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납광산의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청동 원료의 산지추정 - 청해진 출토 청동기를 중심으로 -
Provenance Study on Lead Isotope of the Bronze Using a Korea Peninsula Lead Isotope Data - Focused on Bronze Relics Excavated from Cheonghaejin -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7 no.4, 2014년, pp.263 - 270  

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우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방연석 광산의 방연석에 대한 납동위원소비 분석 자료를 응용하여 청해진에서 출토되는 청동기에 사용된 납 원료의 산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산물로 산출되는 미량원소의 종류와 함량이 산지추정의 보조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도 검토하고자 하였다. 장도 청해진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를 기존에 일본에서 사용하던 동북아시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청해진 출토 청동기는 중국산 납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를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대상시료 대부분이 한반도 남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미량원소 중에서 은(Ag)이나 안티몬(Sb)의 함량은 동일 지역(zone)의 납동위원소비가 비슷한 서로 다른 광상을 분리하는데 유용한 보조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was researched that provenance of the raw material for bronze relics excavated Cheonghaejin using the distribution of lead isotope ratio based on galena ores of South Korea. Also we want to make sure that the trace elements appearing as a by-product can be used as a secondary indicator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납동위원소비 분석과 함께 주성분과 미량성분의 함량을 검토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방연석 광산의 산출상태가 금⋅은⋅동⋅연⋅아연의 열수 광상 맥상체나 교대광상, 열극 충진, 접촉교대, 스카른 (남구)광상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수반광물인 금⋅은 뿐만 아니라 황화광물의 형태로 산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섬아연석(ZnS)이나 황 철석(FeS2O)에 존재하는 철(Fe)이나 아연(Zn)의 함량도 파악하여 그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청동의 주재료인 구리(Cu)-주석(Sn)-납(Pb)의 성분함량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동광석의 산출상태1) 및 이들 성인에 대한 것을 고려한 분류 인자 (factor)를 찾아가기 위한 것이다.
  • 따라서 섬아연석(ZnS)이나 황 철석(FeS2O)에 존재하는 철(Fe)이나 아연(Zn)의 함량도 파악하여 그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청동의 주재료인 구리(Cu)-주석(Sn)-납(Pb)의 성분함량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동광석의 산출상태1) 및 이들 성인에 대한 것을 고려한 분류 인자 (factor)를 찾아가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우리나라에는 해남(Korea Resource Corporation, 1981)이나 태백산광화대의 제2연화나 신예미, 울진광상(Choi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장도 청해진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에 대한 납동위원소비와 주요성분 및 미량 성분을 분석하여 통일신라 말기 청동유물의 원료의 특성과 산지를 추정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를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어떻게 되는가? 장도 청해진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를 기존에 일본에서 사용하던 동북아시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청해진 출토 청동기는 중국산 납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를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대상시료 대부분이 한반도 남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미량원소 중에서 은(Ag)이나 안티몬(Sb)의 함량은 동일 지역(zone)의 납동위원소비가 비슷한 서로 다른 광상을 분리하는데 유용한 보조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는 어디서 출토되었는가? 또한 부산물로 산출되는 미량원소의 종류와 함량이 산지추정의 보조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도 검토하고자 하였다. 장도 청해진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를 기존에 일본에서 사용하던 동북아시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청해진 출토 청동기는 중국산 납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를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대상시료 대부분이 한반도 남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청해진 출토 청동기는 무엇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가? 또한 부산물로 산출되는 미량원소의 종류와 함량이 산지추정의 보조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도 검토하고자 하였다. 장도 청해진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를 기존에 일본에서 사용하던 동북아시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청해진 출토 청동기는 중국산 납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를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면 대상시료 대부분이 한반도 남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ill, R.H. and Wampler, J. M. (1967) Isotope Studies in Ancient Lead,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71, 63-77. 

  2. Chang, B.U., Chang, H.W., and Cheong, C.S. (1995) Lead isotope study on lead-zinc ore deposits in the east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Gyeongsang Basi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8, 19-24. 

  3. Cho, N.C., Huh, I.K., and Kang, H.T. (2006) Metallurgical study of bronze bells excavated from the Miruksa (temple) site in Iksan. Conservation studies, 27, 5-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J., Kim, S.C., Mabuchi, H., and Hirao Y. (1986) Study on the Korean bronz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24, 540-546 (In Korean). 

  5. Choi, S.G., Choi, B.K., Ahn, Y.H., and Kim, T.H. (2009) Re-evaluation of Genetic Environments of Zinc-lead Deposits to Predict Hidden Skarn Orebody,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2, 301-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i, S.G., Choi, B.K., Seo, J.E., Yoo, I.K., Kang, H.S., and Koo, M.H. (2010)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lgok-Seongok Orebodies in the Gagok Skarn Deposit : Their Genetic Implications.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3, 477-4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g, J.I. and Park, K.H. (2006) Pb Isotope Composition of the Ore Deposition Distribution in Jeonbuk Provinc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5, 8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ung, Y.D., Kang, H.T., Huh, I.K., and Cho, N.C. (2006)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Poong-Tag(Wind Bell) from Winggyeong Site, Cyeong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19, 67-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ung, K.Y. and Lee, J.H. (2009) A Study of the Microstructure and Provenance Area of Bronze Spoons Excavated from the Ok-dong Site in Andong. Jouranl of Conservation Science, 25, 411-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Cook N. J., Ciobanue, C. L., Pring, A., Skinner, W., Shimizu, M., Danyushevsky, L., Saini-Eidukat, B., and Melcher, F. (2009) Trace and minor elements in sphalerite: A LA-ICP-MS study.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73, 4761-4791. 

  11. Im, H.K. (2013) Geology and mine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aenam Pb-Zu skarn deposit. Master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 Ju, 74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eong, Y-J., Cheong, C-s, Shin, D-B, Lee, K-S, Jo, H-J., Gaitam, M. K., and Lee, I-S. (2012)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61, 116-127. 

  13. Kang, H.T., Chung, K.Y., and Lee, G.K. (2000) Lead Isotope Ratios of Bronze Artifacts from Sudong Site, Youngkwang-gun. Journal of The Honam Archaeological Society, 15, 7-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ang, H.T., Chung, K.,Y., and Lee, G.,K. (2002) Lead isotope ratios of bronze artifacts from Sudong site, youngkwang-gun, The Honam Archaeological Society, 15, 7-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ang, H.T., Chung K.Y., Cho S.G., and Lee, M.H. (2003) Scientific Anaysis of Bronze Artifacts from Wonbuk-ri Site, Nonsan,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39, 19-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77) The Minerals of Kore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376p. 

  17. Korea Resource Corporation (1981) Economics Mineral Deposits in Korea-Metal(Lead.Zinc Ore), 8, 196-197. 

  18. Mabuchi, H. (1985) The lead isotope systematics in Asia and near East. Gra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Japan, 19 (in Japanese). 

  19.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1) Jangdo Cheonhaejin site 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n). 

  20.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2) Jangdo Cheonhaejin site I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n). 

  21. So, C.S., Yun, S.T., Choi, S.G., Koh, Y.K., and Chi, S.J (1991) Cretaceous epithermal Au-Ag mineralization in the Muju-Yeongam District(Jeongju mineralized area), Republic of Korea: galena-lead and stable isotope studi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569-5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