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공산 선본사 관봉 석조여래좌상 및 삼층석탑의 석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ne Materials from Gwanbong Seokjoyeoraejwasang and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Seonbonsa Temple, Mt. Palgongsa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7, 2014년, pp.554 - 561  

문성우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좌용주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본사의 두 석조문화재 관봉 석조여래좌상과 삼층석탑의 석재들은 암석기재적으로 거의 동일한 특징을 보인다. 즉, 회백색의 조립질로서 반상조직을 보이는 화강암이며, 주 구성광물은 사장석, 알칼리장석, 석영, 흑운모, 각섬석, 녹니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기재적 특징들은 선본사가 위치한 팔공산 화강암체 서남부의 화강암 노두에서 확인되는 것과도 유사다. 모드조성에서는 석조여래좌상의 경우 몬조화강암에 속하나 삼층석탑 및 인근 화강암 노두의 암석은 섬장화강암과 몬조화강암의 양쪽 조성을 나타낸다. 전암대자율 측정값을 보면 관봉석조여래좌상, 삼층석탑, 선본사 인근화강암 노두에서 각각 10-14, 10-15, 9-16(${\times}10^{-3}\;SI$)의 범위를 보여 거의 동일하며, 자철석계열의 팔공산 화강암을 나타낸다. 감마스펙트로미터 측정값에서도 세 암석에서 K, eU, eTh의 함량들이 거의 유사한 범위에 속한다. 결론적으로 선본사의 관봉 석조여래좌상과 삼층석탑은 팔공산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주변 지역의 화강암체가 그 원산지라고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ck materials from the two stone heritages in the Seonbonsa temple, Gwanbong Seokjoyeoraejwasang (stone Buddha) and three-storied Stone Pagoda, show almost identical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They are greyish white porphyritic granites which mainly consist of plagioclase, alkali feldspar,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팔공산 선본사의 관봉 석조여래좌상(이하 석조여래좌상)과 선본사 삼층석탑(이하 삼층석탑)을 이루고 있는 암석의 재질을 판별하고, 그 암석의 원산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봉 석조여래좌상과 삼층석탑에 동일하게 보이는 암석 기재적 특징은 무엇인가? 선본사의 두 석조문화재 관봉 석조여래좌상과 삼층석탑의 석재들은 암석기재적으로 거의 동일한 특징을 보인다. 즉, 회백색의 조립질로서 반상조직을 보이는 화강암이며, 주 구성광물은 사장석, 알칼리장석, 석영, 흑운모, 각섬석, 녹니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기재적 특징들은 선본사가 위치한 팔공산 화강암체 서남부의 화강암 노두에서 확인되는 것과도 유사다.
오악신앙의 특징이 잘 드러난 사례는 무엇인가? 오악신앙의 특징 중 하나로 산 정상부에 석불 내지 제단을 조성하고, 산 하부에 사찰을 건축한 것을 들 수 있다. 잘 알려진 토함산의 경우 석굴암의 석불과 불국사의 예가 그렇고, 팔공산의 경우 관봉 석조여래좌상과 선본사를 비롯한 여러 사찰이 그러하다. 그 외에도 다수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Kim, 2013).
선본사의 대표적 석조문화재 두 가지는 무엇인가? 선본사(禪本寺)는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팔공산(八公山)의 관봉(冠峯) 아래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직영사찰이다. 절에는 보물 제 431호로 지정된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흔히 갓바위 석불이라 불림)과 시도유형문화재 제 115호 선본사 삼층석탑이 위치해 있으며, 이 둘은 모두 선본사의 대표적인 석조문화재들이다. 이 두 문화재는 통일신라기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초반에 조성되었다고 추정되고 있으며(Kim, 2013; Shin, 2013), 당시의 산을 매개로한 신앙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ho, K.-M. and Jwa, Y.-J., 2005, Study on the source area of the stones from stone-cultural properties: Geomorphological and petrological approach for the Iksan a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4, 24-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e, W.-H. and Jwa, Y.-J., 2004, Petro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s for magma mixing in the Palgongsan Pluton. Geosciences Journal, 8, 343-354. 

  3. Jwa, Y.-J., Kim, K.-K., Ko, S.-B., and Kim, J.-S., 2006,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ji temple site,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5, 128-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wa, Y.-J., Lee, S.W., Kim, J.-S., and Sohn, D.W., 2000, Source area of stones used for the stone buildings of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grott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6, 335-340. (in Korean) 

  5. Kim, C.S., 2013, Type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ment background of the Palgongsan Gwanbong Seokjoyeoraejwasang. Seonbonsa Gatbawui Budda, Seonbonsa. In Research Institute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ed.),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Palgongsan Seonbonsa Gatbawuibulsang gwa Bulgyomunhwajae. Seoul, Korea, 21-39. (in Korean) 

  6. Lee, G.B., 1972, Establishment of Shilla five mountains and its meaning. Jindanhakbo, 33, 5-24. (in Korean) 

  7. Shin, Y.C., 2013, Consideration on stone cultural heritage in the Palgongsan Seonbonsa. Seonbonsa Gatbawui Budda, Seonbonsa. In Research Institute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ed.),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Palgongsan Seonbonsa Gatbawuibulsang gwa Bulgyomunhwajae. Seoul, Korea, 40-53. (in Korean) 

  8. Ward, S.H., 1981, Gamma-ray spectrometry in geological mapping and uranium exploration. Economic Geology, 75th Anniversary Volume, 840-8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