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저소득층 노인의 유헬스 서비스 이용경험
Low-income Elders' Experiences in Using u-Health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4, 2014년, pp.270 - 281  

최한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대한의학회 연구소) ,  김정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low-income elders' experiences of community-based u-Health services. Method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1 participant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보호 환자 등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저소득층은 어떤 서비스가 요구되는가? 의료법에서는 ‘생활이 어려운 자’, 공공의료에 관한 법률에서는 ‘의료보호 환자 등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저소득층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4,800만 명 기준) 중 2010년 526만 명으로 11%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불건강-빈곤-불건강의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과 질병과 부상에 따른 후유증의 장기화가 생애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관심과 선별적 방식으로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4]. 국가에서는 그 동안 저소득 노인층에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가정간호사업, 노인장기요양보험(요양시설, 재가시설 이용자), 주요 만성질환 관리사업(고혈압, 당뇨병, 아토피), 건강검진사업(최저소득계층, 의료수급권자), 장애인복지사업, 국가 특수계층 의료비 지원 사업 등 다수의 국가 지원 보건의료서비스를 다양하게 수행해왔다.
우리나라는 2014년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몇%인가? 현재 우리나라는 2014년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12.7%에 달하고,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2017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된다[1].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은 88.
65세 이상 노인의 몇%가 한 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하고있는가? 7%에 달하고,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2017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된다[1].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은 88.5%가 한 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다[2]. 이와 같은 노인인구의 증가는 의료비의 지출을 가중 시켜 국민건강보험 총 진료비 중에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2004년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Elderly population survey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August 1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30349 

  2. Jeong KH, Lee YK, Park BM, Lee SJ, Lee YH, Park JS. Present and prospect for healthcare utilization by older adult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2012. Report No.: 2012-47-14. 

  3. Im MY, Ryu HS. A study on health service utilization for the low income elderly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1;12(3):589-599. 

  4. Kim JK. A health policy for health care vulnerable population. Seoul: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2 October. Report No.: 165.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national health promotion pla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July. Report No.: 1-135200-00285-13. 

  6. Ekeland AG, Bowes A, Flottorp S. Effectiveness of telemedicine: A systematic review of re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2010;79(11):736-771. http://dx.doi.org/10.1016/j.ijmedinf.2010.08.006 

  7. Ruy SW, Lee JG, Kim KH. Current state of u-Health and its developmental strategies in Korea. Journal of the Medical Association. 2009;52(12):1141-1147. http://dx.doi.org/10.5124/jkma.2009.52.12.1141 

  8. Park JS. Introduction of u-health services for health vulnerable population.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KHIDI); 2009 September. Report No.: 2009-31. 

  9. Song TM, Lee SY, Lee KS, Park DS, Jin DR. U-health: Current status and tasks ahead.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August. Report No.: 2011-01. 

  10. Glassman P, Helgeson M, Kattlove J. Using telehealth technologies to improve oral health for vulnerable and underserved populations. Journal of the California Dental Association. 2012;40(7):579-585. 

  11. Gagnon M-P, Lamothe L, Hebert M, Chanliau J, Fortin J-P. Telehomecare for vulnerable populations: The evaluation of new models of care. Telemedicine and e-health. 2006;12(3):324-331. http://dx.doi.org/10.1089/tmj.2006.12.324 

  12. Wade V, Eliott J, Karnon J, Elshaug AG. A qualitative study of sustainability and vulnerability in Australian telehealth services.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2010;161:190-201. 

  13. Na JY, Yoon YH. Research on the core technologies of network infra providing the home health service at smart home. The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Review-Book. 2011;31(1):221-222. 

  14. Lee JE, Yoon YH, Park JA, Kwon YJ. Analysis of apartment design elements for applying the health 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elderly people.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2012;3(2):147-157. 

  15. Choi HN, Kim JE, Jin M, Lee JS, Kim SW, Jeong SY. Working with low-income elders in Korea: An ethnographical exploration of u-health nurses' experienc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4;11(1):18-29. http://dx.doi.org/10.16952/pns.2014.11.1.18 

  16. Ko YS. Need assessment of u-life services for Korean elderly and policy implications.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008;5:165-181. 

  17. Hsieh H-F, Shannon SE.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5;15(9):1277-1288. http://dx.doi.org/10.1177/1049732305276687 

  18.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19. Kim JY, Song EE. Health-protective factors of the healthy low-income elderly: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014;36:103-131. 

  20. Liu PR, Meng MQ-H, Liu PX, Tong FFL, Chen X. A telemedicine system for remote health and activity monitoring for the elderly. Telemedicine and e-Health. 2006;12(6):622-631. 

  21. Jaana M, Pare G, Sicotte C. Home telemonitoring for respiratory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2009;15(5):313-320. 

  22. Kaminsky E, Rosenqvist U, Holmstrom I. Telenurses' understanding of work: Detective or educato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2):382-390. 

  23. Jeon HO. Influencing factors on self-care in the elderly with essential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8;19(1):66-75. 

  24. Hsieh H, Tsai CH. An empirical study to explore the adoption of telehealth: Health belief model perspective. Journal of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Review. 2013;6(2):1-5. 

  25. Kim JK. Equity in health level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of elderly people in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1;27(2):65-87. 

  26. Onor ML, Trevisiol M, Urciuoli O, Misan S, Bertossi F, Tirone G, et al. Effectiveness of telecare in elderly populations-a comparison of three settings. Telemedicine and e-Health. 2008;14(2):164-169. http://dx.doi.org/10.1089/tmj.2007.0028 

  27. Gabrielian S, Yuan A, Andersen RM, McGuire J, Rubenstein L, Sapir N, et 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for recently homeless veterans: A clinical practice improvement program to apply home telehealth technology to a vulnerable population. Medical Care. 2013;51(3 Suppl 1):S44-51. http://dx.doi.org/10.1097/MLR.0b013e31827808f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