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치질 상실로 인해 수직 고경 감소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caused by severe tooth loss: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2 no.1, 2014년, pp.42 - 47  

윤아영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치과 보철학교실) ,  심혜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치과 보철학교실) ,  안진희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치과 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범위한 치아 상실과 마모로 인한 교합면의 파괴로 수직고경이 감소된 경우 안모의 변화, 전방 유도의 상실로 인한 반대 교합을 보일 수 있으며, 또한 턱관절의 문제를 발생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교합 수직 고경의 증가를 통한 전악 수복을 고려할 수 있으며, 적절한 환자의 수직 고경 평가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80세의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보철계획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치아상실 및 마모에 따른 전치부의 반대 교합과 교합 수직 고경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진단 모형과 방사선 사진, 임상적 검사를 이용하여 교합 관계를 분석하여 교합 수직 고경 증가를 결정하였다. 진단 wax up을 시행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3개월의 적응 기간 후 상악 고정성 보철물과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로 최종 수복하였다. 장착 후 8개월경과 관찰 중이며 양호한 심미적 기능적 개선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crea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OVD) due to loss of teeth structure and destruction of the occlusal plane by severely worn dentition may cause cross bite 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by following change of facial feature or the loss of anterior guidance. Full mouth rehabilitation v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시 보철물로 3개월의 적응기간동안, 발음, 외형, 환자의 요구 등을 수용하여 적응 여부를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상악은 고정성 보철물, 하악은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로 수복하였다. 이에 기능적으로,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직 고경은 무엇인가? 수직 고경이란 악간 거리를 의미하며, 하악이 중심 위에 있을 때 치아끼리 접촉하는 교합 수직 고경(occlusal vertical dimension)과 하악이 생리적인 안정 위에 있을 때 치아의 접촉이 없는 안정 위 교합 고경(vertical dimension of rest)으로 나눌 수 있다.
교합이 붕괴된 환자의 치료에는 어떤 것을 고려할 수 있는가? 다수 치아 상실 및 치아 마모로 인해 교합이 붕괴된 환자 치료 시에는 수직 고경 증가를 통한 전악 수복을 고려할 수 있다.1 적합한 수복을 위해서는 치료계획 설정을 위한 정확한 진단과정이 필수적이다.
전악 수복을 위해 새로운 수직 고경을 반영한 임시 보철물 제작 시에 진단해야 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1 적합한 수복을 위해서는 치료계획 설정을 위한 정확한 진단과정이 필수적이다. 수직고경의 평가, 턱관절 질환의 병력, 전치 유도, 잔존치의 수복 상태, 변화된 안모에 대해 평가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임상적인 검사를 통해 잔존치와 무치악 부위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시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수직 고경을 반영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환자의 적응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ivera-Morales WC, Mohl ND. Relationship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to the health of the masticatory system. J Prosthet Dent 1991;65:547-53. 

  2. Abduo J. Safety of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 systematic review. Quintessence Int 2012;43:369-80. 

  3. Bloom DR, Padayachy JN.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why, when and how. Br Dent J 2006;200:251-6. 

  4.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5. Murphy T. Compensatory mechanisms in facial height adjustment to functional tooth attrition. Aust Dent J 1959;4:312-23 

  6. Hemmings KW, Darbar UR, Vaughan S. Tooth wear treated with direct composite restorations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results at 30 months. J Prosthet Dent 2000;83:287-93. 

  7.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St. Louis; Mo: Mosby; 2007, p. 430-52. 

  8. Fayz F, Eslami A. Determination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literature review. J Prosthet Dent 1988;59:321-3. 

  9.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 Cosmos 1935;77:851-4. 

  10. Silverman MM. Determination of vertical dimension by phonetics. J Prosthetic Dent 1956;6:465-71. 

  11. Thompson JR.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and its significance to dental science. J Am Dent Assoc 1946;33:151-80. 

  12.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13. de Jong MH, Wright PS, Meijer HJ, Tymstra N. Posterior mandibular residual ridge resorption in patients with overdentures supported by two or four endosseous implants in a 10-year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0;25:1168-74. 

  14. Carlsson GE, Ingervall B, Kocak G. Effect of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n the masticatory system in subjects with natural teeth. J Prosthet Dent 1979;41:284-9. 

  15. Kim SO. Implant overdenture. Seoul: Myung Moon publishing; 2007, p. 115-8, 344-50. 

  16. Kleis WK, Kammerer PW, Hartmann S, Al-Nawas B, Wagner W. A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attachment systems for mandibular two-implant overdentures: one-year report.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10;12:209-18. 

  17. Sadig W. A comparative in vitro study on the retention and stability of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Quintessence Int 2009;40:313-9. 

  18. Hayakawa I, Hirano S. A method to remold worn acrylic resin posterior denture teeth and restore lost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J Prosthet Dent 1993;69:23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