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북부 밭 잡초 분포
Distribution of Weeds on Upland Crop Field in Northern Gyeonggi-do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3 no.4, 2014년, pp.276 - 283  

오영주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이욱재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홍선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연구소) ,  이용호 (고려대학교 야생자원식물종자은행) ,  나채선 (고려대학교 야생자원식물종자은행) ,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김창석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북부 밭 경작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42과 129속 178종 1아종 21변종 1품종, 총 201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생활형은 전체 식물 중에 다년생은 70종으로 34.9%, 일년생은 131종으로 65.1%로 분석되었다. 이중 국화과가 21%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은 벼과 12%와 마디풀과 7% 그리고 십자화과 5% 순으로 출현하였다. 밭에 출현한 잡초 중에서 외래잡초는 18과 62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밭 잡초의 우점종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치 분석에서는 쇠비름이 가장 높았으며 돌피, 개비름 순으로 조사되었다. 작물별로 잡초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DCA 분석결과 율무밭의 잡초종이 다른 밭의 잡초종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발생정보는 경기북부 밭 잡초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weeds on upland crop field in northern Gyeonggi-do. The weeds were summarized as 201 taxa including 42 families, 129 genera, 178 species, 1 subspecies, 21 varieties and 1 form. One hundred and thirty one species were cla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기북부 밭 경작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42과 129속 178종 1아종 21변종 1품종, 총 201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생활형은 전체 식물 중에 다년생은 70종으로 34.
  • 밭은 인간의 간섭과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입지환경으로 교란된 환경 속에서도 균질성을 지닌 잡초군락을 형성하고 이러한 잡초군락은 입지의 미세환경조건을 반영하고 있다(Kim, 2004).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 밭을 대상으로 잡초의 분포 및 발생 피도 등급을 조사하여 밭에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와 특징을 밝혀내고 문제잡초의 향후 변화양상에 대비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초와 작물의 관계는 어떠한가? 밭은 지역별로 다양한 작물과 영농형태가 적용되며 인간의 간섭의 정도에 따라 적응이 강한 생활형과 번식력을 가진 잡초가 우점하여 여러 유형의 군락을 형성한다(Song, 1997). 오랜 기간 잡초와 작물은 주어진 환경 속에서 적응하여 다양한 생태적 지위를 구축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달한다(Carroll et al., 1990).
잡초분포조사를 통해서 지역별 발생잡초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무엇에 이득이 있는가? 잡초분포조사를 통해서 지역별 발생잡초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효과적인 잡초방제를 위해서는 중요한 일이다. 밭은 지역별로 다양한 작물과 영농형태가 적용되며 인간의 간섭의 정도에 따라 적응이 강한 생활형과 번식력을 가진 잡초가 우점하여 여러 유형의 군락을 형성한다(Song, 1997).
전국의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들은 어떤 종류들이 있는가? , 2003). 호남지역의 하작물 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29과 102종이 분포하고 바랭이, 쇠비름, 방동사니 등이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Lim et al., 2008). 충청남북도 지역의 밭에서는 36과 124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USA. p. 865. 

  2. Carroll, C.R., Vandermeer, J.H. and Rosset, P.M. 1990. Agroecology, p. 235. In: Weiner, J. (Eds.). Plant Population Ecology in agriculture. Mcgraw-Hill Inc., NY, USA. 

  3.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Korean J. Weed Sci. 10(4):294-304. (In Korean) 

  4. Choi, B.S., Song, D.Y., Roh, J.H., Ku, Y.C., Lee, C.W., et al. 2009. Distributional occurrence of weed species on different upland fields in chungcheong region. Korean J. Weed Sci. 29(2):139-149. (In Korean) 

  5.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6. Kim, J.W. 2004. Vegetation ecology, Worldscience, Seoul, Korea. pp. 1-308. 

  7. Kim, S.C., Oh, Y.J. and Kwon, Y.W. 1992. Weed flora of agricultural area in Korea. Korean J. Weed Sci. 12(4):317-334. (In Korean) 

  8.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n, Gyeonggi-do, Korea. (In Korean) 

  9. Lim, I.B., Kim, S. and Ahn, S.H. 2008. Weed emergence in upland field of summer crop cultivation in Honam area. Korean J. Weed Sci. 28(1):32-41. (In Korean) 

  10. Park, J.E., Lee, I.Y., Park, T.S., Lim, S.T., Moon, B.C., et al.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in Korea. Korean J. Weed Sci. 23(3):277-284. (In Korean) 

  11.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Inc., Seoul, Korea. (In Korean) 

  12.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13. Ryang, H.S., Chun, J.C. and Hwang, I.T. 1984. Change in weed flora with season and cultivated crop and land. Korean J. Weed Sci. 4(1):4-10. (In Korean) 

  14. Song, J.S. 1997.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weed communities in the cultivated and abandonced fields of Korea. Korean J. Ecol. 20:191-200. (In Korean) 

  15. Ter Braak, C.J.F. 1986.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ogy 67:69-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