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화아연 나노로드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발광 셀의 제작 및 발광특성 고찰
Fabrication of ZnO Nanorod-based Electrochemical Luminescence Cells and Fundamental Luminescence Properties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63 no.1, 2014년, pp.76 - 79  

오형석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  성열문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port Zinc oxide (ZnO) nanorods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luminescence (ECL) cell fabrication. The ECL cell was fabricated using the electrode of ZnO nanorods and Ru(II) complex ($Ru(bpy)_3{^{2+}}$) as a luminescence materials. The fabricated ECL cell is composed of F-dop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화아연 나노로드 기반의 ECL셀을 제작함으로써 전극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많은 양의 발광종이 흡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TiO2 전극방식에 비해 훨씬 낮은 전압에서 발광 구현이 가능하고, 발광효율 또한 한층 개선된 셀 제작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제작과정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ECL 셀의 제작공정, 그리고 제작된 셀의 기본 발광특성에 이르기까지,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논의하였다.
  •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나노 다공질 TiO2를 전극소재로 하여 발광재료인 루테늄(Ruthenium; Ru)을 도입한 적색발광(피크파장: 620nm)의 ECL 소자의 제작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9-1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TiO2보다 높은 전자 이동도(mobility)와 직선통로의 장점을 갖고 있는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ECL 전극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로드 기반의 ECL셀을 제작함으로써 전극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많은 양의 발광종이 흡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TiO2 전극방식에 비해 훨씬 낮은 전압에서 발광 구현이 가능하고, 발광효율 또한 한층 개선된 셀 제작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ECL 전극으로 활용하여 종래의 TiO2 전극방식에 비해 훨씬 낮은 전압에서 발광 구현이 가능하고, 발광효율 또한 한층 개선된 셀 제작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작된 ECL 셀의 발광은 반투명의 짙은 오렌지 색깔의 발광을 나타내었으며, 휘도 분포 측정으로부터 피크 파장이 620nm이며, 인가전압 3V에서 빛의 세기는 약 275 cd/m2 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TiO2보다 높은 전자 이동도(mobility)와 직선통로의 장점을 갖고 있는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ECL 전극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로드 기반의 ECL셀을 제작함으로써 전극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많은 양의 발광종이 흡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TiO2 전극방식에 비해 훨씬 낮은 전압에서 발광 구현이 가능하고, 발광효율 또한 한층 개선된 셀 제작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제작과정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ECL 셀의 제작공정, 그리고 제작된 셀의 기본 발광특성에 이르기까지,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논의하였다.
  •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산화아연 나노로드 전극구조에서 ECL셀의 발광효율이 향상되는 메카니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림 7은 산화아연 나노로드 측의 전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모식화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아연 (Zinc Oxide; ZnO)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이유는? 나노구조 산화물 전극소재인 산화아연 (Zinc Oxide; ZnO) 혹은 산화아연 나노로드(ZnO nano array)는 다공성에 의한 넓은 표면적과 높은 전자 이동성(Mobility)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1-3]. ZnO는 상온에서 3.
기존 LED나 OLED와 같은 소자와 달리 전기화학발광(Electrochemical Luminescence; ECL) 소자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ECL은 두께가 수 μm의 액체 및 준 고체형이고, 수 V의 저전압 구동으로 발광한다. 직류/교류 양방 구동이 가능하여 종래의 EL방식에서 지적되고 있는 직류구동에 의한 수명단축 문제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7,8].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나노 다공질 TiO2를 전극소재로 하여 발광재료인 루테늄(Ruthenium; Ru)을 도입한 적색발광(피크파장: 620nm)의 ECL 소자의 제작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9-11].
산화아연 ZnO의 특징은? 나노구조 산화물 전극소재인 산화아연 (Zinc Oxide; ZnO) 혹은 산화아연 나노로드(ZnO nano array)는 다공성에 의한 넓은 표면적과 높은 전자 이동성(Mobility)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1-3]. ZnO는 상온에서 3.37eV의 비교적 넓은 밴드 갭을 가지며, 불순물의 첨가에 의해 전도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적외선 및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매우 좋고, 전기전도성과 플라즈마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4,5]. 한편 LED나 OLED의 경우, 반도체 p-n 접합구조에 의한 직류구동 방식이므로 한쪽 전극에의 불순물 축적 등으로 인한 장기 안정성(Long-term Stability)이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Z. L. Wang, "Zinc oxide nanostructures: growth, properties and applications," J. Phys.: Condens. Matter Vol. 16, ppR829-R858, 2004. 

  2. G. C. Yi, C. Wang, W. I. Park, "ZnO nanorod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Semicond. Sci. Technol. Vol. 20, pp.S22-S34, 2005. 

  3. N. Kumar, A. Dorfman, J. I. Hahm, "Ultrasensitive DNA sequence detection using nanoscale ZnO sensor arrays," Nanotechnology Vol 17, pp.2875-2881, 2006. 

  4. U Ozgur, Y. I. Alivov, C. Liu, A. Teke, M. A. Reshchikov, S. Dogan, V. Avrutin, S.-J. Cho, H. Morko, "A comprehensive review of ZnO materials and devices," Vol. 98, p.041301, 2005. 

  5. S. P. Francisco, M. Eduardo, F. M. Manuel, P. T. Eduardo, "Growth of vertically aligned ZnO nanorods using textured ZnO films," Nanoscale Research Letters, Vol. 6, No. 524, pp.1-11, 2011. 

  6. M. M. Richter, "Electrochemiluminescence (ECL)", Chem. Rev., Vol. 104, pp.3003-3036, 2004. 

  7. T. Kado, M. Takenouchi, S. Okamoto, W. Takasima, K. Kaneto, S. Hayase, "Enhanced Electrochemiluminescence by Use of Nanoporous TiO2 Electrodes: Electrochemiluminescence Devices Operated with Alternating Current", Jpn. J. Appl. Phys. Vol.44, pp.8161-8164, 2005. 

  8. S. Okamoto, K. Soeda, T. Iyoda, T. Kato, T. Kado, S. Hayase, "Increase in Electrochemiluminescence Intensities by Use of Nanoporous $TiO_{2}$ Electrodes", J. Electrochem. Soc. Vol.155, pp.645-649, 2008. 

  9. A Chaoumead, T. W. Kim M, W, Park, Y. M. Sung, "Nanocrystalline Indium Tin Oxide Fabricated via Sol-Gel Combustion for Electrochemical Luminescence Cells," J. Nanosci. Nanotechnol., Vol.12, pp.3538-3542, 2012. 

  10. Y. M. Sung, D. J. B. H. Moon, "Optic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no structural $TiO_{2}$ /Ti/Glass Electrod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Nanotechnology, Vol. 1, pp.86-89, 2012. 

  11. Y. M. Sung, B. H. Joo, S. Y. Yoon, "Effect of Annealing Temperature on Electrochemical Luminescence Properties of Nanoporous Fluorine-doped Tin Oxide films", J. Nanosci. Nanotechnol., Vol. 13, p2981-2985, 2013. 

  12. S. Baruah, J. Dutta, "Effect of seeded substrates on hydrothermally grown ZnO nanorods," J. Sol-Gel. Sci. Technol., Vol.50, pp.456-46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