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Effectiveness Research of Drama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 2014년, pp.528 - 536  

신동인 (서일대학교 연극과) ,  조연호 (서일대학교 연극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의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을 메타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7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19편의 연극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하여 메타분석의 통계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표현력은 가장 강한 효과크기(1.103)를 나타냈고, 자아인식(1.011), 창의력(.858)의 순서대로 강한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사회성은 보통 이상의 효과크기(.672)를 나타냈다 둘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조절변수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난 것은 표현력과 창의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총 시행횟수"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시행에 대한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rama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July, 2013 were systematically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효과성을 입증한 연구결과들을 메타분석을 하기 위하여, 2013년 7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문헌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국회전자도서관, KISS, DBPIA를 사용하였으며, “초등학생 혹은 아동”과 “ 연극교육 ”, “교육연극”, “효과”등을 검색어로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검증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한국에서 초등학생들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통합적인 차원에서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실행방안과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검토하여 보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실행과 보급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초등학생들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들에서 가장 빈번하게 활용된 변수들을 중심으로 하여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를 선정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표현력, 자아인식, 창의력, 사회성으로 구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효과성 연구들의 성과를 모두 통합해서 전체효과크기로 제시하지 않는 것은 성과를 지나치게 넓게 설정할 경우에 주관적인 결론 및 연구 간의 이질성이 커져서 분석결과의 신뢰성이 낮아진다는 점 때문이다[32].
  • 둘째, 연구문제 2는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는 조절변수에 따라 효과크기가 다른가?" 이었다. 연구문제 2의 입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조절변수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표현력’과 ‘창의력’ 의 경우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총 시행횟수’가 길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에서 초등학생들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고 효과성을 입증한 개별 연구들을 보다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차원에서 검토하고,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관련된 요인들을 보다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메타분석방법’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메타분석을 위한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은?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들이 프로그램 대상자의 특성을 자세히 제시하고 있지 않았고,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대상자의 특성으로 인한 효과의 차이 등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향후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들에서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단을 구성하고 이를 연구에 자세히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메타분석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여러 연구에서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에게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제시되고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 성과로 활용한 변수 들은 한정적이었고 분석연구의 수도 작았다는 측면이 있다. 이는 아직까지 국내의 연극교육 효과성 연구들이한정된 성과나 변수를 측정하였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 과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성과변수들을 활 용하여 효과성을 입증해 나아가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학년이나 실험집단의 인원 등 여러 조절변수들이 성과들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향후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제시하 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진행자는 조절변수로 고려해 보아야 할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정된 연구에서 진행자의 특성들이 제시되 고 있지 않아서 조절변수로 선택할 수 없는 한계들이 있었다. 향후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에서는 진행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고 이를 연구에 자세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진 행자들이 대부분 교육대학원으로 한정되고 있는 만큼 연극분야나 보다 다양한 전공과 자격, 특성 등을 갖춘 진행자들이 연극교육의 효과성 연구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메타분석방법이란?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에서 초등학생들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고 효과성을 입증한 개별 연구들을 보다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차원에서 검토하고,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관련된 요인들을 보다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메타분석방법’을 실시하고자 한다. 메타분석방법은 특정영역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많은 개별연구들의 결과를 하나로 종합하는 접근방법으로, 개별연구들의 결과를 동일한 측정치로 환산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분석법이다[17].
초등생을 대상으로 확인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분석결과,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취학아동들의 언어 능력(독해, 구술, 작문 등) 향상에 대부분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언어능력이라는 성과에는 효과성이 크나, 사회성이나 정서적인 측면, 창의성 등에는 효과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37]. 외국의 여러 개별적인 연구에서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매우 다양한 성과들이 측정되고 있었으며, 실제로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자아개념, 사회적 기술, 문제행동감소, 또래관계증진 등에 효과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금자, 연극놀이 수업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언어이해력 및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 김린경,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 김지성,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김영숙,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표불안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 김지영, "교육연극수업이 사회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학연구, Vol.12, No.1, pp.47-60, 2005. 

  6. 김지순, 교육연극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적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4. 

  7. 김현숙, 교육연극 활동이 말하기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8. 고경화,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서울: 학지사, pp.47-48, 2005. 

  9. 문화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문화예술교육 정책백서, 2008. 

  10. 박미리, "연극교육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제18권, pp.224-254, 2003. 

  11. 박흥제, 문성환, "아동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59-181, 2010. 

  12. 백성희, 연극놀이수업이 초등학교 아동의 교우관계 개선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3. 송리나, 초등학생을 위한 학습단위 격려 중심 연극놀이 기법 프로그램개발과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송영극, 초등학교 5학년의 진로교육을 위한 연극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5. 이기호,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 신장,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우혜선, 연극놀이를 통한 말하기 수업이 아동의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7. 

  18. 오형정,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9. 이형선,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0. 장이화, 교육연극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형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1. 정계숙, 윤갑정, "교육연극을 적용한 또래관계 프로그램의 아동간 상호작용 증진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2, 2006. 

  22. 조경애, 교육연극 활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3. 조병진, "연극의 교육적 활용: 그 가능성과 방향", 문화교육학 No.2, pp.119-142, 1998. 

  24. 조희성, 연극놀이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5. 최정혜,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6. 최지영, 김지옥, DIE, 2008년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극분야 하반기 강사연수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pp.43-61, 2008. 

  27. 한명구, 한국 중등학교 연극교육 및 연극교과서 개선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8. 한상덕, "연극 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아동교육, 제6권, 제2호, pp.32-50, 1997. 

  29. 한유진, 장진부, "국내 연극치료의 연구동향-국내 학회지와 학위논문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4, No.2, pp.79-99, 2009. 

  30. 허순자, "영 미 초 중등학교에서의 연극교육과 교육연극", 연극교육연구, pp.235-251. 

  31. 황정현외, 연극분야(초등) 교수지침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32. 홍세희, "행동과학 연구 메타분석의 적용", 제 11회 사회복지전문가를 위한 연구방법론 워크샵, 중부재단, 2012. 

  33. 홍종관, 교육연극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형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4.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35. L. A. Guli, The Effects of Creative Drama-Bas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eficits in Social Perception. Doctor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4. 

  36. G. D. Freeman, K. Sullivan, and C. R. Fulton, "Effects of Creative drama on self-concept,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96, 2003. 

  37. A. Podlozny, "Strengthening Verbal Skills through the Use of Classroom Drama: A Clear Link,"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Vol.34,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