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황강달이(Collichthys lucidus)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Collichthys lucidus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6 no.4, 2014년, pp.303 - 309  

정수환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김병기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김지혜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김민규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한경남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강달이의 섭식생태를 연구하기 위해 총 926개체를 한강 하구역에서 채집하였으며, 전장 범위는 3.5~18.5 cm였으며, 산란기는 5~7월 경이었다. 먹이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종은 능동적인 저서포식자이며, 특히 절지동물문 중 십각류인 중국젓새우와 밀새우를 주로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종의 공복률은 총 23.8%였으며, 성장 및 계절에 따른 공복률의 변화가 있었으며 먹이생물 역시 각 특성에 따라 변하였다. 섭식행동 및 먹이생물 종은 계절에 따른 생식소 지수의 변화에 따라 변하였다. 한강 하구역의 황강달이 위 내용물에서는 넒은 범위의 먹이생물 종이 확인되어 비선택적 포식자로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eding ecology of Collichthys lucidus was determined by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of 926 specimens ranged from 3.5 to 18.5 cm in the Han River estuary. This fish actively fed on benthic crustaceans, mainly decapods, Palaemon carinicauda and Acetes chinensis, and they can be defined as the ben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등이 연구되었으나 생태학적 조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 지역에 우점하는 황강달이의 성장과 산란기 및 계절에 따른 섭식생태를 구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강달이란 무엇이며 분포 특징은? 황강달이(Collichthys lucidus)는 농어목(Perciformes) 민어과(Sciaenidae)에 속하는 어류로서, 우리나라 전 연안을 비롯하여 일본 및 남중국해, 태평양 서부 등의 연안이나 내만, 하구역에 주로 분포하며 강의 중류까지 서식하기도 한다(Yamada et al., 1995).
황강달이의 산란기는? 5~18.5 cm였으며, 산란기는 5~7월 경이었다. 먹이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종은 능동적인 저서포식자이며, 특히 절지동물문 중 십각류인 중국젓새우와 밀새우를 주로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황강달이의 먹이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5 cm였으며, 산란기는 5~7월 경이었다. 먹이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종은 능동적인 저서포식자이며, 특히 절지동물문 중 십각류인 중국젓새우와 밀새우를 주로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종의 공복률은 총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용근. 1985. 동지나해산 황강달이의 자원 생물학적 연구. 군산 수산전문대학 연구보고, 19: 33-36. 

  2. 박경수. 2004. 한강 하구역의 염분 분포 및 생태환경특성. 한국습지학회지, 6: 149-166. 

  3. 백근욱.박주면.추현기.허성회. 2011.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 하는 웅어(Coilia nasus)의 위내용물 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3: 163-167. 

  4. 서인수.홍재상. 2007. 장봉도 갯벌의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와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섭식생태. 한국수산과학회지, 40: 84-94. 

  5. 양원석.홍병규.차병열.조현수.손호선.박영철.최옥인. 1997. 황아귀, Lophius litulon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0: 95-104. 

  6. 오용석. 2008. 민어과(Sciaenidae) 어류의 형태, 골격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4pp. 

  7. 이수정.김진구. 2014. 황해 강달이속(Collichthys) 치어 2종의 분자동정 및 형태비교. 한국수산과학회지, 47: 79-83. 

  8. 최영민.윤병선.김효선.박정호.박기영.이재봉.양재형. 손명호.. 2013. 동해 중부연안 벌레문치(Lycodes tanakae)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46: 843-850. 

  9. 최정화.윤상철.이성일.김종빈.김혜림. 2011. 동해 울진바다목장에 서식하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44: 684-688. 

  10. 허성회. 1999. 갈치(Trichiurus leptur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1: 191-197. 

  11. 허성회.곽석남. 1998.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날개망둑 (Favonogobius gymnauchen)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 372-379. 

  12. 허성회.김진민.박주면.백근욱. 2013. 동해 남부 고리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돛양태(Repomucenus lunat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5: 17-24. 

  13. 허성회.박주면.남기문.박세창.박찬일.박주면.백근욱. 2006. 부산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살살치(Scorpaena neglect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0: 117-122. 

  14. 황선도.노진구. 2010. 한강 하구역 유영생물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15: 72-85. 

  15. 황선도.노진구.이선미.박지영.황학진.임양재. 2010. 한강하구역 강화 갯벌 조간대 건간망에 어획된 유영생물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15: 166-175. 

  16. 황선도.이우주.임양재. 2012. 서해 하구역과 연안역 유영생물의 군집구조 비교. 한국해양학회지, 17: 149-159. 

  17. Abid, S., A. Ouannes-Ghorbel, O. Jarboui and A. Bouain. 2013. Diet composition and feeding habits of the wide-eyed flounder, Bothus podas, in the Gulf of Gabes (Tunisia). Mar. Biodivers., 43: 149-161. 

  18. Bascinar, N.S. and H. Saglam. 2009. Feeding Habits of black scorpionfish Scorpaena porcus, in the south Eastern Black Sea. Turkish J. Fish. Aquat. Sci., 9: 99-103. 

  19. Cheng, Y., R. Wang and T. Xu. 2011. Th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spinyhead croaker Collichthys lucidas: genome organization and phylogenetic consideration. Mar. Genomics, 4: 17-23. 

  20. Corte's, E. 1997. A critical review of methods of studying fish feeding based on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application to elasmobranch fishes. Can. J. Fish. Aquat. Sci., 54: 726-738. 

  21. Froese, R and D. Pauly (Eds). 2014. 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Available at: http://www.fishbase.org. 

  22. Huang, L., J. Li, Y. Xie and Y. Zhang. 2010. Study of the Collichthys lucidus fisheries resources of the Minjiang estuary and its adjacent waters. J. Applied Oceanogr., 29: 256-263. 

  23. Krebs, C.J. 1989. Ecological Methodology. Harper Collins, New York, 654pp. 

  24. Masuda, H., K. Amaoka, C. Araga, C. Uy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Vol. 1.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437pp (in Japanese). 

  25.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lverson.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26. Saidi, B., S. Enajjar, M.N. Bradai and A. Bouain. 2009. Diet composition of smooth-hound shark, Mustelus mustelus (Linnaeus, 1758), in the Gulf of Gabe's, southern Tunisia. J. Appl. Ichthyol., 25: 113-118. 

  27.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117pp. 

  28. Song, N., G. Ma, X. Zhang, T. Gao and D. Sun. 2014. Genetic structure and historical demography of Collichthys lucidus inferred from mtDNA sequence analysis. Environ. Biol. Fish, 97: 69-77. 

  29. Wear, R.G. and M. Haddon. 1987. Natural diet of the crabs Ovalipes catharus (Crustacea, Portunidae) around central and northern New Zealand. Mar. Ecol. Prog. Ser., 35: 39-49. 

  30. Xu, T.J., Y.Z. Cheng, Y.N. Sun, G. Shi and R.X. Wang. 2011.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bighead croaker, Collichthys niveatus (Perciformes, Sciaenidae): structure of control region and phylogenetic considerations. Mol. Biol. Rep., 38: 4673-4685. 

  31. Yamada, U., S. Shirai and T. Irie. 1995. Names and illustrations of fishes from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Overseas Fishery Cooperation Foundation, Tokyo, 14: 784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