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반의 도시지역 침수 취약성 평가 - 창원시를 대상으로 -
Assessment of Flooding Vulnerability Based on GIS in Urban Area - Focused on Changwon City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4, 2014년, pp.129 - 143  

송봉근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  이택순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도시 침수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GIS 분석을 활용하여 침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요인은 물순환 면적률과 표면 유출특성, 강우량 분포이며,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가요인에 대한 정보 구축과 침수 취약성 평가를 분석하였다. 물순환 면적률과 표면 유출특성은 도시지역에서 취약하였다. 강우량 분포는 북쪽의 농촌지역에서 많았다. 침수 취약성 평가 결과 북쪽의 농업지역과 산림지역에서 낮았다. 반대로 도시지역은 불투수 재질로 포장되어 있어 취약성이 높았다. Hotspot 공간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침수 취약지역의 밀집도를 분석한 결과는 도시지역에서 매우 높은 밀집도를 보였다. 그리고 이들 지역은 대부분 하천의 하류에 위치해 있어 실제 침수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침수 취약성 평가는 도시 및 환경계획 차원에서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투수성 포장재질의 조성과 빗물관리 시설의 설치위치를 선정하는데 효율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looding vulnerability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Changwon-si, Gyeongsangnam-do. Assessment Factors are water cycle area ratio, surface runoff, and precipitation. And construction of assessment factors and vulnerability was analyzed by G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ong et al.(2013)은 GIS 기반의 물순환 면적률 분석과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도시지역의 물순환 특성을 공간적,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계획 차원의 물순환성 개선, 도시침수 방지 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Suwon(2011)와 Gyeongnam Green Environmental Center(2011)은 도시지역의 물순환 향상과 효율적인 빗물관리를 위해 물순환 면적률의 분석과 다양한 빗물이용현황, 관리시설의 적용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다양한 공간적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침수 취약성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물순환 면적률, 표면 유출특성, 그리고 강우량 분포의 평가요인에 대한 GIS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공간통계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또한 침수 취약성 평가결과를 토대로 도시 지역의 침수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도시 및 환경계획 차원에서의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 Hotspot 분석은 공간적 사상의 집단화를 유형화하는 것으로 분석결과에서 도출되는 Gi* Zscore이 0에 근접하면 공간적 속성 값이 전체 지역의 평균값에 가깝거나 높고 낮은 값들이 이질적으로 분포하며, 높으면 높은 속성 값의 군집을, 낮으면 낮은 속성 값의 군집이 형성된다(Song,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ot spot 분석을 통해 Zscore 값이 낮은 지역을 홍수 취약지역으로 추출하였으며, 도시지역의 여름철 홍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 ,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량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지 않았지만, 동일한 강우가 내린 상황을 가정하여 지표면에서 빗물이 유출되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지표면의 공간을 고려하여 유출곡선지수를 분석하였다.
  •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도시지역의 침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내용들은 대체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물순환 특성을 비교하거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하천 모델링을 통해 도시 침수 발생지역을 예측하였다. 또한 빗물관리시설이나 물자원의 재이용 등을 통해 도시 침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도시지역의 침수지역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시지역에 분포하는 다양한 지표면의 공간특성을 고려하여 침수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도시 및 환경계획 차원에서 침수지역 개선을 위한 시설물의 설치 및 예산 편성, 제도 및 정책 등의 대책 방안이 마련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다양한 공간적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침수 취약성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물순환 면적률, 표면 유출특성, 그리고 강우량 분포의 평가요인에 대한 GIS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공간통계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또한 침수 취약성 평가결과를 토대로 도시 지역의 침수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도시 및 환경계획 차원에서의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도시 지역의 홍수 문제를 도시 및 환경계획 차원에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물순환 면적률과 표면 유출특성, 여름철 평균 강우량을 Vector GRID에 공간정보로 구축하고, 공간통계분석을 통해 도시지역의 침수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표면 유출 특성의 분석은 강우 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투되지 않고 표면으로 유출되는 특성을 고려하고자 하였으며, USDA(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의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에서 개발된 유출곡선 지수(Runoff curve number) 자료를 활용하였다. 유출곡선지수는 강우 시에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빗물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소유역을 대상으로 표면유출에 대한 경험적인 분석에 의해 개발되었다(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98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환경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도시지역은 국지적 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홍수와 침수 등의 물환경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다(Suwon, 2011).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도시화로 인한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와 같은 불투수 포장재질의 면적이 증가하면서 자연적인 물순환의 왜곡을 야기했으며(Pouraghniaei, 2002), 빗물이 지하로 침투되는 양이 감소되고 지표면으로 유출되는 양이 증가하게 되어 도로변 침수와 주택침수 등이 발생하게 되었다(Michael and Keith, 2006). 이러한 물환경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시지역의 지표면 공간특성에 따른 물순환 특성을 파악하여 침수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을 예측하고 도시 및 환경계획 차원에서 효율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창원시의 도시지역은 어떤 공간특성을 지니는가? 한편 창원시의 도시지역은 정병산과 천주산, 불모산, 장복산 등 해발고도 약 600m 정도의 산으로 둘러싸여있는 분지형태의 지형을 띄고 있으며,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성 포장지역이 집약적으로 분포하고 있다(Lee et al., 2010; Song and Park, 2011; Song et al.
물순환 면적률의 장점은 무엇인가? , 2013). 물순환 면적률의 장점은 현재 상태의 물순환 현상을 수치를 통해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물순환 체계의 개선을 위해 물 관리 시설 설치지역의 선정과 설치 기준, 적용 효과 등을 나타내는데 효율적인 지표이다(Suw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H.L. and J.C. Jeong. 2006. Applic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to rainfall data.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4(1):29-41 (조흥래, 정종철. 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14(1):29-41). 

  2. Choi, H.S. 2007. A study on selecting sites for wetland restoration and creation at watershed level for a watercirculating eco-city: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a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최희선. 2007. 물순환형 생태도시를 위한 유역차원의 습지조성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환경생태계획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Chung, E.S., J.S. Lee, K.S. Lee, S.U. Kim and K.T. Kim. 2007. Effectiveness analysis of alternatives to rehabilitate the distorted hydrologic cycle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using HSPF.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3(6):973-984 (정은성, 이준석, 이길성, 김상욱, 김경태. 2007. HSPF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 대안기술 효과분석.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6):973-984). 

  4. Filoso, S., J. Vallino, C. Hopkinson, E. Rastetter and L. Claessens. 2004. Modeling nitrogen transport in the Ipswich river basin, Massachusetts, using a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in fortran(HSPF).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5):1365-1384. 

  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7. Improving the function of urban green space for stormwater managemen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Report (경기개발연구원. 2007. 물순환을 고려한 도시 녹지 기능 제고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기본 연구 보고서). 

  6. Gyeongnam Green Environmental Center. 2011. Development of master plan of rainwater management in Changwon city. Research Report of Gyeongnam Green Environment Center (경남녹색환경 지원센터. 2011. 창원시 빗물관리 기본계획 수립, 경남녹색환경지원센터 연구보고서). 

  7. Lee, J.H., G.J. Park, C.S. Yoo, S.D. Kim and J.Y. Yoon. 2010. Effects of land use change and water reuse options on urban water cycl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22(6):923-928. 

  8. Lee, T.S., B.G. Song, C.B. Han and K.H. Park. 2011. Analysis of the GIS-based water cycle system for effective rainwater management of Gyeongsangnam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2):82-95 (이택순, 송봉근, 한치복, 박경훈. 2011. 경상남도의 효율적 빗물관리를 위한 GIS 기반 물순환 체계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2):82-95). 

  9. Lee, W.S., S.G. Jung, K.H. Park and K.T. Kim. 2010.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42-154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10. Michael, D.W. and A.G. Keith. 2006. The effects of watershed urbanization on the stream hydrology and riparian vegetation of Los Penasquitos creek, Californi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4(2):125-138. 

  11.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6. Classification of hydrologic soil group for using runoff curve number.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농업과학기술원. 2006. 유출곡선 지수의 활용을 위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농업과학기술원 보고서). 

  12. Pouraghniaei, M.J. 2002. Effects of urbanization on quality and quantity of water in the watershed. MSc of Watershed Management, Natural Resources Research Center of Semana, Semnan Province, Iran. 

  13. Seoul. 2004. Water cycle master plan in Seoul. Research Report of Seoul (서울시. 2004. 서울시 물순환기본계획 연구. 서울시 연구보고서). 

  14. Sharma, A.K., S. Gray, C. Diaper, P. Liston and C. Howe. 2008. Assessing integrated water management options for urban developments - Canverra case study. Urban Water Journal 5(2):147-159. 

  15. Song, B.G. 2014.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methodology for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and heat island effect in urban area. Ph.D.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송봉근. 2014. 기후변화 및 도시열섬 개선을 위한 환경계획기법 개발.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Song, B.G. and K.H. Park. 2011. The classification of spatial patterns considering formation parameters of urban climate - the case of Changwon city, South Korea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3):299-311 (송봉근, 박경훈. 2011. 도시기후 형성 요소를 고려한 공간유형 분류-창원시를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학회지 20(3):299-311). 

  17. Song, B.G., K.H. Park and T.S. Lee. 2013. An assessment of urban water cycle in Changwon-si using GIS-based water cycle area ratio.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5):397-408 (송봉근, 박경훈, 이택순. 2013. GIS 기반의 물순환 면적률을 활용한 창원시 도심지역의 물순환성 평가. 환경영향평가학회지 22(5): 397-408). 

  18. Suwon. 2011. Water cycle master plan in Suwon. Research Report of Suwon (수원시. 2011. 수원시 물순환 관리 기본계획. 수원시 연구보고서). 

  1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986.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nical Release 55 of United States Departments of Agriculture. 

  20. Venkatesh, G. and H. Brattebo. 2011, Energy consumption, costs and environmental impacts for urban water cycle services: case study of Oslo (Norway). Energy 36:792-800. 

  21. Changwon City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http://bangjae.changwon.go.kr. 

  22. Changwon City Homepage. http://www.changwon. 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