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특성을 고려한 환경보전계획수립을 위한 시민환경의식 분석
Analysis fo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Conservation Planning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 -The Case of Daegu City-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12, 2014년, pp.2071 - 2082  

류지원 (대구녹색환경지원센터) ,  정응호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Daegu citizen on conservation planning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out a survey and 1400 people were selected using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based on populations of Daegu administration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대상으로 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해 중요한 정책적 역할을 하는 환경보전계획을 시민이 공감하고 보다 현장 실현성이 높은 방향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별 특성에 따라 시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환경의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절에서는 대구시의 구군 지역별 시민들이 각기 지역별로 느끼는 부문별 환경오염실태에 대한 조사결과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와 아울러 향후 대구시 환경정책의 활성과 발전을 위해 시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가장 심각한 환경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Table8에서 보는바와 같이 대구시 전체 구군에서는 쓰레기 문제(367명, 27.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사례로 지역특성을 고려한 환경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시민환경의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시민환경조사분석을 통해 일반 통계자료에서 제시되는 수치상의 환경실태보다는 시민이 생활현장에서 느끼는 체험형 환경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며, 아울러 시민의 환경보전에 대한 참여의사 등을 분석하여 보다 현장감 있고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환경정책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는 각 지역별로 거주 하는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고 체험하게 되는 환경 상황에 대한 판단여건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아울러 보다 실현성 있는 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시민환경 의식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이라하겠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사례로 지역특성을 고려한 환경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시민환경의식을 조사·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구에서는 지역 내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는 공업지역이 없으며, 배출업소수(배출량포함)도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를 보이고 있음에도 환경상황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먼저 남구에서는 지역 내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는 공업지역이 없으며, 배출업소수(배출량포함)도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를 보이고 있음에도 환경상황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남구가 타 지역에 비해 높은 인구밀도와 고밀주거형태 및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녹지지역을 가지고 있는 등과 같은 다소 불리한 공간적 환경요소가 남구 시민들의 환경상황 인식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가장 낮은 인식도를 보여준 달성군의 경우에는 앞의 Table 1과 Table2, Table3에서 보는바와 같은 객관적 자료의 비교를 근거로 해볼 때 매우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지역특성을 고려한 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즉, 지방자치단체 환경보전계획은 지역 마다 지니고 있는 환경문제의 특성과 과제를 반영하여 계획을 수립하여야 당해지역의 미래지향적 환경정책의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고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종합적 환경관리를 위한 기본계획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7). 지역특성을 고려한 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자연·생활환경 및 환경오염·훼손의 실태와 요인 등에 대한 자료조사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자료조사에는 통계자료 (환경정보망자료 포함)수집, 현지조사 등이 동원되지만 보다 신뢰성 있는 지역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편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시민환경의식조사가 필요하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환경의식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환경의식이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환경 문제에 대한인지와 인지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천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나아가 시민이 느끼는 환경 정책에 대한 평가와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는 실천의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Jo와 Kim, 2003). 국내에서의 환경 의식에 대한 연구는 시민 또는 학생들의 환경의식수준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Ministry of Environment, 2008)와 환경보전행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생태관광 및 환경교육의 효과(Baek 2005; Yang 등, 2006)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지역환경 특성 및 거주유형에 따른 환경 의식분석(Hoe, 2008; Kim과 Jang, 2011), 지역환경문제, 환경개선사업 및 도심재생에 대한 주민의식조사(Jeal 등, 2004; Kim과 Kim, 2005; Jung 등, 2007; Kim, 2010)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m, S. Y., 2010,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for construct Eco-Campus, Master's degree,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2. Kim, J. K., Kim, H. S., 2005, A Survey of Resident Consciousness on the Environmental Problem in Local Industry Complex, Korean Society of Regional Development, 5(1),187-203. 

  3. Kim, H. S., Jang, M, H., 2011, Residents' Perception on Living Environment i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4), 113-120. 

  4. Baek, N. H., 2005, Studies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Practice, and Present Status after Completing the Regular Education about Environment, Master's degree, Kyung Hee University. 

  5. Yang, I. S., Choi, K. H., Lee. S. D., 2006, A study on the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Nautural Environmental Awareness among the Company Employees of Metropolitan Seoul,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ment, 15(3), 217-225. 

  6. Jung, Y. D., Kim, Y. H., Jo, Y. J., 2007,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of Downtown Areas at Regional Small &Medium Cities - Case Study for Urban Regeneration of Naju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6), 125-132. 

  7. Jegal, D., I, H. B., Kim, H. H., Son, H. Y., 2004, Resident Consciousness about 81 City Unit Local Environmental Evaluation and Environmental Reform, Korea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Society, 13(4), 157-189. 

  8. Jo, Y. A., Kim, K. H., 2003,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 Korea, Resource and Environmental Economic Research, 12(1), 177-205. 

  9. Choi, Y. H., Choi, G, S., 2002, The Research on Recognition to Environmental Policy,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4(1), 145-158. 

  10. Heo, J. Y., 2008, A Study of the Public'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 Seoul, Master's degre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Guideline for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in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Local Environmental Planning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local autonomous entity Environmental Preservation planning Guideline, Korea.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A Survey of Citizen's Consciousness o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14. Dunlap and Jones, 1992, Environmental Concern: Conceptual and Measurement Issue, in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482-524. 

  15. Dunlap, Kent D. Van Liere, Angela G. Mertig, and Robert Emmet Jones, 2000, Measuring Endorsement of the New Ecological Paradigm: A Revised NEPS cale, Journal of Social Issues, 56(3), 425-42. 

  16. International Council for Local Environmental Initiatives, 2000 The Local Agenda 21 Planning Guide: An Intoduc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Planning, Canada Ottawa: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