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결정질 기반암의 지하수 수질 평가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in Crystalline Bedrock Site for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원문보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12 no.4, 2014년, pp.275 - 286  

이정환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정해룡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정재열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박주완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윤시태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결정질 기반암에 위치하는 12개 시추공의 지하수 수질을 분석하여,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활용하여 지하수 수질 진화 특성 및 성분 기원을 평가하였다. 지하수 수질 유형은 Na(Ca)-$HCO_3$형과 Ca-$HCO_3$형이 가장 우세하여, 물-암석 반응에 의한 직접적인 양이온 교환 반응($Ca^{2+}{\rightarrow}Na^+$)을 지시하며, 현장 지하수 특성과 실내 지하수 분석 결과에 기초한 연구지역의 지하수 수질 진화는 초기 내지 중간 정도의 단계를 지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변량 분석 결과, 인위적인 기원인 $NO_3{^-}$와 다른 성분들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Na^+$, $Cl^-$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난다. 염무의 기원인 $Cl^-$와는 $Na^+$, $SO{_4}^{2-}$, $Mg^{2+}$, $K^+$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성분들($Ca^{2+}$, $Fe^{2+}$, $HCO_3{^-}$, $F^-$, $SiO_2$)과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Cl^-$ 농도가 일반적인 지하수 수질 범위에 포함되고 $NO_3{^-}$ 농도는 먹는물 수질기준치 이하로서 농도가 매우 낮으며, 대부분의 광물에 대해서 지하수 화학성분들은 불포화상태를 지시한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수질 성분들은 대부분 물-암석 반응을 통한 자연적인 기원을 지시하고 부분적으로는 자연적인 염무와 농업과 관련된 인위적인 오염으로부터 기인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evolution stage and origin of chemical components of 12 boreholes at crystalline bedrock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d groundwater quality analyses. Groundwater types are mostly belonged to Na(Ca)-$HCO_3$ and Ca-$HCO_3$ types, indicating that di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하수 화학을 통하여 심부 지하수 시스템의 진화 특성을 평가는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결정질 기반암에 위치하는 12개 시추공의 지하수 수질을 분석하여,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활용하여 지하수 수질 진화 특성 및 성분 기원을 평가하고자 한다.
  • 그 중에서 지하수 화학은 지하수 침투, 방사성 핵종의 용해도, 이동 및 생태계로의 유출 등의 특성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또한 현재 부지의 수리지구 화학적 조건 뿐만 아니라, 향후 안전성을 예측하기 위한 시간 종속적 경계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심부 지하수 시스템의 과거 진화 특성을 규명하는데 기초 정보들을 제공한다[5].
  • 본 연구는 결정질 기반암에 위치하는 12개 시추공의 지하수 수질을 분석하여,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활용하여 지하수 수질 진화 특성 및 성분 기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총 4회에 걸친 지하수 분석 결과, 지하수 수질의 뚜렷한 계절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는 안정된 심부 지하수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 화학이 제공하는 정보는 어떤 특성을 규명하는가? 그 중에서 지하수 화학은 지하수 침투, 방사성 핵종의 용해도, 이동 및 생태계로의 유출 등의 특성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또한 현재 부지의 수리지구 화학적 조건 뿐만 아니라, 향후 안전성을 예측하기 위한 시간 종속적 경계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심부 지하수 시스템의 과거 진화 특성을 규명하는데 기초 정보들을 제공한다[5].
원자력 발전 후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 방안 모색이 대두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고갈과 이들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야기된 대기 오염 및 지구 온난화 등 부작용 때문에 대체에너지로 원자력 에너지 사용의 확대가 증가됨에 따라, 원자력 발전 후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 방안 모색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1]. 방사성폐기물의 지층 처분목표는 방사성폐기물을 생태계로부터 그 위해성이 정의되는 기간까지 격납 및 격리할 수 있는 시설 또는 위치에서 폐기하는 것이다[2].
요인분석이란 무엇인가? 연구지역의 공간적인 지하수 수질 진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다변량 분석 중에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요인분석은 대규모 자료집단을 단순화하고 체계화하여 일반화시킴으로서 자료의 의미를 고찰하는 기법으로서, 상관성이 큰 최초 변수들로 집단화할 수 있다[14]. 요인 추출 모델은 보통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기법으로 도출되며 1 이상의 고유값(eigenvalue)을 선택하고, 각 요인들에 대한 요인적재의 분산을 최대화하도록 베리맥스(Varimax) 직각회전 방식을 이용하여 요인들에 대해 직교변환 절차를 수행한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M. Gascoyne and M. Laaksoharju,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in Sweden: Hydrogeochemical characterisation and modelling of two potential sites", Appl. Geochem., 23, 1745-1746 (2008). 

  2.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Scientific and Technical Basis for the Geological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s, IAEA Tecnical Report series no. 413, 80 (2003). 

  3. B.Y. Choi, G.Y. Kim, Y.K. Koh, S.H. Shin, S.W. Yoo, and D.H. Kim,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LILW repository I. groundwater", J. Korean Radioact. Waste Soc., 6(4), 297-306 (2008). 

  4. G.Y. Kim, Y.K. Koh, B.Y. Choi, S.H. Shin, and D.H. Kim,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ju LILW repository II. rock and mineral", J. Korean Radioact. Waste Soc., 6(4), 307-327 (2008). 

  5. SKB, Hydrogeochemical site descriptive model-a strategy for the model development during site investigation, R-02-49, 63 (2002). 

  6. Posiva, Olkiluoto site description, Posiva 2011-02, 1039 (2011). 

  7. S.H. Ji, K.W. Park, K.S. Kim, and C. Kim, "Analysis of the statistical properties for the background fractures in the LILW disposal site of Korea", J. Korean Radioact. Waste Soc., 6(4), 257-263 (2008). 

  8. C.S. Oh and J.M. Kim,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water flow and salt and radionuclide trasport at a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site in Gyeongju, Korea", J. Geol. Soc. Korea, 44(4), 489-505 (2008). 

  9. M.H. Baik, S.Y. Lee, and Y. Roh, "Roles and importance of microbes in the radioactive waste disposal", J. Korean Radioact. Waste Soc., 7(1), 63-73 (2009). 

  10. K.W. Park, S.H. Ji, Y.K. Koh, G.Y. Kim, and J.K. Kim,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water flow in LILW Repository site: II. Input parameters for safety assessment", J. Korean Radioact. Waste Soc., 6(4), 283-296 (2008). 

  11. J.H. Hwang, Y.H. Kihm, Y.B. Kim, and K.Y. Song, "Teriary hydroexplosion at Bonggil-ri, Yangbuk-myeon, Gyeongju", J. Geol. Soc. Korea, 43(4), 453-462 (2007). 

  12. K.S. Kim, C. Kim, D.S. Bae, S.H. Ji, and ST. Yoon,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LW disposal site", J. Korean Radioact. Waste Soc., 6(4), 245-255 (2008). 

  13. J.H. Lee, H. Jung, E. Lee, and S. Kim, "Estimation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of the crystalline site using time series analyses in south Korea", JNFCWT, 11(3), 179-192 (2013). 

  14. M. Larocque, A. Mangin, M. Razack, and O. Banton, "Contribution of correlation and spectral analysis to the regional study of a large karst aquifer (Charente, France)", J. Hydrol., 205, 217-231 (2007). 

  15. K.G. Joreskog, J.E. Klovan, and R.A. Reyment, Geological factor analysis, p.178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Oxford, New York (1976). 

  16. S.Y. Hamm, K.S. Kim, J.H. Lee, J.Y. Cheong, I.H. Sung, and S. Jang,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in Sasan industrial area, Busan metropolitan city", Econ. Environ. Geol., 39(6), 753-770 (2006). 

  17. SAS Institute Inc., SAS Version 9.1.3 Cary, North Carolina, SAS Institute Inc. (1995). 

  18. K.J. Stezenbach, I.M. Farnham, V.F. Hodge, and K.H. Johannesson,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of groundwater major cation and trace element concentration to evaluate groundwater flow in a regional aquifer", Hydrol. Process., 13, 2655-2673 (1999). 

  19. Y.S. Hong and M.R. Rosen, "Intelligent characterisation and diagnosis of the groundwater quality in an urban fractured-rock aquifer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Urb. Water, 3, 193-204 (2001). 

  20. A. M. Piper, "A graphic procedure in the 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water analyse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25, 914-923 (1944). 

  21. G.T. Chae, K. Kim, S.T. Yun, K.H. Kim, S.O. Kim, B.Y. Choi, H.S. Kim, and C.W. Rhee, "Hydrogeochemistry of alluvial groundwaters in an agricultural area of Korea: an implication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susceptibility", Chemosphere, 55, 369-378 (2004). 

  22. H.J. Kim, S.Y. Hamm, N.H. Kim, J.Y. Cheong, J.H. Lee, and Jang, S.,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caused by seawater intrusion and agricultural activity in Sacheon and Hadong areas, Republic of Korea", Econ. Environ. Geol., 42(6), 575-589 (2009). 

  23. J.W. Lloyd and J.A. Heathcote, Natural inorganic hydrochemistry in relation to groundwater, 1st ed., 296, Clarendon Press, Oxford (1985). 

  24. D.K. Chadha, "A proposed new diagram for geochemical classification of natural waters and interpretation of chemical data", Hydrogeol. Jour., 7, 431-439 (1999). 

  25. C.H. Jeong, C.S. Kim, T.K. Kim, and S.J. Kim, "Reaction path modelling on geochemical evolution of groundwater and formation of secondary minerals in water-gneiss reaction system", J. Miner. Soc. Korea, 10, 33-44 (1997). 

  26. C.H. Jeong, M.S. Kim, Y.J. Lee, J.S. Han, H.G. Jang, and B.U. Jo, "Hydrochemistry and occurrence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within borehole groundwater in the Cheongwon area", J. Eng. Geol., 21(2), 163-178 (2011). 

  27. J. Hahn, Groundwater envrionment and pollution, 1069, Pakyoungsa (2000) (in Korean). 

  28. O.M. Saether and P.D. Caritat, Geochemical processes, weathering and groundwater recharge in catchments. 400, A.A. Balkema, Rotterdam, Brookfield (1997). 

  29. C.H. Jeong, "Effect of land use and urbanization on hydrochemistry and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from Taejon area, Korea". J. Hydrol., 253, 194-200 (2001). 

  30. C.A.J. Appelo, Postma, D., Geochemistry, groundwater and pollution. 535, A.A. Balkema, Rotterdam (1999). 

  31. J.D. Hem,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p.1473,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1473, USGS (2005). 

  32. L.J.P. Muffler and D.E. White, "Active metamorphism of Upper Cenozoic sediments in the Salton Sea geothermal field and the Salton Trough, southeastern California". Bull. Geol. Soc. America, 80, 157-182 (1969). 

  33. R.A. Eggleton, "The relation between crystal structure and silicate weathering rates", in: Rates of chemical weathering of rocks and minerals, Colman, S.M., and Dethier, D.P., eds., 21-40, Academic Press, Florida (1986). 

  34. J.H. Lee, S.Y. Hamm, K.S. Kim, J.Y. Cheong, S.M. Ryu, D.H. Kim, and H.J. Kim,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using factor analyses and agrochemicals in an agricultural area", Econ. Environ. Geol., 42(3), 149-162 (2009). 

  35. I. Clark and P. Fritz, Environmental isotopes in hydrology, 328, Lewis Publishers (1997). 

  36. G.N. Eby, Principles of environmental chemistry, 514, Brooks/Cole-Thomson Learning, Pacific Grove, CA (2004). 

  37. E.A. Keller, Environmental geology, 8th ed., 562,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2000). 

  38. D.K. Nordstrom, J.W. Ball, R.J. Donahoe and D. Whittemore, "Groundwater chemistry and water rock interactions at Stripa", Geoch. Cosmoch. Act., 53, 1727-1740 (1989). 

  39. J.H. Lee, S.Y. Hamm, J.Y. Cheong, H.S. Kim, E.J. Ko, K.S. Lee, and S.I. Lee, "Characterizing riverbank-filtered water and river water qualities at a site in the lower Nakdong River basin, Republic of Korea", J. Hydrol, 376, 209-220 (2009). 

  40. S.K. Park, S.G. An, and S.W. Eom, Explanation on the quality of drinking water. 228,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Co. (in Korean). 

  41. A.E. Greenberg, L.S. Clesceri and A.D. Eato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1010,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92). 

  42. C.W. Liu, C.S. Jang, and C.M. Liao, "Evaluation of arsenic contamination potential using indicator kriging in the Yun-Lin aquifer (Tiwan)", Sci. Tot. Environ., 321, 173-188 (2004). 

  43. K.S. Ko, Y. Kim, D.C. Koh, K.S. Lee, S.G. Lee, C.H. Kang, H.J. Seong, and W.B. Park, "Hydro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groundwater in Jeju Islan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geostatistics", Econ. Environ. Geol., 38(4), 435-450 (2005). 

  44. K.S. Ko, J. Ahn, H. Suk, J.S. Lee, and H.S. Kim, "Hydrogeochemistry and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for small potable water supply system in Nonsan area", J. Soil Groundw. Environ., 13(6), 72-84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