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업종별 점포의 공간분포가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The Influence Factors Analysis of The Street Revaitalization by Spatial Distribution of Small Retail Businesses' Classification in Seoul City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2 no.6, 2014년, pp.81 - 90  

원유호 (Graduated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 ,  최창규 (Graduated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 ,  이주형 (Graduated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주요요인으로 도출되었던 가로의 물리적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요인을 기반으로 가로차원의 변수가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또한 Jacobs(1961)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던 업종의 다양성과 Ray Oldenburg(1989), Richard MacCormac(1983)이 주장했던 특정 공간이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로활성화 영향요인 모형을 업종별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Jacobs(1961)가 주장했던 기본적인 가로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요인은 주중과 주말의 모형에서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Ray Oldenburg(1989), Richard MacCormac(1983)이 주장했던 주요 업종은 주중과 주말에 따라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도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n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 of street based on the walking enhancement factors and the street revitalization. In detail, walking enhancement factors include a physical environment, accessibility and a density which wa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좋은 공간으로 제시된 점포 및 시설에 대한 요인을 변수로 구축하여 어떠한 업종이 가로 활성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주말, 주중으로 유형을 구분하여 시간대에 따라 어떠한 특정 점포가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를 통해 16개의 업종별로 음식업 및 주점업을 구분한 것을 각 개별 지표로 하여 종합적 모형을 도출해 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각 변수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가로활성화에 있어 어떠한 업종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다음으로 주말의 ‘음식업 및 주점업의 세부 업종별 변수’가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가로의 물리적 환경, 밀도, 접근성, 다양성 등 기존 연구[5,11,13,19,21,24]에서 도출되었던 변수를 고려하여 이러한 요인이 가로 활성화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좋은 공간으로 제시된 점포 및 시설에 대한 요인을 변수로 구축하여 어떠한 업종이 가로 활성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가로 활성화를 대변할 수 있는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회귀분석 중 Enter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각 변수들 중 최적 모형을 도출하기보다 어떠한 변수가 유의하고 유의하지 않음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또한 주중과 주말으로 가로활성화 영향요인 모형을 유형 구분하여 평일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주말에 미치는 영향요인 변수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가로의 물리적 환경, 밀도, 접근성, 다양성 등 기존 연구[5,11,13,19,21,24]에서 도출되었던 변수를 고려하여 이러한 요인이 가로 활성화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좋은 공간으로 제시된 점포 및 시설에 대한 요인을 변수로 구축하여 어떠한 업종이 가로 활성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주말, 주중으로 유형을 구분하여 시간대에 따라 어떠한 특정 점포가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로의 물리적 환경, 밀도, 접근성, 다양성 등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고려되었던 지표를 도시 차원 뿐 아니라 가로차원에서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Jacobs[6], Ray Oldenburg[17]과 Richard MacComac[18] 이 주장한 점포 및 시설이 가로활성화와 연관이 있음을 분석하고자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중요하게 도출되었던 기본적인 가로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 요인을 기본으로, Jacobs(1961)와 리처드 맥코맥(1983)이 주장했던 업종별 점포의 공간분포가 가로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적 모형을 통해 실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가로 활성화를 대변할 수 있는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회귀분석 중 Enter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각 변수들 중 최적 모형을 도출하기보다 어떠한 변수가 유의하고 유의하지 않음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또한 주중과 주말으로 가로활성화 영향요인 모형을 유형 구분하여 평일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주말에 미치는 영향요인 변수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점포의 업종별 밀도가 보행량과 상호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모형(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고자 한다.
  • 이를 실증하기 위해 인구 1000만의 대도시 서울을 범위로 한정하고자 하며, 상대적으로 서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서울시 전역에 골고루 퍼져 있는 업종별 점포의 공간분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Oldenburg[17]과 MacCormac[18]의 연구에 착안하여 가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정도가 높은 업종 중 음식점, 카페, 바, 선술집 등으로 업종 범위를 제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사상가 Jacobs는 도시가 언제 더욱 활력을 나타낸다고 하였는가? 현대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던 도시 사상가 Jacobs[6]는 그녀의 저서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에서 가로의 물리적 다양성이 풍부할 때 도시가 더욱 활력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또한, 그녀는 이러한 도시의 활력을 위해서는 다양한 사람들의 활동과 목적에 의해 이용되는 가로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어떤 업종이 가로활성화를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가? 그 중 ‘비알콜점’, ‘그외 기타음식점업’, ‘‘분식 및 김밥’, ‘과자, 햄버거 및 샌드위치’, ‘제과점’ 등의 일부 업종은 가로활성화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도출되었다.
특정 업종을 통한 가로의 활성화에 대한 가설은 어떤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 실증하고자 하는 특정 업종을 통한 가로활성화에 대한 가설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도시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특정 업종을 중심으로 점포가 군집을 이루거나 다양한 업종이 존재하면 유동인구(보행량)를 유입시킨다. 이러한 상호적 작용이 지속되어 가로활성화가 되면, 지역의 고유 분위기와 장소성을 만들고 도시를 활력 있는 공간으로 재생시킨다. 다음으로 경제적 관점에서 본다면, 가로가 활성화 되면 자연스레 도시민의 소비가 일어나고 소상공인이 경제활동을 하는 공간이 창출된다. 또한 관련업체가 발생하여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등 도시의 경제적 집적효과를 유발시킨다. 이상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면 점포의 입지 및 공간적 분포는 도시 및 가로의 활성화 상호적인 영향관계를 가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Azzawi, M; Raeside, R. 2007, Modeling Pedestrian Walking Speeds on Sidewalks,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33(3): 211-219. 

  2. Brown, B. B; Yamada, I; Smith, K. R., Zick; C. D., Kowaleski-jones, L; Fan, J. X. 2009. Mixed land use and walkability: Variations in land use measures and relationships with BMI, overweight, and obesity, Health & Place, 15(4):1130-1141. 

  3. Choi, G. L. 2008, Study on Improvements in Pedestrian Environment of Urban Commercial Streets, The Journal of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24(12):237-248. 

  4. Choi, M. J; Shin. S. M. 2001.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Pedestrian Volume on Retail Sale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6(2):75-86 

  5. Gum, G. J; Lee, G. S; Chea, B. M; Lee, G. S 2010, A Study of Walkway Level of service reckon with Pedestrian Characteristic on Complex-transit center,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28(5):7-15. 

  6. Jacobs, J. 1961, 1992,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Vintage. 

  7. Jung. E. U. 2002. Vitalization Factors and Design Guidelines for Commercial Streets; by the application of Vitalization Factors and Existing Commercial Streets to the Design Guidelines of new Commercial Area, Graduated school of Jungang University, master's degree. 

  8. Jung. S. 2007, Improving Sidewalk Design Standard in Seoul; Learning From the Foreign Standards, The Journal of Seoul Institute, 8(4):139-153. 

  9. Jho, B. S; Yoon, H. J. 2003, An Analysis of the Pedestrian's Cognitive Characteristics by the Pedestrian Environment Pattern in the Downtown Commercial Area, The Journal of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17:97-104. 

  10. Kang, H. B; Kim, G. J; Kim, G. H. 2009, Public Place-Urban Space;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DEAGA publishing company. 

  11. Kim, J. H; Lee, M. H. 2008, A Study on Streetscape Evaluation Considering the Perception and Cognition Characteristics Structure - Focused on the Commercial Street around Konkuk University,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63:21-36. 

  12. Kim, T. H; Go, J. S. 2012, Store density by the population and pedestrian volume; the case of Food and beverage service activities in Seoul, the Conference of Korea real estate academy. 

  13. Lee, M. H; Ahan, G. H. 2007,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Walking of Residents,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59:105-118. 

  14. McConville, M. E; Rodriguez, D. A; Clifton, K; Cho, G; Fleischhacker, S. 2011, Disaggregate land uses and walking, Am J Prev Med, 40(1):25-32. 

  15. Muraleetharan, T; Hagiwara, T; Adachi, T; Kagaya, S. 2005, Method to determine pedestrian level-ofserice for crosswalks at urban intersection, Journal of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6:127-136. 

  16. Park, J. A. 2010, A Study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Using GIS: Focused on Jeongbalsan Station and Juyeop Station Areas in Ilsan, Graduated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degree. 

  17. Oldenburg, R. 1989, The Great Good Place, Marlowe & Company. 

  18. MacCormac, R. 1983, Urban reform: MacCormac's manifesto, Architecs Journal, 59-72. 

  19. Saelens, B. E; Handy, S. L. 2008, Built environment correlates of walking: A review, NIH, 40:550-566. 

  20. Seo, J. H; Lee, M. H; Jun, B. H. 2008, A Study on the Pedestria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ation Area,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43(2):35-45. 

  21. Sung, H. G. 2011,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Green Transportation Cit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2. Shin, W. J; Shin, W, H. 2009, Spatial Patterns of Retail Stores in Seoul, Korea, Journal of KRERI, 19(2):279-296. 

  23. TAN, D; WANG, W; LU, J; BIAN Y. 2007, Research on methods of assessing pedestrian level of service for sidewalks, Journal of Transportation Systems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24. Yoon, N. Y; Choi, C. G. 2013,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Pedestrian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mmercial Streets in Seoul,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99:135-150. 

  25. Won, Y. h; Choi, C. G. 2013, Analyzing the relevance between density of small retail businesses' classification and volume of pedestrian in Seoul, Conference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