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기분사법에 의한 다공성 실크 피브로인 미세입자의 제조
Fabrication of Porous Silk Fibroin Microparticles by Electrohydrodynamic Spraying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8 no.1, 2014년, pp.98 - 102  

김무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  이기훈 (서울대학교 식품바이오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크 피브로인은 뛰어난 생체적합성생분해성으로 인해 의료용 천연고분자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이용되고 있다. 전기분사법은 고분자 용액에 고전압을 적용하여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진행과정이 간단하고 첨가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실크 피브로인 다공성 미세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첨가한 후 전기분사를 실시하였다. PEG를 첨가함으로써 분사원액의 전도도는 감소하였고 점도는 증가하였다. 제조된 미세입자의 크기는 PEG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분사용액의 전도도 및 점도보다는 피브로인과 PEG간의 상분리에 의한 효과인 것으로 보인다. 제조된 실크 피브로인 미세입자를 물에 침지한 결과 PEG가 제거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실크 피브로인 다공성 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된 다공성 실크 피브로인 미세입자는 약물전달체 및 조직공학용 세포전달체로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silk fibroin receives a lot of attention as novel natural biomaterials due to its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biodegradability. Electrohydrodynamic spraying (EHDS) is one of th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micro or nanoparticles by applying high voltage to the polymer solution. In thi...

Keyword

참고문헌 (20)

  1. Y. Cao and B. Wang, Int. J. Mol. Sci., 10, 1514 (2009). 

  2. G. H. Altman, F. Diaz, C. Jakuba, T. Calabro, R. L. Horan, J. Chen, H. Lu, J. Richmond, and D. L. Kaplan, Biomaterials, 24, 401 (2003). 

  3. J. G. Hardy, L. M. Romer, and T. R. Scheibel, Polymer, 49, 4309 (2008). 

  4. H. L. Kim, H. Yoo, H. J. Park, Y. G. Kim, D. Lee, Y. S. Kang, and G. Khang, Polymer(Korea), 35, 7 (2011). 

  5. S. Y. Cho, H. H. Park, and H.-J. Jin, Polymer(Korea), 36, 651 (2012). 

  6. B. M. Min, G. Lee, S. H. Kim, Y. S. Nam, T. S. Lee, and W. H. Park, Biomaterials, 25, 1289 (2004). 

  7. E. Wenk, A. J. Wandrey, H. P. Merkle, and L. Meinel, J. Control. Release, 132, 26 (2008). 

  8. Y. Srisuwan, P. Srihanam, and Y. Baimark, J. Macromol. Sci. Part A-Pure Appl. Chem., 46, 521 (2009). 

  9. J.-H. Yeo, K.-G. Lee, Y.-W. Lee, and S. Y. Kim, Eur. Polym. J., 39, 1195 (2003). 

  10. Z. Cao, X. Chen, J. Yao, L. Huang, and Z. Shao, Soft Matter, 3, 910 (2007). 

  11. N. Bock, T. R. Dargaville, and M. A. Woodruff, Prog. Polym. Sci., 37, 1510 (2012). 

  12. S. Chakraborty, I.-C. Liao, A. Adler, and K. W. Leong, Adv. Drug Deliv. Rev., 61, 1043 (2009). 

  13. H.-J. Jin, J. Park, R. Valluzzi, P. Cebe, and D. L. Kaplan, Biomacromolecules, 5, 711 (2004). 

  14. B. D. Lawrence, J. K. Marchant, M. A. Pindrus, F. G. Omenetto, and D. L. Kaplan, Biomaterials, 30, 1299 (2009). 

  15. H. Oh, J. Y. Lee, A. Kim, C. S. Ki, J. W. Kim, Y. H. Park, and K. H. Lee, Fiber. Polym., 8, 470 (2007). 

  16. C. Cuniberti and R. Ferrando, Polymer, 13, 379 (1972). 

  17. B. Hammouda, D. L. Ho, and S. Kline, Macromolecules, 37, 6932 (2004). 

  18. H.-J. Jin, S. V. Fridrikh, G. C. Rutledge, and D. L. Kaplan, Biomacromolecules, 3, 1233 (2002) 

  19. X. Chen, D. P. Knight, Z. Shao, and F. Vollrath, Polymer, 42, 9969 (2001). 

  20. B. Duan, C. Dong, X. Yuan, and K. Yao, J. Biomater. Sci.-Polym. Ed., 15, 797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