsey, P. 2007, The state of open source GIS, Refractions Research Inc. 

  27. Red Hat, 2009, Open Source Index Rank 

  28. Riehle, D. 2007, The economic motivation of open source software: Stakeholder perspectives. Computer, 40(4):25-32. 

  29. Riehle, D. 2012, The single-vendor commercial open course business model, Information Systems and e-Business Management, 10(1):5-17. 

  30. Sanz-Salinas, J; Montesinos-Lajara, M. 2009, Current panorama of the FOSS4G ecosystem, Upgrade, 10(2):43-51. 

  31. Schmidt, K. M; Schnitzer, M. 2003, Public Subsidies for Open Source? Some Economic Policy Issues of the Software Market, CEPR Discussion Paper No. 3793. 

  32. Schweik, C. M. 2009, The Open Source Software Ecosystem. 

  33. Steiniger, S; Bocher, E. 2009, An overview on current free and open source desktop GIS developments, IJGIS, 23(10):1345-1370. 

  34. Tsou, M. H; Smith, J. 2011,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r GIS education, Unpublished White Paper Prepared for the GeoTech Center 

  35. Watson, R. T; Boudreau, M.C; York, P. T; Greiner, M. E; Wynn Jr, D. 2008, The business of open source, Communications of the ACM, 51(4):41-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